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반응형
동력배관 배선 작업
배관 안전 작업
① 작업 착수전 작업허가서 제출 및 검토를 통해 작업전 허가서와 부합되는 준비상태를 확인한후 작업을 실시하여야 한다.
② 작업 전 교육철저 및 공종계획에 따른 안전작업순서 숙지하여야 한다.
③ 작업부위 주변 개구부 덮개 등 추락방지조치를 하고 작업전 점검을 하여야 한다.
④ 고소작업대(T/L 과상승방지 봉(50cm) 부착 및 숙련공에 의한 운전을 하여야 한다.
⑤ 추락방지용 생명줄 설치하고 안전대 고리를 체결하여 작업한다.
⑥ 하부 낙하물 방지 및 작업반경내 근로자 접근금지 조치를 한다.
⑦ 작업 전 가대 등 앵글 상태 확인 철저히 하여야 한다.
⑧ 전동공구는 사용 전 누전 및 충전부 노출 여부 등 확인하고 사용필증을 부착하여 사용하여 한다.
⑨ 가설전선 사용전, 중 점검실시 및 가공 배선 설치 한다.
⑩ 화기취급 작업장 인화성물질 제거, 불꽃비산방지막 설치, 불티감시자 배치, 소화기 비치 등 화재예방조치
⑪ 작업부위 직하부에 작업이 이루어지므로 항상 불꽃 등에 안면이 보호될 수 있는 보안경 착용
⑫ 밀폐공간 또는 좁은 공간 용접 작업시 환기설비를 설치하고 환기를 철저히 하여야 한다.

케이블 포설 안전 작업
① 세부 작업공종 단위별 위험성평가를 실시하여 작업계획서(차량계 건설기계 및 하역운반기계 포함)를 작성/교육하고 준수하여 작업한다.
② 장비 및 기계·기구에 대한 사용 점검을 실시하여 사용하고, 정비 및 보수를 철저히 하여야 한다.
③ 주변 개구부 등 추락위험이 있는 곳은 안전난간, 개구부 덮개(위험표지 부착) 등 추락방지시설을 설치하여야 하며 불필요한 자재를 사전에 제거, 작업장 정리정돈 및 청소를 실시하여야 한다.
④ 작업전 사용하는 틀비계, 고소작업차, 우마, 사다리 등 작업발판은 사전 점검후 필증을 부착한 것만 사용하도록 하여야 하며 작업책임자는 확인한다.
⑤ 테이블 리프트 내부 생명선에 안전대 걸고리를 걸어야 하며, 테이블 리프트 사용 작업 구간내에 라바콘 구획 설정 및 유도자 배치하여야 한다. 사용전 과상승 방지 장치, 풋S/W, 비상 하강B/T 등 사전점검을 철저히 한다.
⑥ TRAY상부에서의 CABLE 포설작업시 상.하 일체식 안전대 착용및 안전고리체결을 철저히 한다.
⑦ TRAY 상부 생명줄 (16mm이상)설치 및 2중 안전고리 체결후 이동작업을 하여야 한다.
⑧ 포설을위한 고소작업시 필요 이외의 공구 휴대금지, 하부 통제원 배치, 타 근로자 접근통제 한다.
⑨ 작업에 적합한 조명을 설치하여야 하며 작업중 찔림 등의 사고에 주의하여야 한다.
⑩ 판넬 단부 케이블 포설 작업 시 안전대 부착설비를 설치하고 안전대 고리 체결 후 작업, 판넬 상부로 이동하는 사다리 설치 시 고정 및 전도방지 장치 설치하여야 한다.
⑪ 작업 전 주변 개구부 덮개 등 추락 방지 조치를 하여야 한다.
⑫ 전동공구는 사용 전 누전 및 충전부 노출 여부 등 확인하고 사용필증을 부착하여 사용하여 한다.
⑬ 가설전선 사용전, 중 점검실시 및 가공 배선 설치 한다.
⑭ 작업에 필요한 조명시설을 설치하고 사용전 점검 실시하여야 한다.

반응형
'안전관리자 > OPS' 카테고리의 다른 글
GENERATOR 설치 작업 OPS (0) | 2024.08.26 |
---|---|
BUS DUCT 작업 OPS (0) | 2024.08.26 |
Grating Removal 작업 OPS (0) | 2024.08.26 |
슬라브 OPEN 작업 OPS (0) | 2024.08.26 |
지붕보수(교체) 설치 작업 OPS (0) | 2024.08.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