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안전관리자/OPS

구조물 거푸집 작업 OPS

by 안전관리자kim 2024. 7. 31.
반응형

 

구조물 거푸집 작업

 

거푸집 반입 및 제작 안전 작업

거푸집운반차량 적재함에서 거푸집을 장비 줄걸이작업시 적재함에서 추락하지 않도록 주의한다.
작업전 줄걸이의 이상유무를 확인하고 크레인 등 운전자와 신호에 의한 작업을 해야한다.
지게차로 하역시 후진하는 지게차에 충돌하지 않도록 후방카메라, 후방경보기 설치, 신호수배치를 하고 작업자는 후진하는 지게차 후미 등 작업반경내 출입을 하지 않아야 한다.
거푸집 제작 작업장은 평평하고 지면이 견고한 장소에 설치한다. 
거푸집 제작용 재료는 변형이나 부식상태를 점검한 후 사용한다. 
동력식 수동대패나 둥근톱 사용시 장갑착용을 금지한다. 
목재가공용 둥근톱에 톱날접촉예방장치, 반발예방장치를 설치한 후 작업한다. 
둥근톱 사용시 톱밥 비산물이 눈에 들어가지 않도록 보안경을 착용토록 한다. 
주변에 목재가공 잔재를 항상 깨끗이 청소, 정리해야 한다.
 

 

거푸집 운반 안전 작업

크레인 등 장비를 이용하여 인양 작업시 줄걸이 점검 및 유도로프 설치 철저
단부에서 인양된 거푸집 등 자재를 받을 대에는 안전대고리를 걸고 작업한다. 
장비작업반경내 출입을 금지하고 자재 하부에 접근하지 않는다.
거푸집을 운반할 때에는 거푸집 자체를 묶어 운반하여야 한다. 
내려놓을 때는 천천히 내려놓고 던지지 않아야 한다. 
인력 및 장비를 사용하여 공동 작업을 할 때에는 신호에 따라 작업을 하여야 한다.
개구부 주변에 자재를 적재하지 않도록 하고 개구부는 덮개를 설치하여야 한다.
거푸집 인양시 최대 풍속 10m/sec이상시 작업을 중지한다.
 

 

기초 및 벽체 거푸집 안전 작업

기초판(Footing)옆에 패널 또는 두꺼운 널을 쓰면 편리하고, 먼저 기초밑창 콘크리트 윗면의 먹메김을 따라 짜 대고 외부에는 이동이 없도록 버팀대 등을 써서 확실히 고정한다. 
기초판 윗면의 경사가 35도 이상이 되면 옆판만이 아니라 위 경사면에도 거푸집을 대어야 하고, 이것은 콘크리트 가득 채워짐에 따라 위로 부상하게 되므로 철선으로 고정시켜야 한다.
기둥에 벽이 붙을 때에는 기둥과 일체로 벽의 거푸집을 조립하고, 벽의 거푸집을 보통 먼저 외벽의 안쪽에 거푸집을 대고 철근배근을 한 후 맞은편 거푸집을 조립한다. 
벽에 요철이 없고 넓은 벽일 때에는 패널을 크게 짜 대는것이 유리하며, 벽 거푸집의 밑에도 청소구멍을 내어야 한다. 
개구부는 벽의 한쪽 거푸집을 짠 다음 소요치수로 가설문틀 또는 두꺼운 널 등으로 둘레를 막고 가새를 대어 변형을 방지하도록 하여야 한다. 
작업자 키보다 높은 장소 작업시 전도 위험이 있으니 작업대를 사용한다. 
2m이상 추락위험이 있는 단부설치시에는 비계사용 및 안전대를 사용한다. 

 

 

기둥 및 보 거푸집 안전 작업

거푸집 조립의 방법은 재료에 따라 아래 그림과 같이 하며, 기둥 거푸집은 상부의 보 물림자리와 하부의 청소구멍을 두는 것에 유의하여야 한다. 
최하부의 세퍼레이터는 25cm 정도가 되는 곳에 설치한다. 
콘크리트치기 직전에는 조립 검사를 하고 체인, 써포트 등으로 교정한다. 
작업자 키보다 높은 장소 조립시에는 이동식 틀비계, 안전비계를 사용한다.
보의 거푸집은 아래 그림과 같이 조립하며, 옆판을 밑판보다 먼저 떼어 낼 수 있게 짜야 
보의 폭이 넓을 때에는 멍에는 원칙적으로 두줄로 하고, 폭이 좁고 경미한 것 일 때에는 한 줄로 한다.
보 거푸집 바닥판을 지상 제작하여 인력으로 상가시 자세불량으로 허리를 다친다. 
보 거푸집을 제작장에서 제작(석고)하여 크레인 이상 상가시 추락위험을 대비하여 작업발판 설치 또는 안전대를 착용한다.
 

 

Slab 거푸집조립, 동바리 설치 안전 작업

거푸집동바리 및 거푸집의 재료로 변형, 부식 또는 심하게 손상된 것을 사용해서는 안된다.
거푸집동바리 설치는 조립도에 의해 설치, 깔목 사용 등 지주의 침하 방지조치를 취한다.
지주의 상하고정 및 미끄러짐 방지조치를 하고 쐐기고정 상태를 확인한다.
지주는 위치와 간격이 일정해야 하고 열을 지어 일직선상에 있고 수직이 되어야 하고 지주에 하중이 균등하게 받도록 설치한다.
높이 3.5m 초과시 수평연결재를 2개 방향으로 설치한다.
슬라브거푸집 조립시 많은 인원이 한곳에 집중되지 않도록 넓은 지역으로 고루 분산시킨다.
꽂이핀은 재질과 규격에 맞는 전용의 핀을 사용한다.
거푸집 검사는 직접 조립한 책임자와 현장관리책임자가 함께 검사하여야 한다.
거푸집은 기술적인 판단 없이 조기에 해체하는 것을 금지하여야 한다.
 

 

발코니 거푸집 안전 작업

위험작업이므로 작업중 안전대등 필요한 보호구를 착용하여야 한다. 
패널멍에, 장선 등의 돌출된 부분에 부딪치지 않도록 주의한다. 
조립작업은 숙련된 작업자가 작업하여야 한다. 
지면에 직접 지주를 세우고자 할 때는 지주의 침하를 방지하기 위한 대책을 강구하여야 한다.
조립에 필요한 재료는 작업시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미리 준비하여 두고 발코니, 차양 위에서는 재료의 가공작업은 하지 않도록 한다.
 

 

강관틀 동바리 설치 안전 작업

조립전 부재의 변형, 부재의 연결부, 가새 교차부의 체결철물 상태를 점검한다. 
바닥과 접하는 밑둥은 잭 베이스를 이용하고 깔판에 견고하게 고정한다. 
첫 단을 조립한 후에는 반드시 수준기 (Level)로 높이의 수평상태를 확인하고 그렇지 못한 경우에는 재키베이스로 수평을 조절한 후 다음 작업에 들어간다.
최상층 및 5층 이내마다 측면과 틀면의 방향 및 교차가새의 방향에서 5개이내 마다 수평연결재를 설치한다. 
보나 멍에를 틀 상단에 설치하는 경우 철재단판을 부착하여 고정한다. 
강관틀과 강관틀의 사이에 교차가새를 설치한다. 
틀비계의 최상부 및 중간부분의 필요한 곳에 발판을 설치한다.
 

 

거푸집 설치 검사 안전 작업

콘크리트 타설 전에 형틀 책임자로 하여금 동바리의 수직 및 배치간격과 고정상태를 확인케 하고 시공확인을 받도록 한다.
거푸집 조립 틈새를 확인하고 틈새 발생시에는 3mm 합판을 사용하여 보수한다.
1층 발코니, 주현관 돌출부위 캔틸레바의 동바리를 지면에 설치시에는 침하방지 조치
개구부 상부에 처짐방지용 동바리를 설치한다.
띠장의 손상, 결함여부 검사, , 철선 등 돌출물 제거 확인
판넬의 결방향을 고려한 직각방향 장선 및 띠장의 배치
조립 및 해체를 위한 작업방법 수립, 동바리구조와 연계된 거푸집 조립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동안 관련 공종 담당자로 하여금 점검·관리 한다.
 

 

거푸집 해체 안전 작업

거푸집 해체작업장 주위에는 관계자를 제외하고는 출입을 금지시켜야 한다.
강풍, 폭우, 폭설 등 악천 후 때문에 작업실시에 위험이 예상될 때에는 해체작업을 중지시킨다.
해체된 거푸집 기타 각목 등을 올리거나 내릴 때에는 달줄 또는 달포대 등을 사용하여야 한다.
해체된 거푸집 또는 각목은 등에 박혀 있는 못 또는 날카로운 돌출물을 즉시 제거하여야 한다.
해체된 거푸집 또는 각목은 선별, 분류하여 적치하고 정리정돈을 하여야 한다.
해체시 안전모와 안전화를 착용토록 하고, 고소에서 해체할 때에는 안전대를 반드시 착용한다.
거푸집 해체 작업계획을 수립/작성/검토/승인 및 위험성평가, 교육후 작업을 실시한다.
거푸집 해체가 용이하지 않다고 주조체에 무리한 충격 또는 큰힘에 의한 지렛대 사용은 금한다.
·하에서 동시 작업할 때에는 상·하간 긴밀히 연락을 취하여야 한다.
 
 

 

 

반응형

'안전관리자 > OPS'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옹벽 구조물 작업 OPS  (1) 2024.07.31
구조물 콘크리트 작업 OPS  (0) 2024.07.31
구조물 철근 작업 OPS  (0) 2024.07.31
그라우팅 작업 OPS  (0) 2024.07.30
연약지반(점성토) 작업 OPS  (0) 2024.07.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