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BUS DUCT 작업
행거 설치 안전 작업
① 세부 작업공종 단위별 위험성평가를 실시하여 작업계획서(차량계 건설기계 및 하역운반기계 포함)를 작성/교육하고 준수하여 작업한다.
② 장비 및 기계·기구에 대한 사용 점검을 실시하여 사용하고, 정비 및 보수를 철저히 하여야 한다.
③ 주변 개구부 등 추락위험이 있는 곳은 안전난간, 개구부 덮개(위험표지 부착) 등 추락방지시설을 설치하여야 하며 불필요한 자재를 사전에 제거, 작업장 정리정돈 및 청소를 실시하여야 한다.
④ 작업전 사용하는 틀비계, 고소작업차, 우마, 사다리 등 작업발판은 사전 점검후 필증을 부착한 것만 사용하도록 하여야 하며 작업책임자는 확인한다.
⑤ 테이블 리프트 내부 생명선에 안전대 걸고리를 걸어야 하며, 테이블 리프트 사용 작업 구간내에 라바콘 구획 설정 및 유도자 배치하여야 한다. 사용전 과상승 방지 장치,풋S/W, 비상 하강B/T등 사전점검을 철저히 한다
⑥ 행거설치 작업 시 테이블 리프트 내부 생명선에 안전대 고리를 체결하고, 작업시 보안경을 착용하고 작업하여야 하며, 작업 전 주변 개구부 덮개 등 추락 방지 조치하여야 한다.
⑦ 평탄한 바닥에 설치, 바퀴 스토퍼 작동 여부 확인, 아웃트리거 4개소 설치 사용, 수직통로 설치, 작업발판 틈 3cm이하, 안전난간대 설치 후 작업
⑧ 전동공구는 사용 전 누전 및 충전부 노출 여부 등 확인하고 사용필증을 부착하여 사용하여 한다.
⑨ 접지선이 내장된 3P이상 전선 사용, 피복손상 상태를 확인하고 가공으로 배선하여 사용한다.
⑩ 작업에 필요한 조명시설을 설치하고 사용전 점검 실시하여야 한다.
⑪ 작업장 주변 지장물 등 확인 철저 및 안전조치 철저히 한후 작업하여야 한다.

안전 작업
① BUS DUCT를 포설할 때는 도면에 표시된 BOLT 방향, BUS BAR의 간격을 확인하여 포설방향이 반대로 되지 않도록 주의한다.
② 양중은 흔히 체인블럭이나 자주식 고소작업차를 이용한다.
③ 포설전 MAKER측에서 제시한 LINE 도면을 숙지하여 각 LINE별 제품번호와 방향을 준수 한다.
④ HANGER 지지간격은 원칙적으로 BUS DUCT 1본을 2개소에서 지지한다. 표준지지 핏치는 1.2M 간격으로 하고 최대 핏치는 3M 이내로 한다.
⑤ 수직 지지금구에는 취부할 BUS DUCT 본체에 필요한 HANGE가 조립되어 출하되므로 분해하지 말고 번호를 확인하여 설치한다.
⑥ 수직 SPRING 지지금구는 SPRING 압력을 공장에서 조정하므로 현장에서는 조정하지 않는다. SPRING SETTING 용 NUT는 BUS DUCT의 포설이 완료 되었을 경우 반드시 제거한다.
⑦ EXPANSION JOINT에는 운반중과 포설중에 BUS DUCT가 신축되지 않도록 고정 BOLT가 붙어 있으므로 작업 지시 라벨에 지시된 대로 포설 완료후 반드시 BOLT를 제거한다.
⑧ 취합 BUS DUCT의 M8 BOLT에는 반드시 리드선을 연결 접지한다.
⑨ PLUG IN BOX의 M6 BOLT에는 반드시 리드선을 그림과 같이 연결한다.
⑩ TAP BOX전면에 붙이는 발은 반드시 EARTH 겸용 고정 BOLT로 고정한다.
⑪ BUS DUCT의 수명은 접속부 BOLT NUT 조임에 좌우됨으로 와샤의 방향을 지켜 철저히 조인다.
⑫ 접속부 볼트 조임이 불안전하면 통전 후 과열하여 소손하는 등 송전계통에 중대한 사고의 위험이 있으므로 정해진 힘으로 조여야 한다.
⑬ 각 층에 사용될 PLUG IN BOX는 각층별 및 취부될 번호를 확인하여 조립한다.
⑭ BUS DUCT 설치하는 방향은 접속부의 굽힘방향과 접속 BOLT의 방향을 표시한 위치가 기입되어 있으므로 그것에 따라 설치한다.

반응형
'안전관리자 > OPS'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전선관 설치 작업 OPS (0) | 2024.08.26 |
---|---|
GENERATOR 설치 작업 OPS (0) | 2024.08.26 |
동력배관 배선 작업 OPS (0) | 2024.08.26 |
Grating Removal 작업 OPS (0) | 2024.08.26 |
슬라브 OPEN 작업 OPS (0) | 2024.08.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