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기초파일(PHC) 작업
기초파일(PHC) 준비 안전 작업
① 자재 및 장비 반입시 운반차량을 유도하는 신호수를 배치하여야 한다.
② 파일 하차위치를 설정하고 지게차의 운행통로를 확보한다.
③ 장비사용전 안전점검 실시(각종 안전장치 및 관련 서류) 후 장비사용허가증 부착후 작업한다.
④ 굴착장비 작업시 신호수 배치, 장비와 장비의 이격거리 등 조치, 장비 신호수 배치하여야 한다.
⑤ 현장에서 작업하는 차량계건설기계는 후방카메라 등을 설치하여 사각지대의 충돌사고 예방한다.
⑥ 차량계건설기계 사용 작업전 작업계획 수립 작성/검토/승인 후 작업실시해야 한다.
⑦ 항타기 조립 작업시 추락, 낙하, 협착 사고에 주의하여 작업하며, 안전장치 이상유무를 확인한다.
⑧ 파일가공 절단기, 용접기 등 전동공구 및 고압가스 등 위험물 저장소를 사전 점검하여야 한다.
⑨ 근로자에 대해 각종 작업계획 및 위험성평가 사항 등에 대한 교육을 실시하여야 한다.

천공 및 항타 안전 작업
① 장비이동시에는 장비전도 위험이 가장 크므로 철판 25T이상을 깔고 이동하고, 천공시에는 뒤쪽 아웃트리거 설치 후 천공작업을 하여야 한다.
② 천공시 흙 및 돌 등의 낙하구간 출입금지 조치, 천공시 수직도, 깊이 확인하여야 한다.
③ Screw auger 인발시 연결부위 탈락방지를 위한 작업전 이음부 점검, 작업반경내 접근금지
④ 파일관입작업중 파일인양시 와이어로프 등 줄걸이 상태 점검 철저
⑤ 햄머 이동시 신호수와 운전원과의 신호 철저, 항타용 행머 인양시 작업자 통제 철저하여야 한다.
⑥ 항타시 항심체크 인원통제(상부 낙하물 및 협착 위험)를 하여야 한다.
⑦ 햄머 해체시 사다리사용(백호탑승금지) 햄머설치 → 햄머이동 → 경타 → 항심체크 → 햄머 해체
⑧ 파일항타후 덮개 필히 설치하여야 한다.

두부정리 안전 작업
① 작업전 작업 현장을 확인 점검하고 계획수립 및 위험성평가를 실시하여야 한다.
② 굴삭기의 버켓 이탈방지핀 등 장비사용전 점검을 하고 필증을 부착 후 작업한다.
③ 작업에 사용되는 모든 전동공구는 사용전 점검을 받아야 한다.
④ 파쇄 및 절단 작업시 파일 전도에 주의, 강선절단시 비산에 주의 (보안경 및 보호장갑 착용)
⑤ 강선에 찔림주의하고 보호캡을 설치한다.
⑥ 햄머작업시 파일 파편 등 비래 물질에 대비하여 보안경 착용 및 방진마스크를 착용한다.
⑦ 파일 컷팅 길이가 2m이상일 경우 순차적 파쇄 실시하고 작업중 관계자 외 출입을 통제한다.
⑧ 컷팅 후 즉시 파일 캡 설치 및 철근 보호캡 설치을 설치하여야 한다.
⑨ 장비와 인력 작업시 적정한 거리를 두고 작업하도록 하여야 한다.

반응형
'안전관리자 > OPS' 카테고리의 다른 글
벌목 작업 OPS (0) | 2024.07.29 |
---|---|
기초파일(강관) 작업 OPS (0) | 2024.07.29 |
시스템동바리 작업 OPS (0) | 2024.07.29 |
낙석방지망 작업 OPS (0) | 2024.07.29 |
가설방음벽 작업 OPS (0) | 2024.07.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