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생활 정보/생활 정보

건설 자재의 종류와 정의 : 사급자재, 지급자재, 도급자재, 관급자재

by 안전관리자kim 2025. 1. 24.
반응형

 

건설 현장에서 사용되는 자재는
조달 및 책임 주체에 따라 사급자재, 지급자재, 도급자재, 관급자재로 구분됩니다.
이 글에서는 각각의 정의와 특징을 정리하고, 사급자재에서 무상사급과 유상사급의 차이점도 함께 설명하겠습니다.

 


1. 사급자재 (社給資材)

정의 : 발주자가 직접 구매하여 시공사(도급업체)에게 제공하는 자재입니다.

  • 특징
    • 발주자가 자재의 품질과 규격을 직접 관리합니다.
    • 도급업체는 제공받은 자재를 설치하거나 사용하는 역할만 수행합니다.
    • 주로 고가 자재나 핵심 자재(예: 철근, 콘크리트, 대형 기계 등)에서 사용됩니다.
반응형

무상사급과 유상사급

사급자재는 제공 방식에 따라 무상사급유상사급으로 나뉩니다.

  1. 무상사급 (無償社給)
    • 발주자가 자재비를 전액 부담하며, 도급업체는 자재를 무상으로 제공합니다.
    • 발주자가 자재의 품질 및 관리 책임을 집니다.
    • 예: 대형 발전소의 특수 설비, 고급 외장재.
  2. 유상사급 (有償社給)
    • 발주자가 자재를 제공하지만, 도급업체가 비용을 부담하거나 도급금액에서 차감됩니다.
    • 도급업체는 자재 사용과 함께 비용 정산 책임이 있습니다.
    • 예: 대량 구매한 철근, 콘크리트.
구분 무상사급 유상사급
자재 비용 발주자가 전액 부담 도급업체가 부담하거나 도급금액에서 차감
관리 책임 발주자가 품질 및 규격을 직접 관리 발주자가 관리하되 비용 정산 필요
 

 

2. 지급자재 (支給資材)

정의 : 발주자가 자재를 지정하고, 도급업체가 이를 구매하여 사용한 후 발주자로부터 비용을 지급받는 자재입니다.

  • 특징
    • 발주자가 필요한 자재를 지정하여 규격과 품질을 통제합니다.
    • 도급업체가 자재를 구매하므로 납품 일정과 품질 관리 책임이 분산됩니다.
    • 예: 특정 규격의 창문, 도어

3. 도급자재 (都給資材)

정의 : 도급업체가 자재를 직접 구매하여 사용하고, 조달 책임을 지는 자재입니다.

  • 특징
    • 도급업체가 자재 선정, 구매, 납품 관리를 모두 담당합니다.
    • 발주자의 통제가 상대적으로 적습니다.
    • 예: 배관 자재, 전선 등 일반 소모성 자재

4. 관급자재 (官給資材)

정의 : 국가 또는 공공기관이 직접 구매하여 시공사에 제공하는 자재입니다.

  • 특징
    • 공공 프로젝트에서 예산의 투명성과 품질 보증을 위해 사용됩니다.
    • 발주자가 자재를 전적으로 관리하며, 시공사는 이를 사용하여 공사를 진행합니다.
    • 예: 고속도로 가드레일, 철도 레일

 

요약 및 정리

구분 조달 주체 비용 부담 주요 특징
사급자재 발주자 발주자 또는 도급업체 발주자가 품질 및 규격 관리
지급자재 발주자(지정), 도급업체(구입) 발주자 발주자가 자재 지정, 도급업체가 구매
도급자재 도급업체 도급업체 도급업체가 모든 조달 책임
관급자재 국가 또는 공공기관 국가 또는 공공기관 공공 프로젝트에서 품질 보증 목적으로 사용

 

활용 사례와 주의점

  1. 사급자재는 발주자가 품질을 통제할 수 있지만, 납기 지연 시 공정에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2. 지급자재는 발주자와 도급업체 간 명확한 계약이 필요하며, 구매 절차를 효율화해야 합니다.
  3. 도급자재는 도급업체의 구매 능력과 품질 관리 역량이 중요합니다.
  4. 관급자재는 공공사업에서 투명성과 품질 보증을 위해 필수적입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