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우리가 엑셀 문서를 작성할 때 기본적이면서 가장 중요한 기능이 바로 날짜 기능입니다.
엑셀 날짜 자동변환을 사용하면 일일이 날짜를 입력할 필요 없이 자동으로 날짜가 입력되며, 추가적으로 현재 시각을 자동으로 입력하는 방법과 실시간 시간 변환 기능까지 알아보려고 합니다.
목차
- 엑셀 날짜 자동변환 방법
- 엑셀 날짜 자동변환 오류 해결방법
- 엑셀 날짜 자동변환 후 표시 형식 변경
- 엑셀 함수를 이용한 실시간 날짜 자동변환
1. 엑셀 날짜 자동변환 방법
- 자신이 입력할 날짜를 입력합니다 (예: 2025년 1월 1일).
- 입력한 날짜를 클릭합니다.
- 입력한 날짜를 클릭하면 셀 가장자리에 작은 점이 생깁니다.
- 생성된 점을 클릭합니다.
- 아래 혹은 오른쪽으로 드래그합니다.
이렇게 점을 아래로 내려주시면 입력한 2025년 1월 1일 아래로 자동으로 날짜가 변환되며 입력됩니다.
만약 옆으로 입력하고 싶으시다면 오른쪽으로 드래그해주시면 됩니다.
2. 엑셀 날짜 자동변환 오류 해결방법
날짜를 입력한 후에 날짜 자동변환을 사용하기 위해 오른쪽으로 늘렸을 경우 [####]으로 표시되는 경우가 있습니다.
해결 방법
첫 번째 : 칸을 늘려주는 것입니다. 칸이 좁아 [####]으로 표시되기 때문에 칸을 늘려주면 날짜 자동변환 오류가 해결되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두 번째 : 날짜 표시 형식을 변경하는 방법은 3번 목차에서 알아보겠습니다.
반응형
3. 엑셀 날짜 자동변환 후 표시 형식 변경
- 입력한 날짜를 클릭합니다.
- [Ctrl] + [1]을 입력합니다.(셀 서식)
- [날짜]를 클릭합니다.
- 변경하고 싶은 [날짜 형식]을 클릭합니다.
- [확인]을 클릭합니다.
이렇게 하면 날짜 형식을 변환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2025년 01월 01일] → [2025-01-01] 같이 여러 형식으로 날짜 형식을 변환할 수 있습니다.
4. 엑셀 함수를 이용한 실시간 날짜 자동변환
현재 실시간 시간 표시 방법
빈 셀에 [=NOW()]를 입력 후 [Enter]를 누릅니다.
실시간으로 [2025-01-01 16:09]와 같이 현재 날짜 및 시간이 계속해서 바뀌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현재 날짜 입력 방법
빈 셀에 [=TODAY()]를 입력 후 [Enter]를 누릅니다.
[2025-01-01]와 같이 오늘 날짜가 자동으로 입력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반응형
'문서 > 엑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엑셀 그래프에 차트 요소 추가하기 : 축 제목 및 데이터 레이블 활용 가이드 (0) | 2025.01.15 |
---|---|
엑셀 필수 함수 정리 - 자주 쓰이는 대표 함수 총정리 (0) | 2025.01.13 |
엑셀 SUBTOTAL 함수 (1) | 2025.01.10 |
SUM 함수 이해하기 (1) | 2025.01.09 |
SUMIF 함수 이해하기 (0) | 2025.01.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