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안전관리자/위험성 평가

냉각탑 설치 작업 위험성 평가

by 안전관리자kim 2024. 6. 6.
반응형

 

개요

 

  • 물이 증발하면 주위로 증발잠열을 빼앗아 주위를 냉각시키고, 공기는 물의 온도차에 의한 현열로 냉각되는데 물의 체공시간을 최대한으로 늘리고, 접촉 표면적을 최대화하여, 풍량을 증대시켜 물과 공기의 접촉을 최대한 증대시켜서 많은 증발이 일어나도록 하는 장치이다.
  • 중량물 운반 시 낙하, 고소작업 시 추락, 비계 및 작업발판 미설치로 추락, 탱크내부 도장작업 시 질식 등의 사고가 발생한다.

 

단위작업 분류 및 순서

 

  1. 자재 반입 및 양중
  2. 자재 가공 및 조립
  3. 기둥 및 빔 설치
  4. 배관양중 설치(냉각수)
  5. 외부 Casing 설치 작업
  6. 충진재 설치 작업
  7. 가지관 및 노즐 설치
  8. 비산 제거기(Eliminator) 설치 작업
  9. 구동부 베이스 양중 및 설치
  10. 구동부 양중 및 설치 작업, Fan Deck 설치(상판)
  11. Fan Stack 설치 작업
  12. 감속기 설치 작업
  13. FAN 설치 작업
  14. 샤프트 설치 및 얼라인먼트 작업 및 시운전

 

1. 자재 반입 및 양중 작업

 

자재 반입 및 양중 작업

 

분류 유해위험요인 감소대책
인적 요인 장비 반입절차 등을 이행하지 않고 작업 중 장비자체 결함 등에 의한 사고 발생 작업착수 전 작업허가서 제출 및 검토를 통해 작업전 허가서와 부합되는 준비상태를 확한 후 작업실시
지게차로 자재 하역 중 후방에 근로자 접근충돌 후방접근 금지 조치 , 후진 전 후방 확인실시, 후진경보기, 후사경, 후방카메라 등 확인후 이동
운반트럭 적재함에  임의로 올라가서 작업 중 추락 차량 적재함 운전자  탑승 작업금지
하역작업시 주변통제 미실시로 충돌 하역작업시 유도자 배치 및 출입통제 조치
기계적 요인

자재 적재 지반의 불량에 의한 도괴 견고하고 평탄한 지반에 받침목을 고이고 적재
크레인 과부하 및 권과방지 안전장치 미작동으로 인한 전도 크레인 작업전 안전장치 작동상태 확인 미작동 장비 수리후 작업 실시
자재 하역 중 인양로프가 끊어져 자재가 낙하 인양로프는 손상되거나 변형, 부식되지 않은 것 사용
크레인의 아웃트리거 미사용으로 자재 인양시 크레인 전도 크레인 아웃트리거 최대로 확장, 받침은 철판 등 설치하여 국부적인 지반 침하방지 조치
전기적 요인 고압선로 주변 크레인 작업중 선로 접촉 감전 고압선로 주변 작업을 지양하고 작업시 감시자 배치
고압선로 방호관 설치
작업특성 요인 줄걸이 작업 확인 미흡으로 인한 결속되지 않은 부자재 낙하 여러 뭉치가 하나의 밴드로 묶여서 온 것은 전체를 하나로 묶어서 줄걸이 작업 실시
중량물 및 차량계건설기계 작업계획 미 수립 상태에서 작업중  사고 중량물 및 차량계건설기계 작업계획서 수립/검토/승인 후 작업, 작업전 근로자에게 계획 등 교육 실시
작업환경 요인 운반차량 진출입 작업 중 외부차량과 충돌 자재 반입차량의 진출입시 신호수 배치 및 도로구획 정리

 

 

2. 자재 가공 및 조립 작업

 

자재 가공 및 조립 작업

 

분류 유해위험요인 감소대책
인적 요인 크레인 작업 중 신호불일치로 협착 크레인 작업시 신호체계를 확립하고 신호수 배치
지상조립 중인 자재 위를 지나가던 중 걸려 넘어짐 조립중인 자재 위 이동 시 확인 철저 등 교육 실시
기계적 요인

중량물 취급시 낙하 충돌 크레인 이용하여 거푸집 등 운반시 유도로프 설치
인양전 생명줄 미설치 상태로 인양, 철골 설치시 근로자 추락 철골 설치 전 하부에서 철골 난간대 설치 및 생명줄  설치 (16mm로프/와이어로프)
안전시설물 불안전한 설치로 철골과의 결속부 탈락 철골난간대등 적정자재 사용 및 설치 전 파손 여부 확인/로프결속  및 와이어 로프 클립체결기준 준수(미숙련공 안전시설물 설치금지)
전기적 요인 전동공구로 자재 가공 및 조립 중 누전으로 감전 전동공구 사용 전, 중 수시 점검 및 점검 필증 부착
사용하는 전선의 피복 노출로 충전부 접촉 감전위험 가설전선 사용 전, 중 점검실시 및 가공 배선 설치 
재료적 요인 안전사다리 안전성 미확인으로 인한 작업 중 추락 및 낙하 철골기둥 이동용 Ladder 공장제작 납품
고압가스 사용 부주위로 인한 화재, 폭발 사고 사용교육, 점검, 안전장치 및 MSDS 표지 관리철저
양중용 LUG를 현장에서 제작 설치함으로 균형불량, 용접결함 등에 의한 인양/건립 작업 중LUG파단 낙하 양주용 LUG는 부재의 중량 및 길이에 따라 크기 및 위치를 결정 공장제작 납품
작업특성 요인 지상조립을 위해 이동 중 자재에 발이 걸려 넘어진 조립장 통로구분 및 통로에 자재 적치 금지
조립도 미작성으로 조립과정 일부 부재 누락시공 구조검토 실시, 조립도 작성
작업환경 요인 지조립 작업장내로 차량 등 장비진입 중 근로자 충돌 작업장 구획 정리 타 장비 등 차량 접근통제 조치

 

 

3. 기둥 및 빔 설치 작업

 

기둥 및 빔 설치 작업

 

분류 유해위험요인 감소대책
인적 요인 달기로프 해체시 보호구 미착용으로 추락위험 3종 및 안전벨트 사용 및 지상에서 수직 구명줄 설치
안전밸트 미착용 상태에서 작업 중 추락 철골 작업시 2개걸이 안전밸트 착용 철저
철골기둥 생명줄 미설치 및 안전대 미착용으로 추락 철골기둥 승 / 하강 시  생명줄 사용철저
기계적 요인

설치 작업 중  빔 낙하 와이어로프 사전 점검 및 사용중 수시 점검 실시
빔 운반 설치작업 중 빔과 충돌위험 연락체계 확립, 유도로프 설치하여 작업 실시
달기보조 기구류 불량으로 낙하 달기보조 기구 (와이어, 샤클) 사전점검
지반 및 아우트리거 설치 불량, 장비전도 사전지반조사 및 아웃트리거 설치 확인
철골기둥 건립 작업중 기둥의 전도 최초 기둥 설치시 전도 방지용 와이어 설치 하여 수직,수평유지(절 별 설치시 볼트를  확실하게 체결 고정
전기적 요인 전동공구로 사용 중 누전으로 감전 전동공구 사용 전, 중 수시 점검 및 점검 필증 부착
사용하는 전선의 피복 노출로 충전부 접촉 감전위험 가설전선 사용 전, 중 점검실시 및 가공 배선 설치 
재료적 요인 와이어/섬유로프의 파단, 샤클의 마모에 의한 낙하 부적격한 와이어/섬유로프 사용금지, 달기로프 사용 기준 준수, 샤클 규격품 사용
철골기둥과 앙카매입 바닥사이의 채움 불량으로 철골 좌굴 칼럼 BASE 플레이트가 설치될 부분은 취핑하여 청소하고 불순물을 제거한 후 무수축 그라우팅 타설
작업특성 요인 기둥 중간에 girder 미설치 상태에서 상부 트러스 작업시 전도 GIRDER 설치 후 상부 트러스 거치
중량물 및 차량계건설기계 작업계획 미수립 상태에서 작업중 사고 중량물 및 차량계건설기계 작업계획서 수립/검토/승인 후 작업, 작업전 근로자에게 계획 등 교육 실시
작업환경 요인 악천후시 작업 중 사고 악천후시 작업 중지

 

 

4. 배관 양중 설치(냉각수) 작업

 

배관 양중 설치(냉각수) 작업

 

분류 유해위험요인 감소대책
인적 요인 지게차 사용 중 충돌 협착 지게차 사용시 전담신호수 배치, 작업반경내 출입통제, 후방감시카메라 확인
장비점검 미흡으로 인한 작업 중 사고 장비종류에 따른 점검체크리스트를 작성하여 점검
장비작업 전 신호수 미지정에 의한 사고 장비작업 전 신호수를 지정하고 신호수 교육을 실시
자재적치 시 협착 자재 적재 시 규격별로 적재하고, 자재 적재 시 받침목 사용
기계적 요인 지게차 사용 중 타공사 인접하여 작업 중 사고 지게차 이동 동선에 자재, 공사 등의 확인 점검
지게차에 과적하여 운행 중 낙하, 충돌 자재 운반 시 낙하 및 굴림을 방지조치 및 운반로 사전 안전조치(개구부 및 요철부 제거)
제작된 파이프 스풀이 일정치 않아 츄레라에 적재 시 작업자 전도 위험 파이프 스풀 적재 시 과다 적재 금지
스풀 인양 시 스풀 모양이 불규칙하여 흔들릴 경우 발생 인양 시 작업자 안전 거리 유지 및 유도로프 설치하여 작업
시야가 미확보된 상태에서 윈치를 이용(2,3차 활차 사용 등)하여 배관을 Lifting중 구조물과 충돌 등으로 자재 낙하 위험 전담 신호수 고정 배치 및 신호방법 통일 (인양작업 전 활차 상태 점검)
안전시설이 미확보 상태에서 가설지 작업 중 추락 및 줄걸이 방법 불량으로 가설치된 배관 낙하 위험 배관 임시줄걸이용 작업대(T/L, 틀비계 등) 확보, 무리하게 사다리를 이용한 줄걸이 작업 금지
줄걸이 방법 불량으로 인양중인 자재 낙하 자재 형상별 줄걸이 방법 결정 및 줄걸이 상태 확인
자재를 적재한 후 이동통로 미확보에 의한 근로자 이동 중 사고 자재 적재방향 및 보행 통로 확보
적재장소의 확보 미흡에 따른 자재전도 자재 적재장소 지반의 평탄 확보 및 받침대 설치
재료적 요인 공장 제작이 아닌 작업장에서 만든 공구를 사용 파이프 인양 인증된 인양 기구만을 사용 하는지 확인
작업특성 요인 작업위치에 대한 사전조사 미흡에 따른 사고 자재적재 장소 및 운반 장소에 대해 사전파악 후 개구 및 작업 간섭 공종과 협의 하여 작업 진행

 

 

5. 외부 Casing 설치 작업

 

외부 Casing 설치 작업

 

분류 유해위험요인 감소대책
인적 요인 안전대 미착용 및 안전대걸이 부착설비 미설치로 추락 탑승시 붐대에 설치된 안전대 부착설비에 안전밸트 고리 체결
Cage의 탈락으로 추락 정격하중 준수 및 볼트 체결부 , 용접부 점검 철저
작업중 낙하물이 발생하여 근로자가 맞음 작업 시 낙하물이 발생하지 않도록 작업하고 하부에 출입통제 조치
기계적 요인 장비의 불시 이동에 의한 추락, 낙하 작업 시 신호수를 배치하고 작업자와 운전자의 신호체계 확립하여 작업
작업 중 크레인 및 고소작업차 등 전도 장비 설치 지반의 상태 및 아웃트리거 설치 상태 확인
하지철물위에서 작업중 추락 하지철물 위에서 작업하는 것을 금지하고 부득히 작업 시 안전대를 걸고 작업
패널 양중 작업 중 패널의 유동에 의한 충돌 패널 인양 작업 시 보조로프를 설치하여 인양
크레인 및 고소작업차 안전장치 결함에 의한 사고 장비 작업전 장비에 대한 점검 실시
 전기적 요인 미 검정 전동공구 사용 중 감전 작업전 공도구 점검, 접지선과 누전차단기 사용
가설전선 피복 노출로 인한 감전 가설전선은 분전함에서 인출되어 접지 및 누전이 차단되도록 하여
작업특성 요인 용접작업중 불꽃비산하여 화재발생 불꽃비산방지 조치실시 방지막설치, 불티감시자등을 배치하여 화재대비
작업환경 요인 강풍에 의한 판넬 날림 및 작업대에서 추락 강풍 등 악천후시 작업 중지

 

 

6. 충진재 설치 작업

 

충진재 설치 작업

 

분류 유해위험요인 감소대책
인적 요인 안전밸트 미착용 상태에서 작업 중 추락 안전밸트 착용 철저
기계적 요인

단부에서 충진재 설치 작업 중 추락 단부에 안전난간 등 추락방지시설 설치 및 작업자 안전고리 걸고 작업
상부 개구부 주변 작업 중 추락 개구부에 덮개 , 안전난간을 설치한 후 작업
상부로 이동하는 통로 부적합으로 이동중 추락 상부로 이동하는 승강계단 통로 설치
지반 및 아우트리거 설치 불량, 장비 전도 사전지반조사 및 아웃트리거 설치 확인
전기적 요인 전동공구로 사용 중 누전으로 감전 전동공구 사용 전, 중 수시 점검 및 점검 필증 부착
사용하는 전선의 피복 노출로 충전부 접촉 감전위험 가설전선  사용 전, 중 점검실시 및 가공 배선 설치 
작업특성 요인 중량물 및 차량계건설기계 작업계획 미수립 상태에서 작업중 사고 중량물 및 차량계건설기계 작업계획서 수립/검토/승인 후 작업, 작업전 근로자에게 계획 등 교육 실시
작업환경 요인 악천후시 작업 중 사고 악천후시 작업 중지

 

 

7. 가지관 및 노즐 설치 작업

 

가지관 및 노즐 설치 작업

 

분류 유해위험요인 감소대책
인적 요인 지게차 사용 중 충돌 협착 지게차 사용시 전담신호수 배치, 작업반경내 출입통제, 후방감시카메라 확인
장비점검 미흡으로 인한 작업 중 사고 장비종류에 따른 점검체크리스트를 작성하여 점검
장비작업 전 신호수 미지정에 의한 사고 장비작업 전 신호수를 지정하고 신호수 교육을 실시
자재적치 시 협착 자재 적재 시 규격별로 적재하고, 자재 적재 시 받침목 사용
기계적 요인 지게차 사용 중 타공사 인접하여 작업 중 사고 지게차 이동 동선에 자재, 공사 등의 확인 점검
지게차에 과적하여 운행 중 낙하, 충돌 자재 운반 시 낙하 및 굴림을 방지조치 및 운반로 사전 안전조치(개구부 및 요철부 제거)
제작된 파이프 스풀이 일정치 않아 츄레라에 적재 시 작업자 전도 위험 파이프 스풀 적재 시 과다 적재 금지
스풀 인양 시 스풀 모양이 불규칙하여 흔들릴 경우 발생 인양 시 작업자 안전 거리 유지 및 유도로프 설치하여 작업
시야가 미확보된 상태에서 윈치를 이용(2,3차 활차 사용 등)하여 배관을 Lifting중 구조물과 충돌 등으로 자재 낙하 위험 전담 신호수 고정 배치 및 신호방법 통일 (인양작업 전 활차 상태 점검)
안전시설이 미확보 상태에서 가설지 작업 중 추락 및 줄걸이 방법 불량으로 가설치된 배관 낙하 위험 배관 임시줄걸이용 작업대(T/L, 틀비계 등) 확보, 무리하게 사다리를 이용한 줄걸이 작업 금지
줄걸이 방법 불량으로 인양중인 자재 낙하 자재 형상별 줄걸이 방법 결정 및 줄걸이 상태 확인
자재를 적재한 후 이동통로 미확보에 의한 근로자 이동 중 사고 자재 적재방향 및 보행 통로 확보
적재장소의 확보 미흡에 따른 자재전도 자재 적재장소 지반의 평탄 확보 및 받침대 설치
재료적 요인 공장 제작이 아닌 작업장에서 만든 공구를 사용 파이프 인양 인증된 인양 기구만을 사용 하는지 확인
작업특성 요인 작업위치에 대한 사전조사 미흡에 따른 사고 자재적재 장소 및 운반 장소에 대해 사전파악 후 개구 및 작업 간섭 공종과 협의 하여 작업 진행

 

 

8. 비산 제거기(Eliminator) 설치 작업

 

비산 제거기(Eliminator) 설치 작업

 

분류 유해위험요인 감소대책
인적 요인 안전밸트 미착용 상태에서 작업 중 추락 안전밸트 착용 철저
기계적 요인

단부에서 Eliminator설치 작업 중 추락 단부에 안전난간 등 추락방지시설 설치 및 작업자 안전고리 걸고 작업
상부 개구부 주변 작업 중 추락 개구부에 덮개 , 안전난간을 설치한 후 작업
상부로 이동하는 통로 부적합으로 이동중 추락 상부로 이동하는 승강계단 통로 설치
지반 및 아우트리거 설치 불량, 장비전도 사전지반조사 및 아웃트리거 설치 확인
전기적 요인 전동공구로 사용 중 누전으로 감전 전동공구 사용 전, 중 수시 점검 및 점검 필증 부착
사용하는 전선의 피복 노출로 충전부 접촉 감전위험 가설전선  사용 전, 중 점검실시 및 가공 배선 설치 
작업특성 요인 중량물 및 차량계건설기계 작업계획 미수립 상태에서 작업중 사고 중량물 및 차량계건설기계 작업계획서 수립/검토/승인 후 작업, 작업전 근로자에게 계획 등 교육 실시
작업환경 요인 악천후시 작업 중 사고 악천후시 작업 중지

 

 

9. 구동부 베이스 양중 및 설치 작업

 

구동부 베이스 양중 및 설치 작업

 

분류 유해위험요인 감소대책
인적 요인 안전밸트 미착용 상태에서 작업 중 추락 철골 작업시 2개걸이 안전밸트 착용 철저
철골기둥 생명줄 미설치 및 안전대 미착용으로 추락 철골기둥 승 / 하강 시  생명줄 사용철저
기계적 요인

설치 작업 중 구동베이스의 낙하 와이어로프 사전 점검 및 사용중 수시 점검 실시
좁은 공간에서 중량물 운반 중 충돌위험 연락체계 확립, 유도로프 설치하여 작업 실시
달기보조 기구류 불량으로 낙하 달기보조 기구(와이어, 샤클) 사전점검
이동통로 단부에 안전난간 미설치로 추락 단부에 안전난간 설치
작업부위 주변 개구부로 추락 하부에 작업발판 설치, 추락방지망 설치 후 작업
전기적 요인 전동공구로 사용 중 누전으로 감전 전동공구 사용 전, 중 수시 점검 및 점검 필증 부착
용접기 외함 접지 미실시로 감전 용접기 외함 감전재해 예방 접지 실시
용접기 충접부에 접촉 및 자동전격방지기 미설치로 감전 용접기 충전부 절연 조치 및 자동전격방지기 설치하여 무부하시 25V 이하로 유지 및 주기적으로 작동상태 점검
사용하는 전선의 피복 노출로 충전부 접촉 감전위험 가설전선  사용 전, 중 점검실시 및 가공 배선 설치 
작업특성 요인 중량물 및 차량계건설기계 작업계획 미수립 상태에서 작업중 사고 중량물 및 차량계건설기계 작업계획서 수립/검토/승인 후 작업, 작업전 근로자에게 계획 등 교육 실시
작업환경 요인 작업장 조명 불량에 의한 폅착, 충돌, 전도, 추락 등 사고 작업장에 적합한 조명설비 설치 후 작업

 

 

10. 구동부 양중 및 설치 Fan Deck 설치(상판) 작업

 

구동부 양중 및 설치 Fan Deck 설치(상판) 작업

 

분류 유해위험요인 감소대책
인적 요인 신호수와 운전원 간의 신호 불일치로 조립작업자 인양물에 충돌 작업 전 신호체계 확립, 운전석에서 보이는 위치에 신호수 배치
안전벨트 미착용 상태에서 작업 중 추락 작업시 2개걸이 안전벨트 착용 철저
기계적 요인

인양시 와이어 파단으로 인한 낙하위험 양중용 와이어로프, 슬링벨트 등 점검 후 작업 실시
구동부 양중 및 설치시 기계공 협착위험 협착 가능한 지점에 사전에 보호조치를 한다.
달기보조 기구류 불량으로 낙하 달기보조 기구(와이어, 샤클) 사전점검
주변 개구부로 추락, 공구 낙하 작업점 주변 개구부 덮개, 안전난간 설치
전기적 요인 전동공구로 사용 중 누전으로 감전 전동공구 사용 전, 중 수시 점검 및 점검 필증 부착
사용하는 전선의 피복 노출로 충전부 접촉 감전위험 가설전선  사용 전, 중 점검실시 및 가공 배선 설치 
작업특성 요인 중량물 및 차량계건설기계 작업계획 미수립 상태에서 작업 중 사고 중량물 및 차량계건설기계 작업계획서 수립/검토/승인 후 작업, 작업전 근로자에게 계획 등 교육 실시
작업환경 요인 악천후 시 작업 중 사고 악천후 시 작업 중지

 

 

11. FAN STACK 설치 작업

 

FAN STACK 설치 작업

 

분류 유해위험요인 감소대책
인적 요인 크레인 작업 중 신호불일치로 협착 크레인 작업시 신호체계를 확립하고 신호수 배치
안전벨트 미착용 상태에서 작업 중 추락 철골 작업시  2개걸이 안전벨트 착용 철저
기계적 요인

설치 작업 중  전동모터의 낙하 와이어로프 사전 점검 및 사용중 수시 점검 실시
FAN STACK  설치시 고정상태 불량에 의한 추락 하부에 안전망, 작업발판 설치
FAN STACK 설치작업 중 충돌위험 연락체계 확립, 유도로프 설치하여 작업 실시
달기보조 기구류 불량으로 낙하 달기보조 기구(와이어, 샤클) 사전점검
지반 및 아우트리거 설치 불량, 장비전도 사전지반조사 및 아웃트리거 설치 확인
전기적 요인 전동공구로 사용 중 누전으로 감전 전동공구 사용 전, 중 수시 점검 및 점검 필증 부착
사용하는 전선의 피복 노출로 충전부 접촉 감전위험 가설전선 사용 전, 중 점검실시 및 가공 배선 설치 
재료적 요인 와이어/섬유로프의 파단, 샤클의 마모에 의한 낙하 부적격한 와이어/섬유로프 사용금지, 달기로프 사용 기준 준수, 샤클 규격품 사용
작업특성 요인 중량물 및 차량계건설기계 작업계획 미수립 상태에서 작업중 사고 중량물 및 차량계건설기계 작업계획서 수립/검토/승인 후 작업, 작업전 근로자에게 계획 등 교육 실시
작업환경 요인 악천후 시 작업 중 사고 악천후시 작업 중지

 

 

12. 감속기 설치 작업

 

감속기 설치 작업

 

분류 유해위험요인 감소대책
인적 요인 신호수와 운전원 간의 신호 불일치로 조립작업자 인양물에 충돌 작업 전 신호체계 확립, 운전석에서 보이는 위치에 신호수 배치
안전벨트 미착용 상태에서 작업 중 추락 작업시 2개걸이 안전벨트 착용 철저
기계적 요인

감속기 인양시 와이어 파단으로 인한 낙하위험 와이어로프 등 줄걸이 작업전 점검 철저
감속기 인양/설치시 기계공 협착위험 협착 가능한 지점에 사전에 보호조치를 한다.
달기보조 기구류 불량으로 낙하 달기보조 기구(와이어, 샤클) 사전점검
주변 개구부로 추락, 공구 낙하 작업점 주변 개구부 덮개, 안전난간 설치
전기적 요인 전동공구로 사용 중 누전으로 감전 전동공구 사용 전, 중 수시 점검 및 점검 필증 부착
사용하는 전선의 피복 노출로 충전부 접촉 감전위험 가설전선 사용 전, 중 점검실시 및 가공 배선 설치 
작업특성 요인 중량물 및 차량계건설기계 작업계획 미수립 상태에서 작업 중 사고 중량물 및 차량계건설기계 작업계획서 수립/검토/승인 후 작업, 작업전 근로자에게 계획 등 교육 실시
작업환경 요인 악천후 시 작업 중 사고 악천후 시 작업 중지

 

 

13. FAN 설치 작업

 

FAN 설치 작업

 

분류 유해위험요인 감소대책
인적 요인 FAN 설치시 근로자의 손 협착위험 전용 공도구를 사용하여 협착을 예방한다
안전벨트 미착용 상태에서 작업 중 추락 FAN 설치 작업시 2개걸이 안전벨트 착용 철저
기계적 요인

인양구의 개구부로 인해 근로자의 추락위험 탈부착형 안전난간을 설치하여 추락예방
달기보조 기구류 불량으로 낙하 달기보조 기구(와이어, 샤클) 사전점검
절단 및 그라인더 작업 시 불꽃 비산. 화재 사고 불꽃 비산방지장치 설치 , 소화기 비치, 가연성,인화성 물질 제거, 화기감시자 배치 등 화재예방 조치 후 작업
조명 상태 불량에 의한 작업중 추락, 낙하, 부딪힘 작업전 조명상태 확인 철저, 특히 회전부위 조명 설치 철저
전기적 요인 전동공구 사용 중 누전에 의한 감전 전동공구 사용 전 누전, 안전장치 등 사전점검 실시 필증 부착 후 사용하고 주기적으로 점검 실시
사용하는 전선의 피복 노출로 충전부 접촉 감전위험 가설전선 사용 전, 중 점검실시 및 가공 배선 설치 
작업특성 요인 FAN 설치용 통로 설치 상태 부적합에 의한 추락 FAN설치 작업장으로 이동할 수 있는 통로 설치
작업환경 요인 악천후 시 작업 중 사고 악천후 시 작업 중지

 

 

14. 샤프트 설치, 얼라이인먼트 작업 및 시운전 작업

 

샤프트 설치, 얼라이인먼트 작업 및 시운전 작업

 

분류 유해위험요인 감소대책
인적 요인 크레인 작업 중 신호불일치로 협착 크레인 작업시 신호체계를 확립하고 신호수 배치
안전벨트 미착용 상태에서 작업 중 추락 안전벨트 착용 철저
시운전시 운전원과 근로자간 신호불일치로 협착위험 시운전시는 모든 출입문 통제
기계적 요인

샤프트 설치  작업 중 부재의 낙하 하부에 안전 그물망/또는 발판 설치
FAN 볼팅 상태 불량에 의한 사고 각 부속장비의 볼트 조립상태 확인
달기보조 기구류 불량으로 낙하 달기보조 기구(와이어, 샤클) 사전점검
조명 상태 불량에 의한 작업중 추락, 낙하, 부딪힘 작업전 조명상태 확인 철저, 특히 회전부위 조명 설치 철저
전기적 요인 전동공구로 사용 중 누전으로 감전 전동공구 사용 전, 중 수시 점검 및 점검 필증 부착
사용하는 전선의 피복 노출로 충전부 접촉 감전위험 가설전선 사용 전, 중 점검실시 및 가공 배선 설치 
재료적 요인 시운전 중 감속기 이상음 및 진동발생 감속기 오일 충진 확인 및 모터결선 확인
작업특성 요인 시운전 확인 작업시 각 회전부위에 덮개 및 울 미설치로 인한 사고 시운전 작업전 회전부위에 덮개 및 울 설치 확인 후 작업
작업환경 요인 작업 완료 후 조명을 빨리 철저하여 시운전 등 작업시 사고 작업조명 철저는 시운전 후 보수 작업완료 후  철저

 

 

냉각탑 설치 작업 재해 사례

 

철골기둥 설치 작업 중 기둥 도괴

 

  • 재해개요
    • 이동식크레인을 이용하여 철골 기둥세우기 작업 중 철골부재가 슬링벨트로부터 이탈되어 전도되면서 철골부재에 피재자가 맞아 사망한 재해
  • 재해원인
    • 작업방법 불량
    • 작업계획서 미작성
  • 안전대책
    • 중량물을 인양할 경우에는 인양부재로부터 줄걸이의 이탈을 예방하기 위하여 중량물의 형상 등을 고려하여 안전한 줄걸이 방법을 선정하여 관리
    • 중량물을 취급하는 작업을 하는 때에는 중량물의 종류 및 형상, 취급방법 및 순서, 작업장소의 넓이 및 지형 등에 대한 작업계획을 작성하고 당해 근로자에게 주지 
  • 형태
    • 낙하, 전도

 

철골 구조물 상부에서 찬넬 거치 작업 중 추락

 

  • 재해개요
    • 피재자가 천정크레인 주행 궤도 보도발판 위에서 덕트 냉각탑 설치 작업을 하던 중 운행하던 천정크레인과 덕트사이에 협착되어 사망한 재해
  • 재해원인
    • 크레인 전원차단 미흡
    • 신호수 미배치
  • 안전대책
    • 천정크레인 주행궤도상에서 작업을 하는 때에는 크레인 운전을 정지
    • 신호수를 배치하여 작업구간으로의 운행 및 작업상황을 감시하는 등의 조치를 하여야 함 
  • 형태
    • 협착

 

철골조 판넬 설치용 찬넬의 수정설치 작업 중 추락

 

  • 재해개요
    • 지하1층 이동식비계 위에서 배관 냉각탑 설치작업 후 내려오던 중, 1.5m아래 콘크리트바닥으로 추락하여 사망한 재해임
  • 재해원인
    • 추락방지조치 미흡
    • 안전대부착설비 미설치, 안전대 미착용
  • 안전대책
    • 높건물 내부마감 및 설비작업을 진행함에 있어 이동식비계 위에서 작업 및 승하강시에는 안전모를 착용하고 턱끈을 결속하여 안전모가 머리에 밀착되도록 조치한 후 작업을 진행하여야 함
  • 형태
    • 추락

 

비계상에서 냉각탑 설치재 설치 작업 중 추락

 

  • 재해개요
    • 비계상에서 건식반응탑 외부 냉각탑 설치재 설치작업을 하던 중 콘크리트 바닥으로 떨어져 사망한 재해
  • 재해원인
    • 작업발판 설치 불량
    • 안전난간 미설치
  • 안전대책
    • 높이 2m 이상의 고소작업을 하는 때에는 비계를 조립하고 개구부가 발생하지 않도록 작업발판을 밀실하게 설치하여야 함
    • 작업발판 단부에는 안전난간을 설치하는 등 추락방호조치를 하여야 함 
  • 형태
    • 추락

 

고소작업대에 바퀴가 개구부에 빠지면서 전도

 

  • 재해개요
    • 고소작업대를 이동시키던 중 합판을 덮어 놓은 맨홀에 바퀴가 빠지면서 고소작업대가 전도되어 Con'c 바닥으로 추락하여 사망한 재해
  • 재해원인
    • 이동시 하강미흡
    • 개구부 덮개 미설치
  • 안전대책
    • 고소작업대를 이동하는 때에는 작업대를 가장 낮게 하강하여 이동
    • 개구부는 견고한 재질로 덮개 설치 철저
  • 형태
    • 전도

 

철골부재 인양 하차중 줄걸이용로프 이탈

 

    • 재해개요
      • 카고트럭에 실려있던 철골 기둥재를 타워크레인을 이용하여 하차작업중 줄걸이용 와이어로프가 타워크레인의 훅에서 이탈되면서 철골 기둥재가 낙하, 피재자를 강타하여 사망한 재해
    • 재해원인
      • 사용전 점검 미흡
      • 작업방법 불량
    • 안전대책
      • 크레인 사용시 관리감독자로 하여금 재료의 결함유무 또는 기구 및 공구의 기능을 점검하는 등 사용전 장비의 점검(훅 해지장치의 완전 밀착형으로 수리 또는 교체) 철저
      • H - 형강 등 중량물 인양시 인양자재의 무게중심을 고려하여 좌우 대칭인 수평유지 상태의 줄걸이가 되도록 별도 러그(Lug)를 부착하여 자재 인양
      • 별도의 가이드로프를 사용하는 등의 방법으로 인양물 하부에 근로자의 접근이 되지 않도록 조치
    • 형태
      • 이탈, 추락

 

크레인으로 냉각기 Tube Bundle 해체 및 인양 중 피재자 가격

 

  • 재해개요
    • 이동식 크레인으로 인양작업 중 Tube BundleWalking Way에 위치한 피재자를 가격하여 1명이 사망하고 1명이 부상당한 재해
  • 재해원인
    • 신호체계 미흡
    • 유도로프 미설치
  • 안전대책
    • 작업자가 인양물에 근접해 있는 경우에는 인양 및 크레인 붐 등이 이동되지 않도록 신호체계를 확립하여야 함
    • 작업을 진행하여야 하는 때에는 유도로프를 설치하여 이동경로에서 일정거리 이상 떨어져 작업하여야 함 
  • 형태
    • 충돌

 

체인블럭으로 철골계단 인양 작업 중 철골계단에서 추락
  • 재해개요
    • 체인블럭을 이용하여 철골계단 인양작업 중 달기체인의 샤클에 지지된 러그(lug)의 용접부위가 파단되었고, 그 충격으로 체인블럭의 체인이 파단되어 철골 계단 위에 있던 피재자가 지상 3층 바닥 높이의 구조물 상부로 추락하여 사망한 재해
  • 재해원인
    • 용접작업 미흡
    • 안전대부착설비 미설치
  • 안전대책
    • 철골 계단용 인양 러그의 용접결함 방지를 위하여 용접 이음부에는 수분, , 페인트, 기름 등에 대해 청소작업을 충분히 실시하여야 하고, 목표 용접강도가 확보되도록 작업관리를 철저히 하여야 함
    • 또한, 고소에서의 계단 설치작업의 경우 안전대를 안전대 부착설비에 걸고 작업하여야 함
  • 형태
    • 추락

 

냉각수 물탱크 해체작업 중 협착

 

  • 재해개요
    • 냉각수 물탱크 철거를 위해 산소절단기로 용단작업을 하던 중 물탱크 일부가 피재자 방향으로 도괴되면서 피재자의 두부와 상체부분이 물탱크와 벽체사이에 협착 되어 사망한 재해임.
  • 재해원인
    • 해체작업 계획 미수립
    • 해체시 도괴방지 고정 미흡
  • 안전대책
    • 물탱크 등의 구조물 해체작업을 하는 때에는 미리 해체물의 조사결과에 따라, ‘해체방법 및 순서도면, 가설방호환기설비, 해체작업용 기계기구 등의 내용이 포함된 해체계획을 작성하고 그에 따라 작업
    • 해체시에는 상→하부방향으로 순차적으로 해체하되, 도괴방지를 위해 체인블럭 또는 wire rope 등으로 고정하여야 함
  • 형태
    • 협착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