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생활 정보/경제_금융

트럼프식 관세 정책, 과연 미국을 다시 위대하게 만들었는가? - 보호무역의 명암과 역사적 교훈

by 안전관리자kim 2025. 4. 9.
반응형

트럼프식 관세 정책, 과연 미국을 다시 위대하게 만들었는가? - 보호무역의 명암과 역사적 교훈

 

트럼프의 관세 정책은 미국을 보호했는가, 아니면 세계 질서를 흔들었는가?

 

 

이번 글에서는 트럼프 전 대통령의 관세 부과 방식과 그 경제적 국제적 파급력을 살펴보고, 미국의 무역적자에 대한 오해, 그리고 과거 유사한 사례였던 스무트-홀리 관세법까지 비교 분석함

 


 

1. 트럼프식 관세정책, WTO 원칙 위배 소지 있음

트럼프 전 대통령은 재임 기간 중 중국과 EU, 멕시코, 캐나다 등에 대해 고율의 관세를 부과함.

특히 ‘국가 안보’를 명분으로 한 관세 부과는 WTO 규정과 상당 부분 상충됨.

 

WTO는 다음과 같은 원칙을 통해 다자간 무역 체계를 유지함 

  • 최혜국 대우(MFN) : 특정 국가에 유리한 조건을 제공하면 모든 WTO 회원국에 동일하게 적용해야 함
  • 내국민 대우 : 수입품을 자국산 제품과 차별하지 않아야 함
  • 합의된 관세 상한 유지 : 협정 상 설정된 상한선을 넘는 고율관세는 금지됨

그러나 트럼프는 무역적자 및 산업 보호를 이유로 위 원칙과 무관하게 관세를 단행함.

결과적으로 WTO 제소 및 동맹국과의 관계 악화라는 외교적 부담을 초래했음.

 


 

 

2. 미국 무역적자 구조, '물리적 적자'로 보면 안 됨

미국의 무역적자는 단순히 물건을 더 많이 수입해서 생긴 것이 아님.

고부가가치 서비스 수출국인 미국은 오히려 경제 구조상 무역수지가 마이너스일 수밖에 없음.

 

미국은 다음과 같은 수출 구조를 가짐

  • 재화 수입 : 중저가 소비재, 산업재 (중국, 멕시코 등에서 수입)
  • 서비스 수출 : 금융, 교육, IT, 엔터테인먼트 등 (고부가 산업)

결국 무역적자만을 근거로 '미국이 손해 보고 있다'는 주장은 단순한 회계 논리에 불과함.

이를 해결하기 위한 고율 관세는 오히려 세계 공급망 붕괴와 소비자 부담 증가를 유발함.

 


 

3. 1930년대 스무트-홀리 관세법에서 얻는 교훈

1930년 미국 대공황 당시에도 유사한 보호무역 정책이 시행된 적 있음.

스무트-홀리 관세법은 20,000개 이상의 수입품에 대해 평균 40% 이상의 고율관세를 부과했으며, 전 세계의 보복성 관세를 촉발함.

 

그 결과,

  • 수출입 물량 급감, 세계 무역 위축
  • 전 세계적 경기 침체 심화
  • 미국의 제조업 보호 실패

이는 관세 정책이 단기적 산업 보호에는 유효할 수 있으나, 장기적으로는 경제를 위축시키는 부작용이 큼을 단적으로 보여주는 사례임.

 


✔️ 요약 및 결론

  • 트럼프식 관세는 국제규범과 상충하며, 동맹국과의 마찰을 유발했음
  • 미국의 무역적자는 구조적 특성에 기인하며, 관세로 해결될 문제가 아님
  • 과거 사례처럼 고립적 관세 정책은 세계 경제를 위협하고 자국 산업에도 독이 될 수 있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