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안전관리자

석면취급 작업 위험성 평가

by 안전관리자kim 2024. 6. 5.
반응형

 

개요

 

  • 석면취급 작업이라 석면함유 설비 또는 건축물의 파쇄, 개․보수 등으로 인하여 석면 분진이 흩날릴 우려가 있고 작은 입자의 석면폐기물이 발생되는 작업을 말한다.
  • 석면의 종류로는 백석면, 갈석면, 청석면, 안소필라이트석면, 트레모라이트석면, 악티노라이트석면 등 이상 6종의 광물, 석면이 중량기준 1 % 초과 함유된 물질, 석면 함유물질이 포함되어 있는 설비 및 건축물, 건축물 또는 시설의 내.외부에 내화, 흡음, 단열, 장식 및 기타 용도를 위해 분무, 미장 등의 방법으로 표면에 입혀진 석면등이 있다.

단위작업 분류 및 순서

 

  1. 사전조사 및 계획
  2. 작업 준비(인적)
  3. 작업 준비(시설)
  4. 석면 철거 작업
  5. 석면폐기물 반출 및 작업 종료

 

1. 사전조사 및 계획 작업

 

사전조사 및 계획 작업

 

분류 유해위험요인 감소대책
인적 요인 사전조사 작업시 안전대 미착용으로 인한 추락 고소부위 조사 작업시 안전대 고리 체결
사전조사 작업시 방진마스크 미착용으로 인한 호흡기 질환 방진마스크, 방진보 등 착용후 작업 실시
기계적 요인 자재 및 장비의 부족에 의한 사고 자재 물량 및 장비계획 수립
석면취급 작업에 대한 사전조사 미흡으로 인한 사고 석면함유가 의심되는 설비 또는 건축물내의 석면이 함유되어 있는지 여부에 대한 사전조사를 실시하여 해체, 제거, 보수, 리모델링 등과 같이 석면분진에 노출될 위험을 사전 인지 및 대처
석면취급 사전작업계획서 미작성 수립에 의한 사고 석면해체제거작업 계획을 수립하고, 이에 따라 작업을 수행
   1) 석면 해체제거작업의 절차 및 방법
   2) 석면 흩날림 방지 및 폐기방법
   3) 근로자 보호조치
투입인원 계획 미흡에 의한 사고 투입 인원에 대한 계획을 수립하여 작업
석면함유물질의 위치 및 면적확인 미흡에 의한 사고 도면을 충분히 검토하고 물질의 면적 및 위치 확인
작업중 추락, 붕괴, 낙하, 감전 등의 사고 도면을 충분히 검토하여 작업에 대한 안정성을 확보
작업특성 요인 석면취급작업에 때한 위험성 등 취급근로자에게 주지 및 교육 미실시로 인한 사고 근로자에게 석면으로 인한 직업성 질병의 발생원인, 재발방지방법 주지

 

 

2. 작업 준비(인적 사항)

 

작업 준비(인적 사항)

 

분류 유해위험요인 감소대책
작업특성 요인 작업전 특수건강진단 미실시로 인한 석면관련 질환자 작업에 따른 위험 작업전 특수건강진단 실시하여 부적합자는 작업에서 제외시킴
석면취급 작업중 작업자의 불안전한 행동에 의한 사고 석면 특별안전교육 실시 / MSDS 활용
보호구 미지급 및 미착용으로 인한 사고 특급 방진마스크 또는 송기마스크호흡용보호구
보안경 (고글(Goggles)형 보호안경)    

불침투성 신체를 감싸는 보호의 (保護衣)
보호장갑 및 보호장화 등 석면입자 노출방지, 안전사고 방지
개인보호구 미착용근로자가 작업장에 출입하여 사고발생 보호구 미착용자 작업장 출입 금지 조치

 

 

3. 작업 준비(시설)

 

작업 준비(시설)

 

분류 유해위험요인 감소대책
작업특성 요인 석면취급 작업에 필요한 위생시설 미설치로 인한 사고 탈의실/ 샤워실/ 갱의실 等의 위생설비를 설치하고 필요한 용품 및 용구 비치
석면취급작업자 보호구 및 복장 취급 불량에 의한 사고 석면작업 종사 근로자의 개인보호구 등을 밀폐용기에 보관, 보관된 개인보호구를 폐기 또는 세척, 필요조치
석면취급 작업장 입출입 관리소홀 사고 석면취급 작업장 입출입 순서준수
경고표지 미설치로 인한 타공종 근로자 등 출입에 의한 사고 석면해체, 제거작업을 행하는 경우 다음의 경고표지를 출입구에 게시, 작업이 이루어지는 장소가 실외이거나 출입구가 설치되어 있지 아니한 경우에는 근로자가 보기 쉬운 장소에 게시
경고표지 내용 미준수로 인한 사고 보호구/보호의 착용, 흡연 및 취식 금지등 경고표지 내용 준수하여 작업 실시
작업장 사전준비 미흡에 의한 사고 작업장 사전준비 철저
 1) 불침투성 차단재로 밀폐하고 음압(陰壓) 유지(室內)
 2) 석면분진이 飛散되지 않도록 분진 포집장치 가동  
    (室外)
 3) , 습윤제를 사용하여 습식작업
 4) 탈의실, 샤워실, 갱의실을 작업장과 연결하여
    설치

 

 

4. 석면 철거 작업

 

석면 철거 작업

 

분류 유해위험요인 감소대책
인적 요인 슬레이트 제거시 안전대 미착용으로 인한 추락 단독작업 금지, 안전대고리를 체결하고 작업
작업중 복장보호구를 해체하여 석면에 노출되는 사고 작업중 절대로 복장보호구를 해체하지 않도록 교육
기계적 요인 고소작업시 작업대에서 추락 고소작업에 필요한 작업대 구명줄 설치
스레트 지붕 등 철거 작업시 가시설 미흡에 의한 사고 지붕위 작업의 안전성 검토
건물주위 쌍줄비계 설치, 안전망 설치
지붕 작업중 추락, 낙하물 사고 작업대에 안전난간 설치 및 크레인 보조훅을 이용하여 생명줄 설치 후 안전대 고리체결
작업대 인양로프의 파단으로 작업대 탈락, 추락 안전로프를 설치하고 안전대 고리 착용, 낙하물 방지망 설치
건물바닥 주변에 석면함유물질 투기 사고 건물 바닥에 비닐을 깔아 작업완료 후 바닥에 떨어진 석면조각을 수집하여 처리
습윤제 살포시 슬레이트 지붕을 뚫고 바닥으로 추락 이동통로를 미리 확보하여 작업시 안전로프를 설치하고 안전대 고리를 걸고 작업
작업특성 요인 작업중 비산될 수 있는 석면 입자의 농도를 파악하지 못한 석면 노출 사고 석면입자 파악 작업자 반드시 보호구를 착용하고 작업장의 안전보건계획을 수립하여 작업

 

 

5. 석면폐기물 반출 및 작업 종료

 

석면폐기물 반출 및 작업 종료

 

분류 유해위험요인 감소대책
인적 요인 장비운전자 운전 미숙으로 인한 사고 지게차 운전자 운전자격여부 확인
장비 작업반경내 출입에 의한 사고 장비 작업반경내 출입통제 및 신호수 배치
기계적 요인 인양로프의 파단으로 스레트 낙하 인양용 줄걸이 선정 검토 철저, 사용시 확인점검 철저
수집 /운반 방법 및 절차 미준수로 인한 사고 수집·운반 2중 포대에 담을 것
운반차량(적재함 덮개, 폐석면 표시,차체는 노란색으로 도색)
보관방법 불량에 의한 사고 보관습도 조절 조치 후 2중 포장하거나 견고한 용기에 밀봉 (보관 표지)
지붕에 해체 밀봉포장된 스레트를 지상으로 하역 작업중 크레인 전도 크레인 설치 철저(아웃트리거, 받침목 설치) 및 안전작업 준수
지게차 사용중 지게차에 충돌 협착 지게차에 후방경보기, 후방카메라 설치, 후진시 확인 후 후진
차량계 건설기계 작업시 장비에 의한 사고 신호수 배치 및 장비 작업 감독 철저
페기물을 장시간 현장내 보관에 의한 사고 당일발생한 석면폐기물은 당일반출 철저
작업특성 요인 작업완료 후 최종 검사 미흡으로 인한 잔존 석면 페기물에 의한 사고 최종 검사 및 현장정리 철저, 잔존해 있는 석면물질 유무 확인 철저

 

 

석면취급 작업 재해 사례

 

무대상부 철제 그레이팅에서 합판 해체 작업 중 추락

 

  • 재해개요
    • 무대상부 무대장치의 구동부 데크 스틸 그레이팅(Steel Grating)에서 내화뿜칠재(폐석면) 제거작업을 위해 깔아 놓은 개구부 합판을 해체하던 중 몸의 중심을 잃고 약 12.5m아래 콘크리트 바닥으로 추락하여 사망한 재해
  • 재해원인
    • 작업장 하부 추락방지시설 미조치
    • 안전대부착설비 미설치, 안전대 미착용
  • 안전대책
    • 개구부 덮개 등 안전가시설 해체작업을 진행하는 때에는 작업구간 하부에 안전방망을 설치
    • 안전대 부착설비 설치 후 작업자로 하여금 안전대를 착용하고 부착설비에 걸어 작업토록 하여야 함
  • 형태
    • 추락

 

슬레이트 지붕 위에서 작업 중 슬레이트 파손으로 추락

 

  • 재해개요
    • 지붕교체 공사현장에서 노후 슬레이트 지붕 해체작업중 밟고 서있던 슬레이트가 파손되면서 공장 내부 바닥(콘크리트)으로 추락(10m)하여 피재자 2명이 사망한 재해
  • 재해원인
    • 안전대부착설비 미설치, 안전대 미착용
    • 작업장 하부 추락방지시설 미조치
  • 안전대책
    • 슬레이트와 같은 강도가 약한 지붕 위에서 작업시 슬레이트가 파괴되어 근로자가 지붕 하부로 추락하지 않도록 근로자 작업장소 및 이동통로 상에 안전대를 착용할 수 있도록 안전대 부착설비를 설치
    • 지붕 하부에 추락방지용 안전방망 설치 또는 작업발판(30cm이상) 설치 철저
  • 형태
    • 추락

 

공장지붕의 슬레이트 철거 작업 중 추락

 

  • 재해개요
    • 공장지붕의 슬레이트 및 스티로폼을 철거하기 위해 중도리(Purlin) 위에서 슬레이트 아래의 스티로폼 제거작업을 진행하던 중 몸의 중심을 잃고 약 5m 아래 콘크리트바닥으로 추락ㆍ사망한 재해
  • 재해원인
    • 작업발판 미설치
    • 안전대부착설비 미설치, 안전대 미착용
  • 안전대책
    • 공장 슬레이트지붕 위에서 슬레이트 해체작업을 진행하는 때에는 발빠짐 방지를 위해 폭 30cm이상의 작업발판을 설치
    • 안전대 부착설비(구명줄) 설치후 안전대를 착용하고 부착설비에 걸어 작업을 진행하여야 함 
  • 형태
    • 추락

 

천정 마감 작업 중 작업발판이 붕괴되면서 추락

 

  • 재해개요
    • 천정마감(텍스)작업을 진행하던 중, 이동식비계 기둥을 지지하고 있던 바닥개구부의 덮개가 붕괴되면서, 2명은 개구부를 통해 바닥으로 추락하였고 1명은 사망, 2명은 부상당한 재해
  • 재해원인
    • 작업발판 설치 불량
  • 안전대책
    • 개구부 덮개위에 비계 등을 설치하는 때에는 고정작업하중을 고려하여 H형강 등 붕괴위험이 없는 견고한 구조물로 덮개를 설치하고, 비계조립 방법으로 작업발판을 설치한 후 작업발판 위에 자재를 적재하는 때에는 구조검토 후 허용하중 이내가 되도록 조치하여야 함 
  • 형태
    • 붕괴, 추락

 

강당 지붕철골 내화피복 뿜칠작업 중 추락

 

  • 재해개요
    • 지붕철골 내화뿜칠작업을 위해 지붕하부 철골보 위에서 뿜칠용 호스를 이동시키던 중 호스의 무게 및 뿜칠작업에 의한 분진 등의 영향으로 몸의 중심을 잃고 약 16m 아래 콘크리트바닥으로 추락하여 사망한 재해
  • 재해원인
    • 작업발판 설치 상태 불량
    • 하부 추락방방 등 미설치
  • 안전대책
    • 작업발판은 발판간의 틈이 3cm이하가 되도록 밀실하게
    • 작업 및 이동구간 하부에 추락방지용 안전방망을 설치하는 등 추락방호조치를 철저히 하여야 함
  • 형태
    • 추락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