안전관리자/OPS

지게차 안전작업 OPS

안전관리자kim 2024. 9. 25. 08:25
반응형

 

지게차 안전작업

 

지게차란?

포크, 램(ram) 등의 화물을 적재하는 장치와 이것을 승강시키는 마스트(mast)를 구비한 하역운반기계를
말하며 흔히 포크리프트라고도 부른다. 지게차의 장점은 포크가 3m정도의 높이까지 상승할 수 있고
앞뒤로 약간 기울어진다는 것, 화물을 적재한 상태로 주행할 수 있다는 것, 일반적으로 앞바퀴로 구동하고
뒷바퀴로 조정 전향한다는 것, 회전반경이 작다는 것, 짐을 적재하고 주행하는 속도는 8km/h이하 정도
지만 빈차일 경우 15~25km/h로 주행한다는 것, 화물은 차체의 앞부분에 놓이기 때문에 대부분의 지게
차는 차체 뒷부분에 카운터웨이트를 부착하고 있다는 특징이 있다.

 

 

지게차 주요 위험 요인

① 운전자 시야불량, 운전미숙, 과속에 의한 근로자와의 충돌 위험

② 경사면 또는 무게중심 상승상태에서 급선회에 의한 지게차의 전도위험

③ 화물과다 적재, 편하중, 지면요철 등에 의한 화물 낙하위험

④ 포크에 탑승한 상태에서 고소작업 중 추락위험

 

지게차 작업의 안전 대책

① 지게차 전용통로 확보

- 근로자 통행용 통로와 지게차 전용통로를 별도로 구획하여 충돌 사고 예방

② 화물 과다 적재 금지로 운전자 시야 확보 및 전용 파레트 사용으로 화물낙하 예방

③ 급회전 금지 및 사각지대 해소

- 운행 시 급회전 방지를 위해 핸들에 부착된 Knob제거 조치

- 경사로 구간 서행안내(제한속도) 표지판 부착 및 사각지대 반사경 부착으로 시야 확보

④ 안전벨트 설치 및 착용

- 지게차 운행시 운전석에 설치된 안전벨트 착용으로 지게차 전도시 운전자 협착재해 예방

⑤ 고소작업용도로 사용 금지

- 고소작업용도로 사용금지

- 고소작업을 위해 사용할 경우 안전난간이 설치된 포크 삽입용 전용 운반구 사용

반응형

지게차 작업의 재해사례

 

지게차 안전수칙

① 운전석에 앚으면 안전벨트를 반드시 착용한다.

② 사내 규정 속도를 준수한다. (10 km/hr 이내)

③ 물체를 높이 올린 상태로 주행 및 선회하지 않는다.

④ 운전자 이외의 근로자를 탑승시키지 않는다.

⑤ 자리를 이탈 할 경우에는 반드시 열쇠를 휴대한다.

⑥ 경보장치 작동 여부를 확인한다.

⑦ 마스트를 뒤로 젖힌 상태에서 가능한 포크를 낮추고 운행한다.

⑧ 운반 적재물이 시야를 가릴 때는 후진하여 주행한다.

⑨ 경사로를 올라가거나 내려갈 때는 적재물이 경사로의 위쪽을 향하도록 하여 주행한다.

⑩ 후륜이 뜬 상태로 주행을 금지한다.

⑪ 옥내 주행 시에는 전조등을 켜고 주행한다.

⑫ 운전석에서 전방 눈높이 이하로 적재하여야 한다.

⑬ 모서리에서 회전할 때는 일단 정지 후 서행하여야 한다.

⑭ 선회하는 경우 후륜이 크게 회전하므로 천천히 선회한다.

⑮ 허용적재 하중을 초과하는 하물의 적재는 금한다.

⑯ 경사면에서는 주차하지 않는다.

⑰ 주차 시에는 주차 브레이크를 확실히 작동시켜 둔다.

⑱ 경보등을 부착하였더라도 작업 범위를 확인한다.

⑲ 포크 아래로 근로자가 통행하지 않도록 한다.

⑳ 지게차 운전은 면허를 가진 지정된 근로자가 하여야 한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