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시스템동바리 작업
시스템동바리 설치(해체) 안전 작업_1
① 수직하중에 견딜 수 있도록 지반의 지지력을 검토하여 강재, 목재 등을 이용하여 깔판 또는 깔목을 설치하거나, 지반다짐 후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등 상재하중에 의한 침하방지 조치를 한다.
② 잭 베이스 하부에 이물질이나 돌출부위가 없도록 바닥면을 정리하여야 한다.
③ 목재쐐기 등을 이용하여 동바리 바닥이 수평이 되도록 하고 서로 고정하여야 한다.
④ 부재와 부재와의 접속부 및 이음부에는 연결핀 등 전용철물로 견고하게 연결하여 탈락 등이 생기지 않도록 설치하여야 한다.
⑤ 두 본 이상 연결한 수직재를 근로자 혼자서 취급 또는 설치하지 않도록 하여야 한다.
⑥ 조립작업이 완료되면 조립부분의 전반적인 상태에 대하여 관리감독자의 확인을 받아야 한다.
⑦ 조립․해체 위치가 2m 이상인 경우에는 작업발판을 설치하고 작업발판을 설치하기가 곤란 할 때에는 추락방지망을 설치하거나 안전대 부착설비를 설치하여 안전대를 걸고 작업하여야 한다.

시스템동바리 설치(해체) 안전 작업_2
① 조립작업 시 작업발판 사이에는 근로자의 안전한 통행을 위하여 가설계단 등을 설치하여야 한다.
② 해체는 조립의 역순으로 실시, 작업전 해체작업 계획 수립 후 작업 지휘자의 지시에 따라 작업
③ 해체 작업 중에 해체된 자재를 던지지 말아야 한다.
④ 작업장소 출입금지구역 등을 설정 작업자 이외의 자의 출입통제, 감시원을 배치 한다.
⑤ 재료․기구 또는 공구 등을 올리거나 내리는 때에는 달줄 또는 달포대 등을 사용하여야 한다.
⑥ 비․눈 그 밖의 날씨가 몹시 나쁠 때에는 조립․해체 작업을 중지하여야 한다.
⑦ 조립․해체 등 그 작업에 종사하는 근로자에게 작업 전에 교육을 실시하여야 한다.
⑧ 해체된 자재를 정리정돈 할 때에는 가능한 한 같은 규격별로 정리하고, 운반작업 시에도 가능한 한 같은 규격별로 묶어 운반토록 하며 작업 시 부재의 변형이 생기지 않도록 주의하여야 한다.
⑨ 작업에 적합한 개인보호구(안전모, 안전대, 안전화, 안전장갑 등)를 착용하여야 한다.

시스템동바리 안전 점검
① 자재입고시 점검(시험성적서 확인, 부식, 찌그러짐, 좌굴등 변형여부)하여 규격자재 사용 및 변형자재 사용을 금지한다.
② 구조계산서 배치간격 확인으로 수직재 연직설치, 보 및 슬래브 배치간견을 확인한다.
③ 수직가새 미설치로 인한 휨좌굴을 방지하기 위해 각 틀간 수직가새 설치를 확인한다.
④ 수평가새 미설치로 인한 사각틀 변형을 방지하기 위해 최상단면과 최하단면에 수평가새 설치.
⑤ 수직재 연결부근 수평재 미설치로 인한 변형방지를 위해 수평재 설치 및 수직재 연직도 관리.
⑥ 멍애와 U헤드 중심축의 불일치로 휨좌굴 발생방지를 위해 쐐기설치 및 U헤드 회전 중심 설치.
⑦ U헤드의 변형방지를 위한 수직재에 충분한 삽입길이(120mm이상)을 확보를 확인한다.
⑧ JACK BASE설치부위에 지반침하로 인한 동바리붕괴 방지를 위한 지반보강 및 받침을 확인한다.

반응형
'안전관리자 > OPS'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기초파일(강관) 작업 OPS (0) | 2024.07.29 |
---|---|
기초파일(PHC) 작업 OPS (0) | 2024.07.29 |
낙석방지망 작업 OPS (0) | 2024.07.29 |
가설방음벽 작업 OPS (0) | 2024.07.29 |
가설통로 설치 작업 OPS (0) | 2024.07.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