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안전관리자/위험성 평가

보일러 설치 작업 위험성 평가

by 안전관리자kim 2024. 6. 6.
반응형

 

개요

 

  • 사업장내 일정한 온도를 유지하기 위한 설비로 플랜트 현장에서 중요한 시설이다.
  • 작업 시 중량물 운반시 낙하, 고소작업 시 추락, 작업발판 미설치로 추락, 용접 등 작업 중 감전, 화재 등의 사고가 발생한다.

 

단위작업 분류 및 순서

 

  1. 보일러 FAD 설치 및 자재반입 및 가공 작업
  2. Upper/Low Drum 설치
  3. Bank Tube 삽입 및 확관 작업
  4. D관 삽입 작업
  5. 외벽과 Fin 사이 용접
  6. Drum과 수관 확관부 작업
  7. 전면 및 후면 판넬 설치
  8. 보일러 점검구 설치
  9. 보일러 후레임 설치
  10. 전면 수조 및 수면계 설치 작업
  11. 버너 설치 작업
  12. 보온재 설치 작업
  13. 외부 케이싱 작업

 

1. 보일러 FAD 설치 및 자재반입 및 가공 작업

 

보일러 FAD 설치 및 자재반입 및 가공 작업

 

분류 유해위험요인 감소대책
인적 요인 장비 반입절차 등을 이행하지 않고 작업 중 장비자체 결함 등에 의한 사고 발생 작업착수 전 작업허가서 제출 및 검토를 통해 작업 전 허가서와 부합되는 준비상태를 확한 후 작업실시
지게차로 자재 하역 중 후방에 근로자 접근충돌 후방접근 금지 조치, 후진 전 후방 확인실시, 후진경보기, 후사경, 후방카메라 등 확인 후 이동
운반트럭 적재함에 임의로 올라가서 작업 중 추락 차량 적재함 운전자   탑승 작업금지
하역작업시 주변통제 미실시로 충돌 하역작업시 유도자 배치 및 출입통제 조치
기계적 요인

크레인 사용하여 자재 하역 양중시 충돌, 추락, 낙하 크레인 등 장비를 사용하여 양중시 신호수 배치, 장비의 안전설치, 슬라브 단부 등에서 자재를 받을시 유도로프를 이용하고, 작업자는 안전대 착용
보일러 FAD 설치 주변 개구부에 추락 작업 전 주변 개구부 덮개 설치
보일러 설치부위  PAD철골 절단시 고속절단기에 절단사고 고속절단기 사용시 안전수칙 준수
용접작업시 불꽃비산에 의한 화재, 폭발사고 용접 작업 전 주변 인화성, 가연성 물질을 제거하고 불꽃비산 방지장치 설치, 소화기 비치, 화기감시자 배치 등 안전조치 철저
전기적 요인 전동공구로 사용 중 누전으로 감전 전동공구 사용 전, 중 수시 점검 및 점검 필증 부착
사용하는 전선의 피복 노출로 충전부 접촉 감전위험 가설전선 사용 전, 중 점검실시 및 가공 배선 설치 
용접기 충접부에 접촉 및 자동전격방지기 미설치로 감전 용접기 충전부 절연 조치 및 자동전격방지기 설치
작업특성 요인 줄걸이 작업 확인 미흡으로 인한 결속되지 않은 부자재 낙하 여러 뭉치가 하나의 밴드로 묶여서 온 것은 전체를 하나로 묶어서 줄걸이 작업 실시
작업환경 요인 운반차량 진출입 작업 중 외부차량과 충돌 자재 반입차량의 진출입시 신호수 배치 및 도로구획 정리

 

 

2. Upper / Low Drum 설치 작업

 

Upper / Low Drum 설치 작업

 

분류 유해위험요인 감소대책
인적 요인 크레인 작업 중 신호불일치로 협착 크레인 작업 시 신호체계를 확립하고 신호수 배치
드럼 반입시 단부에서 자재를 받던 중 추락 드럼을 구조물 단부에서 받을 시 안전대부착설비를 설치 후 안전대를 걸고 작업
드럼설치 작업 중 협착 드럼 설치 작업 시 PAD, 빔사이에 신체를 넣지 않도록 교육
기계적 요인

드럼 인양 설치 작업 중 낙하 드럼인양전 줄걸이 상태 점검 및 드럼의 무게중심 확인 후 인양
드럼 설치 작업장 조명 부족으로 인한 협착, 전도, 충돌 등 사고 작업 전 조명설치 설치 및 설치 상태 확인
체인블럭에 고정한 자재가 후크에서 이탈하여 낙하 후크에 해지장치 부착 확인
체인블럭의 정격하중 이상을 인양하던 중 블록 탈락 낙하 표시 TON수 이상의 하중을 걸지 말 것
체인블럭 인양중 후크의 상단부 끝까지 무리하게 작업 중 낙하 위험 CHAIN의 마지막 끝까지, 혹은 HOOK의 상단부까지 억지로 사용하지 말 것
전기적 요인 전동공구로 자재 가공 및 조립 중 누전으로 감전 전동공구 사용 전, 중 수시 점검 및 점검 필증 부착
사용하는 전선의 피복 노출로 충전부 접촉 감전위험 가설전선  사용 전, 중 점검실시 및 가공 배선 설치 
드럼고정 용접작업 중 감전 드럼고정 용접작업 전 용접기의 안전장치 및 접지 상태 확인 후 작업
재료적 요인 고압가스 사용 부주위로 인한 화재, 폭발 사고 사용교육, 점검, 안전장치 및 MSDS 표지 관리철저
양중용 LUG를 현장에서 제작 설치함으로 균형불량, 용접결함 등에 의한 인양/건립 작업 중LUG파단 낙하 양주용 LUG는 부재의 중량 및 길이에 따라 크기 및 위치를 결정 공장제작 납품
작업특성 요인 지상조립을 위해 이동 중 자재에 발이 걸려 넘어진 조립장 통로구분 및 통로에 자재 적치 금지
작업환경 요인 지조립 작업장내로 차량 등 장비진입 중 근로자 충돌 작업장 구획 정리 타 장비 등 차량 접근통제 조치

 

 

3. Bank Tube 삽입 및 확관 작업

 

Bank Tube 삽입 및 확관 작업

 

분류 유해위험요인 감소대책
인적 요인 주철관을 드럼에 삽입중 협착 주철관을 드럼에 삽입중 손가락 등 협착 주위
안전밸트 미착용 상태에서 작업 중 추락 고소 작업시 안전밸트 착용 철저
드럼내부에서 작업 중 머리 충돌 드럼내부 안전모 착용 및 작업안전수칙 교육 실시
기계적 요인

상부드럼에 주철관 삽입중 사다리 전도 작업대 설치, 사다리 사용시 지양 사용시 21조 이상 작업
작업장 이동중 전도 작업장 바닥은 수시로 정리정돈
상부 드럼으로 이동중 추락 상부 드럼 이동용 통로 설치
용접작업 시 불꽃비산에 의한 화재, 폭발사고 용접 작업 전 주변 인화성, 가연성 물질을 제거하고 불꽃비산 방지장치 설치, 소화기 비치, 화기감시자 배치 등 안전조치 철저
전기적 요인 전동공구로 사용 중 누전으로 감전 전동공구 사용 전, 중 수시 점검 및 점검 필증 부착
사용하는 전선의 피복 노출로 충전부 접촉 감전위험 가설전선  사용 전, 중 점검실시 및 가공 배선 설치 
용접기 충접부에 접촉 및 자동전격방지기 미설치로 감전 용접기 충전부 절연 조치 및 자동전격방지기 설치
재료적 요인 보일러 Bank Tube 삽입 완료 후 검수 미흡으로 인한 사고 보일러 Bank Tube 삽입 완료 후 검수 및 드럼내부 청소등 실시
작업특성 요인 보일러의 시방을 숙지하지 못한 상태에서 작업 중 작업 오류로 인한 보일러 시험가동시압력에 의한 파손 등 사고 보일럭 시공 시방서를 충분히 작업자 들에게 숙지한 후 작업토록 교육 철저
작업환경 요인 작업장 내 조명 부족으로 인한 충돌, 협착, 낙하, 추락 등 사고 작업장에 적합한 조명 시설 설치
용접등 작업 시 광선 및 유해가스에 의한 사고 작업장 내 환기 및 보안경, 방진마스크 등 보호구 착용 철저

 

 

4. D관 삽입 설치 작업

 

D관 삽입 설치 작업

 

분류 유해위험요인 감소대책
인적 요인 주철관을 드럼에 삽입중 협착 주철관을 드럼에 삽입중 손가락 등 협착 주위
안전밸트 미착용 상태에서 작업 중 추락 고소 작업시 안전밸트 착용 철저
드럼내부에서 작업 중 머리 충돌 드럼내부 안전모 착용 및 작업안전수칙 교육 실시
기계적 요인

D관 삽입시 체인블럭등 사용 중 파이프의 탄성에 의한 튕김으로 맞음 D관 삽입시 작업순서 준수하여 작업 실시
작업장 이동중 전도 작업장 바닥은 수시로 정리정돈
상부드럼에 D관 삽입 중 추락 상부 드럼 작업용 작업 발판 및  이동용 통로 설치, 작업자 안전대 고리 체결 후 작업
전기적 요인 전동공구로 사용 중 누전으로 감전 전동공구 사용 전, 중 수시 점검 및 점검 필증 부착
사용하는 전선의 피복 노출로 충전부 접촉 감전위험 가설전선  사용 전, 중 점검실시 및 가공 배선 설치 
재료적 요인 보일러 Bank Tube 삽입 완료 후 검수 미흡으로 인한 사고 보일러 Bank Tube 삽입 완료 후 검수 및 드럼내부 청소 등 실시
작업특성 요인 보일러의 시방을 숙지하지 못한 상태에서 작업 중 작업 오류로 인한 보일러 시험가동시압력에 의한 파손 등 사고 보일럭 시공 시방서를 충분히 작업자 들에게 숙지한 후 작업토록 교육 철저
작업환경 요인 작업장 내 조명 부족으로 인한 충돌, 협착, 낙하, 추락 등 사고 작업장에 적합한 조명 시설 설치

 

 

5. 외벽과 FIN 사이 용접 작업

 

외벽과 FIN 사이 용접 작업

 

분류 유해위험요인 감소대책
인적 요인 용접작업시 용접용 보호구 미착용에 의한 사고 용접작업 시 용접용 복장 (용접복, 앞치마, 토시) 보호구 (보안면, 보안경, 방진마스크, 용접장갑)의 착용상태를 확인 후 작업 실시
고소부위 용접 작업시 안전대 미착용으로 인한 추락 고소부위 용접작업시 안전대고리를 체결하고 작업
기계적 요인

용접용 작업발판 미설치 상태에서 작업 중 추락 용접작업용 작업발판 설치 후 작업 실시(사다리는 금지)
Co2 용접시 불티가 비래하여 하부 화재 발생 바람막이 설치 시 철사(반생)로 상부 난간대와 발판의 체결시 밀실하게 체결하여 불꽃 비산 및 자재 낙하 위험 방지
용접부위 확인 작업 시 비산물질 발생 비산물질이 멀리 튀지 않도록 작업하고 보안경 착용
전기적 요인 홀더선의 규격 부적합으로 절연파괴 감전 배선은 규격품 사용, 정리정돈을 철저
용접기 작업 중 누전에 의한 감전 용접기 외함 접지, 단자접속부 절연 커버설치.
용접작업 전/후 전원을 개방하지 않고 전선 및 홀더선 정리 중 감전 사용하지 않을 때 전원 차단(전용 개폐기 설치, 누전차단기를 사용)
자동전격방지기 미설치로 접지측과 홀더측에 접촉 감전 검정품인 자동전격방지장치를 설치, 사용 전 작동유무를 점검
홀더 손잡이, 덮개 등이 파괴되어 작업 중 첩촉 감전 홀더 절연물이 파손되지 않아야 하며 절연내력 및 내열성이 있는 KS규격품을 사용
재료적 요인 용접실명제 미실시로 인한 무자격자 용접에 따른 사고발생 주요구조물의 용접은 작업 중 공사완료 후 용접결함에 의한 구조물의 붕괴등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용접작업자의 자격 능력정도를 반드시 확인하고 용접부위 실명관리를 해야 한다
작업특성 요인 용접작업 중 분전함의 과열에 의한 화재 용접전용 분전함 설치
용접불꽃이 비산하여 화재 용접시 불티비산 방지막, 하부 소화기 및 화기감시자 배치
작업환경 요인 용접흄 및 광선에 의한 호흡기 및 안구 재해 방진마스크 및 차광보안경 착용

 

 

6. Drum과 수관 확관부 작업

 

Drum과 수관 확관부 작업

 

분류 유해위험요인 감소대책
인적 요인 용접작업 시 용접용 보호구 미착용에 의한 사고 용접작업 시 용접용 복장(용접복, 앞치마, 토시) 보호구(보안면, 보안경, 방진마스크, 용접장갑)의 착용상태를 확인 후 작업 실시
고소부위 용접 작업시 안전대 미착용으로 인한 추락 고소부위 용접작업시 안전대고리를 체결하고 작업
기계적 요인

수관 확관부 용접작업으로 인한 사고 수관 확관부 용접 금지
용접용 작업발판 미설치 상태에서 작업 중 추락 용접작업용 작업발판 설치 후 작업 실시(사다리는 금지)
상부 용접작업 시 용접불꽃에 의한 화상, 화재 사고 상부용접 작업 시 불꽃 비산방지 조치, 보호구 착용, 인화성물질 제거, 소화기 비치
용접부위 확인 작업시 비산물질 발생 비산물질이 멀리 튀지 않도록 작업하고 보안경 착용
전기적 요인 홀더선의 규격 부적합으로 절연파괴 감전 배선은 규격품 사용, 정리정돈을 철저
용접기 작업 중 누전에 의한 감전 용접기 외함 접지, 단자접속부 절연 커버설치.
용접작업 전/후 전원을 개방하지 않고 전선 및 홀더선 정리 중 감전 사용하지 않을 때 전원 차단(전용 개폐기 설치, 누전차단기를 사용)
자동전격방지기 미설치로 접지측과 홀더측에 접촉 감전 검정품인 자동전격방지장치를 설치, 사용 전 작동유무를 점검
홀더 손잡이, 덮개 등이 파괴되어 작업 중 첩촉 감전 홀더 절연물이 파손되지 않아야 하며 절연내력 및 내열성이 있는 KS규격품을 사용
재료적 요인 용접실명제 미실시로 인한 무자격자 용접에 따른 사고발생 주요구조물의 용접은 작업 중 공사완료 후 용접결함에 의한 구조물의 붕괴등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용접작업자의 자격 능력정도를 반드시 확인하고 용접부위 실명관리를 해야 한다
작업특성 요인 용접작업 중 분전함의 과열에 의한 화재 용접전용 분전함 설치
용접불꽃이 비산하여 화재 용접시 불티비산 방지막, 하부 소화기 및 화기감시자 배치
작업환경 요인 용접흄 및 광선에 의한 호흡기 및 안구 재해 방진마스크 및 차광보안경 착용

 

 

7. 전/후면 판넬 설치 작업

 

전/후면 판넬 설치 작업

 

분류 유해위험요인 감소대책
인적 요인 미숙련공 투입에 의한 근로자 추락 위험 안전시설물 설치시 숙련공 투입
체인블럭으로 자재 인양 중 인양물에 협착/충돌 체인블럭으로 인양하는 자재 하부 출입금지 및 급격한 조작 이동 금지
기계적 요인

양중 시 안전고리 상태 불량으로 낙하 양중 로프는 연결 상태 후크상태 확인
체인블록 사용 중 체인블록의 고장으로 인한 판넬의 낙하 전도 체인블록 사용 전 점검 및 사용자는 유경험자가 사용토록 함
판넬의 상하부 수관을 드럼에 연결중 협착, 추락사고 드럼에 연결 작업 시 협착에 주의,상부 작업 시 안전대 및 작업발판 사용
전기적 요인 전동공구 사용 중 누전으로 감전 사용 전, 중 수시 점검(접지, 누전차단기 설치) 및 점검 필증 부착
사용하는 전선의 피복 노출로 충전부 접촉 감전위험 가설전선  사용 전, 중 점검실시 및 가공 배선 설치 
작업특성 요인 중량물 취급작업게획 미수립에 의한 사고 중량물 취급작업계획수립
작업환경 요인 작업장 내 조명 부족으로 인한 충돌, 협착, 낙하, 추락 등 사고 작업장에 적합한 조명 시설 설치

 

 

8. 보일러 점검구 설치 작업

 

보일러 점검구 설치 작업

 

분류 유해위험요인 감소대책
인적 요인 미숙련공 투입에 의한 근로자 추락 위험 안전시설물 설치시 숙련공 투입
빔 체결 작업 중 안전밸트 미착용으로 추락 빔 체결 작업자 2중 안전고리 착용 작업
안전망 설치 작업 중 추락 사고 안전망 설치 작업시 안전대 고리 사용
기계적 요인

보일러 점검구 취부 작업 중 상부 및 주변 프레임에 충돌 보일러 점검구 작업장 주변 사항 확인 후 작업
작업위치가 바닥에 있으므로 바닥 용접에 필요한 도구 미흡으로 인한 허리 요통 등 사고 바닥면의 용접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거울 등 작업도구 준비
전기적 요인 전동공구 사용 중 누전으로 감전 사용 전, 중 수시 점검(접지, 누전차단기 설치) 및 점검 필증 부착
사용하는 전선의 피복 노출로 충전부 접촉 감전위험 가설전선  사용 전, 중 점검실시 및 가공 배선 설치 
홀더선의 규격 부적합으로 절연파괴 감전 배선은 규격품 사용, 정리정돈을 철저
용접기 작업 중 누전에 의한 감전 용접기 외함 접지, 단자접속부 절연 커버설치.
용접작업 전/후 전원을 개방하지 않고 전선 및 홀더선 정리 중 감전 사용하지 않을 때 전원 차단(전용 개폐기 설치, 누전차단기를 사용)
자동전격방지기 미설치로 접지측과 홀더측에 접촉 감전 검정품인 자동전격방지장치를 설치, 사용 전 작동유무를 점검
작업특성 요인 용접불꽃이 비산하여 화재 용접시 불티비산 방지막, 하부 소화기 및 화기감시자 배치
작업환경 요인 용접흄 및 광선에 의한 호흡기 및 안구 재해 방진마스크 및 차광보안경 착용

 

 

9. 보일러 후레임 설치 작업

 

 

보일러 후레임 설치 작업

 

분류 유해위험요인 감소대책
인적 요인 보일러 후레임 설치 작업 시 추락 상부 후레임 설치 작업 시 안전대부착설비 설치 후 안전대 걸고 작업
장비 반입절차 등을 이행하지 않고 작업 중 장비자체 결함 등에 의한 사고 발생 작업착수 전 작업허가서 제출 및 검토를 통해 작업 전 허가서와 부합되는 준비상태를 확한 후 작업실시
지게차로 자재 하역 중 후방에 근로자 접근충돌 후방접근 금지 조치, 후진 전 후방 확인실시, 후진경보기, 후사경, 후방카메라 등 확인 후 이동
운반트럭 적재함에 임의로 올라가서 작업 중 추락 차량 적재함 운전자   탑승 작업금지
하역작업시 주변통제 미실시로 충돌 하역작업시 유도자 배치 및 출입통제 조치
기계적 요인

보일러 후레임 설치 작업 시 추락 작업대와 이동통로 설치 후 작업 실시
후레임 제작시 고속절단기에 절단 고속절단기 커버 설치, 날접촉방지 조치
후레임 자재 반입 중 낙하 후레임 설치용 각관 반입시 고정 철저
후레임 자재를 고소부위 단부에서 받을 때 자재 반입 작업대 미흡으로 인한 자재 낙하, 작업자 추락 등 사고 자재 반입구를 설치하고 작업자는 안전대 부착설비를 설치하여 고리를 체결하고 작업
전기적 요인 후레임 연결 작업 중 전동공구 사용 중 누전으로 감전 사용 전, 중 수시 점검(접지, 누전차단기 설치) 및 점검 필증 부착
사용하는 전선의 피복 노출로 충전부 접촉 감전위험 가설전선  사용 전, 중 점검실시 및 가공 배선 설치 
용접기 작업 중 누전에 의한 감전 용접기 외함 접지, 단자접속부 절연 커버설치.
자동전격방지기 미설치로 접지측과 홀더측에 접촉 감전 검정품인 자동전격방지장치를 설치, 사용 전 작동유무를 점검
작업특성 요인 중량물 및 차량계건설기계 작업계획 미수립 상태에서 작업 중 사고 중량물 및 차량계건설기계 작업계획서 수립/검토/승인 후 작업, 작업 전 근로자에게 계획 등 교육 실시
용접불꽃이 비산하여 화재 용접시 불티비산 방지막, 하부 소화기 및 화기감시자 배치
작업환경 요인 용접흄 및 광선에 의한 호흡기 및 안구 재해 방진마스크 및 차광보안경 착용

 

 

10. 전면 수조 및 수면계 설치 작업

 

전면수조 및 수면계 설치 작업

 

분류 유해위험요인 감소대책
인적 요인 압력 테스트 방법 및 순서 미준수 압력 테스트는 시방서 준하여 체크 및 감리 및 전문관계자 입회하에 실시
고소부위 작업시 추락 고소부위 작업시 안전고리 착용 작업
기계적 요인

보일러 내부 수주 후 압력시험 미흡으로 인한 사고 보일러 수주 후 압력시험 실시
가압장치에 안전장치 미부착으로 인한 과대압력 발생 가압 기계장치에 안전장치 부착
전기적 요인 전동공구 사용 중 누전으로 감전 사용 전, 중 수시 점검(접지, 누전차단기 설치) 및 점검 필증 부착
사용하는 전선의 피복 노출로 충전부 접촉 감전위험 가설전선 사용 전, 중 점검실시 및 가공 배선 설치 
재료적 요인 압력계 현장반입시 압력게이지 이상 및 파손 압력계 현장 반입시 이상유무 확인 및 작동유무 확인
작업특성 요인 밸브류 등 조작시 발판을 설치하지 않고 작업 중 추락 밸브류 조작위치에 발판을 설치하고 작업
작업환경 요인 작업장 내 조명 부족으로 인한 충돌, 협착, 낙하, 추락 등 사고 작업장에 적합한 조명 시설 설치

 

 

11. 버너 설치 작업

 

버너 설치 작업

 

분류 유해위험요인 감소대책
인적 요인 체인블럭으로 자재 인양 중 인양물에 협착/충돌 체인블럭으로 인양하는 자재 하부 출입금지 및 급격한 조작 이동 금지
체인블록 체결 작업 중 안전밸트 미착용으로 추락 체인블럭 설치시 안전고리 착용
기계적 요인

체인블럭 사용 중 줄걸이 파단에 의한 낙하 체인블럭 및 줄걸이 점검
체인블럭 설치 작업 중 추락 체인블럭 설치시 작업대(T/L)등이용
2대의 체인을 연결하여 사용 중 한대의 결함으로 균형상실 낙하, 충돌 2대를 병렬로 연결하여 사용하는 것 금지
체인블럭의 정격하중 이상을 인양하던 중 블록 탈락 낙하 표시 TON수 이상의 하중을 걸지 말 것
전면 판넬부위에 버너 삽입 중 손가락 협착 버너삽입시 공구 등을 이용아여 작업
전기적 요인 전동공구 사용 중 누전으로 감전 사용 전, 중 수시 점검(접지, 누전차단기 설치) 및 점검 필증 부착
사용하는 전선의 피복 노출로 충전부 접촉 감전위험 가설전선  사용 전, 중 점검실시 및 가공 배선 설치 
작업특성 요인 인양된 버너를 직접 손으로 유도하다 추락 및 협착 사고위험 버너 운반 등 작업시 유도로프 설치하여 작업
중량물 및 차량계건설기계 작업계획 미수립 상태에서 작업 중 사고 중량물 및 차량계건설기계 작업계획서 수립/검토/승인 후 작업, 작업 전 근로자에게 계획 등 교육 실시
작업환경 요인 작업장 내 조명 부족으로 인한 충돌, 협착, 낙하, 추락 등 사고 작업장에 적합한 조명 시설 설치

 

 

12. 보온재 설치 작업

 

보온재 설치 작업

 

분류 유해위험요인 감소대책
인적 요인 보온재 절단시 자상 위험 절단 작업시 장갑 착용 여부 확인
보온재 커버 등 제작시 비산물 발생으로 인한 협착 및 안구손상 보안경 등 보호구 착용 철저
보온재 취급시 안전복장 착용으로 인한 사고 보온재 취급 시 안전복장(방진복, 방진마스크, 안전장갑 등) 착용
기계적 요인

비계위에서 보온재 설치 작업 중 추락 벽체 등 보온재 설치 작업시 작업발판을 설치하여 작업
상부 보온재 설치 작업을 위해 이동 중 추락 보온재 설치시 승강통로 설치 및 작업발판 설치
조명 부적합으로 작업 중 추락, 충돌, 전도 작업장에 적합한 조명 설치
전기적 요인 전동공구 사용 중 누전으로 감전 사용 전, 중 수시 점검(접지, 누전차단기 설치) 및 점검 필증 부착
사용하는 전선의 피복 노출로 충전부 접촉 감전위험 가설전선 사용 전, 중 점검실시 및 가공 배선 설치 
재료적 요인 보온재 비닐 등 손상에 의한 호흡기, 안구 손상 보온재 취급시 겉 비닐 손상이 없도록 작업
작업특성 요인 고소부위에서 보온재 설치시 바람에 의해 보온재와 함게 추락 보온재 설치 작업시 일기 등 기상예보 확인 후 작업 실시
작업환경 요인 보온재  유리섬유 절단 중 보온재 눈에 들어감 보온재 취급시 방진 마스크, 보안경 착용 철저
보온재 작업자 방진복 미착용으로 피부병 발생 보온재취급 작업자 방진복, 방진마스크 착용 철저

 

 

13. 외부케이싱 설치 작업

 

외부케이싱 설치 작업

 

분류 유해위험요인 감소대책
인적 요인 고소작업 시 안전벨트 미체결 상태에서 작업 중 추락 고소작업 또는 고소작업대 위에서 작업 시 안전벨트 고리를 걸고 작업하여야 한다
회전하는 공도구 작업시 보안경 등 미착용으로 인한 사고 그라인더 등 회전하는 공도구 사용시 보안경 착용 철저
보온재 취급 시 안전복장 착용으로 인한 사고 보온재 취급 시 안전복장(방진복, 방진마스크, 안전장갑 등) 착용
기계적 요인

비계상부로 보온재 덮개 운반 중 덮개 낙하 덮개 운반 시 줄걸이 상태 확인 및 철저
슬링벨트를 이용하여 보온재 운반 중 슬링벨트 파단 보온재  낙하 보온재 운반시 슬링벨트 접촉부 보호조치 철저 및 슬링의 상태 점검 철저
가시설 없이 보온재 덮개 설치 작업 중 추락 고소부위 작업시 작업발판을 설치, 안전대 부착설비를 설치 안전대를 걸고 작업
보온재 덮개 설치 시 타공종 기기나 파이프 등의 훼손사고 보온재 덮개설치 시 타공정 기기나 시설의 보호 철저
전기적 요인 전동공구 사용 중 누전으로 감전 사용 전, 중 수시 점검(접지, 누전차단기 설치) 및 점검 필증 부착
사용하는 전선의 피복 노출로 충전부 접촉 감전위험 가설전선 사용 전, 중 점검실시 및 가공 배선 설치 
재료적 요인 보온재 덮개 가공부위 다듬기 미흡으로 인한 날카로운 부분에 손 등이 베이는 사고 보온재 덮개 가공 제작 후 날카로운면 다듬기 작업 실시
작업특성 요인 유도로프 미설치로 보온재 덮개 등 자재를 직접 손으로 유도하다 추락 및 협착 사고위험 자재를 인양하여 설치할 경우는 자재에 유도로프를 설치하여 작업
중량물 및 차량계건설기계 작업계획 미수립 상태에서 작업 중 사고 중량물 및 차량계건설기계 작업계획서 수립/검토/승인 후 작업, 작업 전 근로자에게 계획 등 교육 실시
작업환경 요인 조명 부적합으로 작업 중 추락, 충돌, 전도 작업장에 적합한 조명 설치

 

 

보일러 설치 작업 재해 사례

 

보일러 정비작업 중 시스템 비계 도괴

 

  • 재해개요
    • 발전용 설비(보일러) 내부에서 정비작업 중, 이동 통로 및 작업 발판 용도로 설치된 시스템 비계(16.5m×16.5×46.9m)가 도괴되어, 작업 중이던 근로자 2명 사망, 11명 부상.
  • 재해원인
    • 조립상세도 미작성
    • 비계 점검 및 보수 미흡
  • 안전대책
    • 비계 조립 시 관련 법적 기준 및 구조 계산에 따른 설계도서(조립상세도)의 기준과 최대(허용) 적재하중 준수
    • 비계 등의 가설재는 의무안전인증 제품 사용
    • 작업 시작 전 비계를 점검하고 이상 발견시 보수(보강) 후 작업 실시
  • 형태
    • 도괴

 

철골 구조물 상부에서 찬넬 거치 작업 중 추락

 

  • 재해개요
    • 피재자가 천정크레인 주행 궤도 보도발판 위에서 덕트 냉각탑 설치 작업을 하던 중 운행하던 천정크레인과 덕트사이에 협착되어 사망한 재해
  • 재해원인
    • 크레인 전원차단 미흡
    • 신호수 미배치
  • 안전대책
    • 천정크레인 주행궤도상에서 작업을 하는 때에는 크레인 운전을 정지
    • 신호수를 배치하여 작업구간으로의 운행 및 작업상황을 감시하는 등의 조치를 하여야 함 
  • 형태
    • 협착

 

철골조 판넬 설치용 찬넬의 수정설치 작업 중 추락

 

  • 재해개요
    • 지하1층 이동식비계 위에서 배관 냉각탑 설치작업 후 내려오던 중,  1.5m아래 콘크리트바닥으로 추락하여 사망한 재해임
  • 재해원인
    • 추락방지조치 미흡
    • 안전대부착설비 미설치, 안전대 미착용
  • 안전대책
    • 높건물 내부마감 및 설비작업을 진행함에 있어 이동식비계 위에서 작업 및 승하강시에는 안전모를 착용하고 턱끈을 결속하여 안전모가 머리에 밀착되도록 조치한 후 작업을 진행하여야 함
  • 형태
    • 추락

 

컷터기를 사용하여 c형찬넬 절단 작업 중 감전

 

  • 재해개요
    • 공조실 내부배관 설치에 사용되는 배관 지지용 C 찬넬을 제작하기 위해 배관 가공장에서 컷터기를 이용하여 배관 지지용 C 찬넬을 절단 하던 중 누설전류에 의한 감전으로 사망한 재해
  • 재해원인
    • 누전차단기 미설치
    • 외함접지 미흡
  • 안전대책
    • 전기 기계기구 금속제 외함에는 누설전류에 의한 감전재해예방을 위하여 외함 접지 철저
    • 대지전압이 150볼트를 초과하는 전기를 사용하는 경우 누전에 대한 감전위험을 방지하기 위하여 당해 전로의 정격에 적합하고 감도가 양호하며 확실히 작동하는 감전방지용 누전차단기를 설치한후 사용
    • 금속제 외함으로 되어 있는 전기 기계기구인 파이프 컷터기 외함으로 누설전류 발생시 감전을 방지하기 위하여 손잡이는 반드시 절연재질 (플라스틱재질)의 절연재로 피복 되어진 상태로 사용
  • 형태
    • 감전

 

비계상에서 보온재 설치 작업 중 추락

 

  • 재해개요
    • 비계상에서 건식반응탑 외부 보온재 설치작업을 하던 중 콘크리트 바닥으로 떨어져 사망한 재해
  • 재해원인
    • 작업발판 설치 불량
    • 안전난간 미설치
  • 안전대책
    • 높이 2m 이상의 고소작업을 하는 때에는 비계를 조립하고 개구부가 발생하지 않도록 작업발판을 밀실하게 설치하여야 함
    • 작업발판 단부에는 안전난간을 설치하는 등 추락방호조치를 하여야 함
  • 형태
    • 붕괴, 추락

 

옥상 조형물 시트판넬 설치작업 중 추락

 

  • 재해개요
    • 옥상 조형물 마감작업을 위해 철구조물 상부에서 시트판넬 설치작업을 진행하던 중 단부에서 실족하여 약 20m아래의 곤돌라 내부로 추락ㆍ사망한 재해
  • 재해원인
    • 작업발판 미설치
    • 안전망 미설치
  • 안전대책
    • 옥상 조형물 설치작업을 진행하는 때에는 비계조립에 의해 작업발판을 설치하고, 발판단부에는 안전난간을 설치하거나 작업
    • 이동구간 하부에 안전방망을 설치하는 등 추락방호조치를 하여야 함 
  • 형태
    • 추락

 

크레인으로 냉각기 Tube Bundle 해체 및 인양 중 피재자 가격

 

  • 재해개요
    • 이동식 크레인으로 인양작업 중 Tube Bundle Walking Way에 위치한 피재자를 가격하여 1명이 사망하고 1명이 부상당한 재해
  • 재해원인
    • 신호체계 미흡
    • 유도로프 미설치
  • 안전대책
    • 작업자가 인양물에 근접해 있는 경우에는 인양 및 크레인 붐 등이 이동되지 않도록 신호체계를 확립하여야 함
    • 작업을 진행하여야 하는 때에는 유도로프를 설치하여 이동경로에서 일정거리 이상 떨어져 작업하여야 함 
  • 형태
    • 충돌

 

철골 부재 인양, 하차 중 줄걸이용 로프 이탈

 

    • 재해개요
      • 카고트럭에 실려있던 철골 기둥재를 타워크레인을 이용하여 하차작업 중 줄걸이용 와이어로프가 타워크레인의 훅에서 이탈되면서 철골 기둥재가 낙하, 피재자를 강타하여 사망한 재해
    • 재해원인
      • 사용 전 점검 미흡
      • 작업방법 불량
    • 안전대책
      • 크레인 사용시 관리감독자로 하여금 재료의 결함유무 또는 기구 및 공구의 기능을 점검하는 등 사용 전 장비의 점검(훅 해지장치의 완전 밀착형으로 수리 또는 교체) 철저
      • H-형강 등 중량물 인양시 인양자재의 무게중심을 고려하여 좌우 대칭인 수평유지 상태의 줄걸이가 되도록 별도 러그(Lug)를 부착하여 자재 인양
      • 별도의 가이드로프를 사용하는 등의 방법으로 인양물 하부에 근로자의 접근이 되지 않도록 조치
    • 형태
      • 이탈, 추락

 

자재하역 후 후진하던 지게차에 충돌

 

  • 재해개요
    • 아파트 주차장 상부에서 자재를 하역한 후 후진하던 지게차(2.7ton)에 피재자가 충돌하여 사망한 재해
  • 재해원인
    • 출입금지구역 미설정
    • 근로자 출입통제 미흡
  • 안전대책
    • 지게차 등 차량계 하역운반기계를 사용하여 작업을 하는 때에는 하역 또는 운반중인 화물이나 차량계 하역운반기계에 접촉되어 근로자에게 위험을 미칠 우려가 있을 경우 근로자 출입금지 구역을 설정
    • 유도자를 배치하여 정해진 신호방법에 따라 작업을 진행하여야 함 
  • 형태
    • 충돌

 

체인블럭으로 철골계단 인양 작업 중 철골계단에서 추락
  • 재해개요
    • 체인블럭을 이용하여 철골계단 인양작업 중 달기체인의 샤클에 지지된 러그(lug)의 용접부위가 파단되었고, 그 충격으로 체인블럭의 체인이 파단되어 철골 계단 위에 있던 피재자가 지상 3층 바닥 높이의 구조물 상부로 추락하여 사망한 재해
  • 재해원인
    • 용접작업 미흡
    • 안전대부착설비 미설치
  • 안전대책
    • 철골 계단용 인양 러그의 용접결함 방지를 위하여 용접 이음부에는 수분, , 페인트, 기름 등에 대해 청소작업을 충분히 실시하여야 하고, 목표 용접강도가 확보되도록 작업관리를 철저히 하여야 함
    • 또한, 고소에서의 계단 설치작업의 경우 안전대를 안전대 부착설비에 걸고 작업하여야 함
  • 형태
    • 추락

 

냉각수 물탱크 해체작업 중 협착

 

  • 재해개요
    • 냉각수 물탱크 철거를 위해 산소절단기로 용단작업을 하던 중 물탱크 일부가 피재자 방향으로 도괴되면서 피재자의 두부와 상체부분이 물탱크와 벽체사이에 협착 되어 사망한 재해임.
  • 재해원인
    • 해체작업 계획 미수립
    • 해체시 도괴방지 고정 미흡
  • 안전대책
    • 물탱크 등의 구조물 해체작업을 하는 때에는 미리 해체물의 조사결과에 따라, ‘해체방법 및 순서도면, 가설방호환기설비, 해체작업용 기계기구 등의 내용이 포함된 해체계획을 작성하고 그에 따라 작업
    • 해체시에는 상→하부방향으로 순차적으로 해체하되, 도괴방지를 위해 체인블럭 또는 wire rope 등으로 고정하여야 함
  • 형태
    • 협착

 

소성로 연돌 보수작업 중 화재
  • 재해개요
    • 연돌 내부에서 내화벽돌 교체 작업 중 양중이 곤란한 작업발판의 일부분을 휴대용 전기용접기로 절단하는 과정에서 찬 공기 유입을 막기 위하여 설치한 부직포에 불똥이 떨어져 화재가 발생하여 2명이 사망하고 1명이 부상한 재해
  • 재해원인
    • 달비계 구조변경 작업위치 불량
    • 가연성 물질 제거 미흡
  • 안전대책
    • 철골 계단용 인양 러그의 용접결함 방지를 위하여 용접 이음부에는 수분, , 페인트, 기름 등에 대해 청소작업을 충분히 실시하여야 하고, 목표 용접강도가 확보되도록 작업관리를 철저히 하여야 함
    • 또한, 고소에서의 계단 설치작업의 경우 안전대를 안전대 부착설비에 걸고 작업하여야 함 
  • 형태
    • 화재, 화상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