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안전관리자/안전

선반작업이란? 공정 과정과 안전수칙까지 완벽 정리

by 안전관리자kim 2025. 2. 17.
반응형

‘선반작업’이란 선반(旋盤, Lathe)이라는 공작기계를 이용하여 금속, 플라스틱, 목재 등의 원형 재료를 절삭·가공하는 작업을 의미함.

 

🔧 선반작업이란?

  • 선반은 회전하는 원형 재료(Workpiece)를 고정한 후, 절삭공구(바이트, Tool)를 이용하여 일정한 형태로 깎아내는 공작기계임.
  • 주로 축, 원통형 부품, 나사, 베어링 하우징 등 정밀 가공이 필요한 부품 제작에 사용됨.
  • 선반 작업자는 공작물을 고정하고, 속도 및 절삭 조건을 조절하여 가공하는 작업을 수행함.

 

📌 선반작업의 주요 공정

  1. 공작물 고정 (척·센터 사용)
    • 원형 재료(Workpiece)를 척(Chuck) 또는 센터(Center)에 고정하여 회전할 수 있도록 함.
  2. 회전 및 절삭 공정
    • 공작물을 일정한 속도로 회전시키고, 절삭공구(바이트)를 이용해 외경·내경 가공, 테이퍼 가공, 나사 가공, 홈 가공 등을 수행함.
    • 절삭 조건(회전 속도, 절삭 깊이, 이송 속도 등)에 따라 가공 품질이 결정됨.
  3. 냉각 및 윤활
    • 가공 중 발생하는 열을 식히고, 공구 마모를 방지하기 위해 절삭유(냉각수)를 사용함.
  4. 가공 후 마무리 작업
    • 가공이 끝난 후 버(Burr) 제거, 치수 측정, 표면 마감 등을 진행하여 정밀도를 높임.

 

🛠️ 선반작업의 종류

외경 가공 : 원통형 공작물의 바깥쪽을 절삭하여 직경을 줄이는 작업
내경 가공 : 공작물 내부를 가공하여 구멍을 넓히거나 다듬는 작업
테이퍼 가공 : 공작물의 한쪽 끝에서 반대쪽 끝으로 점점 좁아지도록 가공하는 작업
나사 가공 : 볼트, 너트 등 나사산을 형성하는 작업
홈 가공 : 베어링이나 키(Key) 삽입을 위한 홈을 만드는 작업
단면 가공 : 공작물의 한쪽 끝을 평평하게 가공하는 작업

 


 

 

⚠️ 선반작업 시 주요 위험 요소

  1. 💥 비산물에 의한 부상
    • 고속 회전하는 공작물이 이탈·파손될 경우 심각한 부상 위험이 있음.
    • 안전 덮개 사용 및 보호구(안전안경, 장갑 등) 착용 필수.
  2. ⚡ 감전 위험
    • 선반의 전기 부품을 조작할 때 감전 위험이 있으므로, 절연 장갑 사용 및 전기설비 점검 필요.
  3. 🌀 말려들림 위험
    • 작업자가 헐렁한 옷이나 장갑을 착용할 경우 회전하는 공작물에 감겨 들어갈 위험이 있음.
    • 소매가 긴 옷, 헐렁한 장갑 착용 금지.
  4. 🔪 절삭 공구에 의한 부상
    • 절삭 공구(바이트, 드릴 등)는 매우 날카로우므로 작업 중·후 안전한 위치에 보관해야 함.
  5. 🌊 절삭유(냉각수) 노출에 의한 피부질환
    • 지속적인 절삭유 노출로 인해 피부 질환(습진, 알레르기 등)이 발생할 수 있음.
    • 장갑 착용 및 작업 후 손 씻기 필수.

 

 

✅ 선반작업 시 안전 수칙

안전보호구(보안경, 방진 마스크 등) 착용
작업 시작 전 공작물과 공구의 고정 상태 확인
작업 중 장갑, 긴 소매 옷 착용 금지 (말려들림 방지)
기계 작동 중 절삭공구 교체 금지
긴 머리는 묶고, 안전모 착용
작업 후 절삭유 및 이물질 제거 후 정리 정돈

 


 

🔍 결론

선반작업은 원형 재료를 회전시켜 절삭·가공하는 공정으로, 다양한 부품을 정밀하게 제작하는 중요한 가공 방법임.

하지만 회전하는 공작물과 절삭 공구를 다루는 작업이므로, 비산물, 감전, 말려들림 등 위험 요소가 많아 반드시 안전수칙을 준수해야 함.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