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교류아크용접기 작업
교류아크용접기 준비 안전 작업
① 전선이 피복손상, 꼬임 및 결속부가 많은 것은 사용을 제한, 홀더는 KS 규격품을 사용한다.
② 단자 접속부 등 충전부는 절연테이프 또는 절연카바 등으로 절연조치 한다.
③ 전격방지기 부착(무부하 시 출력전압 25V이하) 외함에 접지(압착터미널 사용 견고히 고정)
④ 홀더선 및 어스선은 통행에 지장이 없도록 정리하여 포설한다.
⑤ 용접작업 주변에 가연성, 인화성물질 제거, 불곡 비산방지조치를 하고,주변에 소화기를 비치한다.
⑥ 용접기의 전원은 별도로 차단기를 설치한다.
⑦ 용접작업 시 용접용 보호구를 착용한다.(용접면, 용접장갑, 용접복 등)
⑧ 실내 또는 밀폐작업 시 환기시설(국소배기장치)을 설치하고 작업한다.
⑨ 고소구간 용접 시 충분한 폭의 작업발판을 설치하고, 안전벨트를 체결하고 작업한다.

반응형
교류아크용접기 점검 안전 작업
① 감전 재해를 방지하기 위하여 홀더는 용접봉을 물어주는 부분을 제외하고는 절연처리 된 절연홀더를 사용해야 한다.
② 감전보호를 위하여 자동전격방지장치를 사용해야 하고 작업전 작동상태를 점검해야 한다.
③ 용접작업을 중지하고 작업장소를 떠날 경우 용접기의 전원개폐기를 차단해야 한다.
④ 케이블의 피복이 손상된 경우 즉시 절연을 시키거나 신품으로 교환해야 한다.
⑤ 용접기의 1차측과 2차측 배선 및 용접기 단자와의 접속 여부 점검과 외함을 접지 시킨다.

교류아크용접기 안전 작업
① 용접작업위치에 대한 파악 안전조치후 작업을 실시(밀폐공간 : 작업전 환기 및 내부 유기용제 및 산소농도 확인, 습기가 많은 장소 : 용접작업 방법 및 작업자 절연보호구 착용, 고소작업장 : 용접시 추락방지시설 및 작업발판 설치)
② 용접원에 대한 자격을 확인하여야 하며 용접용 보호장구 착용상태를 확인하여야 한다.
③ 용접기와 작업장소는 가능한 짧은 거리로 하여 작업하며 홀더선은 수시로 정리정돈 한다.
④ 용접불티에 대한 방호조치(불티비산방지장치)를 하고 화재예방대책을 수립후 작업한다.
⑤ 용접작업 전원차단후 자리이탈은 최소 30분을 작업장 정리정돈 등을 한후 이상이 없는 것을 확인하고 종료한다.

반응형
'안전관리자 > OPS'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공기압축기 사용 작업 OPS (0) | 2024.09.20 |
---|---|
이동식발전기 작업 OPS (0) | 2024.09.20 |
철근 절곡기 작업 OPS (0) | 2024.09.19 |
CO2 용접기 작업 OPS (5) | 2024.09.19 |
철근 절단기 작업 OPS (1) | 2024.09.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