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GstarCAD는 AutoCAD와 유사한 인터페이스와 기능을 제공하는 CAD 소프트웨어로, 단축키를 활용하면 작업 속도를 크게 향상시킬 수 있음. 아래에 자주 사용하는 단축키와 그 사용 방법을 정리해 둠.
기본적인 단축키
단축키 | 기 능 | 설명 |
L | Line (선 그리기) | 두 점을 지정하여 선을 그림 |
C | Circle (원 그리기) | 중심과 반지름을 입력하여 원을 그림 |
REC | Rectangle (사각형) | 두 개의 꼭짓점을 지정하여 사각형을 그림 |
PL | Polyline (폴리라인) | 여러 개의 선을 하나의 개체로 연결하여 그림 |
TR | Trim (자르기) | 선택한 기준선을 따라 불필요한 부분을 자름 |
EX | Extend (연장) | 선택한 기준선을 따라 객체를 연장 |
CO | Copy (복사) | 객체를 복사하여 다른 위치에 붙여넣기 |
M | Move (이동) | 객체를 선택하여 원하는 위치로 이동 |
RO | Rotate (회전) | 선택한 객체를 기준점으로 회전 |
S | Stretch (늘리기) | 객체의 일부를 선택하여 길이를 조정 |
SC | Scale (축척) | 선택한 객체를 기준으로 크기 변경 |
MI | Mirror (대칭 복사) | 기준선을 따라 대칭 복사 |
O | Offset (간격 띄우기) | 기존 객체를 기준으로 일정한 거리만큼 복사 |
F | Fillet (모깎기) | 두 선을 부드러운 곡선으로 연결 |
CH | Chamfer (모따기) | 두 선을 직선으로 연결 |
X | Explode (분해) | 그룹화된 객체를 개별 요소로 분해 |
J | Join (연결) | 여러 개의 선을 하나로 합침 |
도면 편집 관련 단축키
단축키 | 기능 | 설명 |
DLI | Linear Dimension (수평/수직 치수) | 두 점을 지정하여 길이 측정 |
DCO | Continue Dimension (연속 치수) | 기존 치수선과 연결하여 계속 치수 추가 |
DAL | Aligned Dimension (정렬 치수) | 특정 각도로 정렬된 치수를 생성 |
DI | Distance (거리 측정) | 두 점 사이의 거리 확인 |
ID | ID Point (좌표 확인) | 특정 점의 좌표를 표시 |
F8 | Ortho Mode (직교 모드) | 선을 90도 각도로만 그림 |
F9 | Snap (스냅 모드) | 특정 간격으로 커서 움직임 제한 |
F3 | Object Snap (개체 스냅) | 특정 객체의 지점을 자동으로 선택 |
도면 관리 및 출력
단축키 | 기능 | 설명 |
LAYON | 모든 레이어 켜기 | 비활성화된 모든 레이어를 활성화 |
LAYOFF | 선택한 레이어 끄기 | 특정 레이어를 숨김 |
LA | Layer (레이어 관리) | 레이어 추가 및 설정 변경 |
PU | Purge (정리) | 사용되지 않는 객체 제거 |
ZOOM | Zoom (확대/축소) | 도면을 확대하거나 축소 |
Z + E | Zoom Extents (전체 화면) | 모든 객체가 보이도록 확대 |
Z + W | Zoom Window (창 확대) | 선택한 영역을 확대 |
PLOT | 도면 출력 | 프린터 또는 PDF로 출력 |
기본 사용 방법
- 명령어 입력
- 커맨드 라인에서 단축키 입력 후 Enter 누름
- 예 : L → Enter → 시작점 클릭 → 끝점 클릭 → Enter (선 그리기)
- 옵션 활용
- 명령 실행 중 옵션을 사용하면 더 다양한 기능을 활용 가능
- 예 : TR (Trim) 입력 후 Enter → 자를 기준선 선택 → 자를 선 선택 → Enter
- 오스냅 (Object Snap) 사용
- F3을 눌러 오스냅 활성화
- 선의 끝점, 중간점, 중심점 등을 정확히 선택할 수 있음
- 좌표 입력 방식
- 절대좌표 : X,Y 형식 (100,50 → X:100, Y:50 위치로 이동)
- 상대좌표 : @X,Y 형식 (@50,20 → 현재 위치에서 X+50, Y+20 이동)
- 거리+각도 : @거리<각도 형식 (@100<45 → 100mm 거리, 45도 방향 이동)
반응형
'자격증 > 관련 용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프로젝트 관리 역할 정리 : PM, PMO, PL, PE, PA, QA의 차이점과 역할 (0) | 2025.03.17 |
---|---|
SUS PIPE 산세정 완벽 정리: 공정, 필요성, 주의사항까지 (0) | 2025.03.12 |
배관 공사에서 사용되는 티(Tee) 배관 부속 설명 (1) | 2025.02.26 |
배관공사에서 주로 사용하는 배관 재질 종류 및 특징 (1) | 2025.02.25 |
배관 공사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밸브 종류 (0) | 2025.02.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