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안전관리자/OPS

강교 설치 작업 OPS

by 안전관리자kim 2024. 8. 12.
반응형

 

강교 설치 작업

 

강교반입 안전 작업

자재 반입전 충분한 지반다짐지내력 시험 등을 통한 안정성 확보
후방 경보음 작동 및 유도자 배치하여 접근방지
강부재 반입시 교통 통제 신호수 배치 및 이동주행로 사전점검 실시
부재 하역전 적재 및 고정상태 등 견고성 확인
부재 양중 작업전 샤클, 와이어 로프 확인점검 철저 (육안점검 및 필요시 샤클 비파괴 검사실시)
장비 유도원 배치하여 중장비 작업반경내 접근 금지 조치
유도자 및 하역작업자는 크레인운전원 시야내  위치
부재 반입전 받침목을 점검 하여 손상 및 파손시 교체
자재 야적장 평탄성 확보 및 주변 출입 금지

 

 

강교 지조립 안전 작업

사다리 상부를 STUD BOLT에 고정 철저
작업전 복장점검 및 BOX 자재 정리정돈 실시
작업전 신호체계 확립 및 운전석에서 명확히 보이는 위치에 신호수 배치
인양 작업전 와이어로프 손상, 변형 유무 점검
전선 및 호스가 작업자 통행로에 방치되지 않도록 전선거치대를 사용하여 정리 정돈 조치
강관박스 조립형상 및 자중, 지형에 따른 안전한 받침자재 설치 및 작업자 하부출입 금지 조치
인양용 와이어로프 2줄걸이결속 및 유도자 배치, 작업반경내 출입통제 조치
볼트 체결작업시 감전사고 예방(분전함 설치,접지 및 누전차단기 부착, 작업선의 절연조치, 발전기 및 전기기구의 충전부등 노출부위 폐쇄, 비규격 작업선의 사용금지)
 
 

 

강교 거치 안전 작업

지장물 현황 사전 파악 이설 또는 방호조치하고 작업시 신호수 배치
크레인 사양 확인 및 작업전 정밀안전점검 실시, 와이어로프 제원표 현장내 비치하여 적정 규격품 사용 (안전율이 5이상 사용)
BOX 거치전 안전난간 및 생명줄, 추락방지망 등을 지상에서 조립, 설치 완료
크레인 작업장소 평탄성 유지 및 지반침하방지 조치, 아웃트리거 전용 받침철판 사용
크레인 운전원과 설치작업자간의 신호체계 확립
BOX 인양시 하부 유도원은강풍에 의해 부재가돌지 않도록 유도로프 사용
인양전 와이어로프 손상되지 않도록 강재 모서리와 와이어로프 접촉부위에 보호 패드 설치
BENT 설치 및 승하강시 수직 생명줄 및 안전블럭 설치하고 안전벨트 체결토록 조치
STUD BOLT에 승강용 달대 비계 고정 설치 및 안전벨트 체결후 이동토록 관리 철처
 

 

내부 도장 안전 작업

도장작업중 스틸박스 내부 공기중의 산소 농도가 18%이상 유지되도록 환기를 시킨다. 
폭발 등의 위험으로 환기를 시킬 수 없거나 작업의 성질상 환기가 곤란한 경우에는 공기호흡기, 산소호흡기 또는 송기마스크등 호흡용 보호구를 착용해야 한다.
도장작업 중에는 작업자 이외의 근로자가 스틸박스 내부에 출입하는것을 금지시키고 그 내용을 보기 쉬운 장소에 게시한다.
스틸박스 내부 작업자는 외부의 관리감독자와 상시 연락을 취할 수 있는 무전기 등 통신설비를 설치해야 한다. 
산소결핍의 우려가 있는 때에는 즉시 작업을 중단하고 도장작업 작업자는 즉시 대피해야 한다.
산소결핍에 걸린 작업자를 구조시 구조자는 반드시 공기호흡기 등 호흡용 보호구를 착용하고 구조작업을 해야한다.  
유기용제 등 인화설 물질의 증기에 의한 폭발위험이 있는 장소에서 도장작업시에는 방폭구조의 전기기계·기구를 사용해야 한다.
 
반응형

'안전관리자 > OPS'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교량상부공 FSM 작업 OPS  (0) 2024.08.12
강교 슬라브 작업 OPS  (0) 2024.08.12
소화설비 설치 작업 OPS  (0) 2024.08.12
기계실 배관 설치 작업 OPS  (0) 2024.08.12
CABLE 포설 작업 OPS  (0) 2024.08.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