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안전관리자/위험성 평가

통풍설비(FAN)설치 작업 위험성 평가

by 안전관리자kim 2024. 6. 5.
반응형

 

개요

 

  • 통풍설비(FAN)설치작업은 FAN 자재 입고, 윈치·체인블록 등을 이용하여 Lifting(Motor 외), Grout 타설 순으로 공정을 나눌 수 있다.
  •  FAN 설치는 장비(크레인 등) 작업이 불가하여 윈치 또는 체인블록을 이용 인력에 의존하여 중량물 운반 및 Lifting 작업으로 협착 등 사고 위험성이 높은 작업이다.

 

단위작업 분류 및 순서

 

  1. Base & Padding 설치
  2. 자재반입 및 운반
  3. Motor 설치
  4. Suction Box 설치
  5. Fan Housing 설치
  6. Diffuser 설치

 

1. Base & Padding 설치 작업

 

Base & Padding 설치 작업

 

분류 유해위험요인 감소대책
인적 요인 앙카드릴 작업시 돌림 현상으로 인한 창상사고 위험 앙카드릴 작업시 공도구사용은 숙련공이 작업을 실시
작업에 필요한 적정 보호구 및 안전장구 미흡으로 인한 사고 작업에 필요한  안전대, 추락방지대 등 보호구 및 안전장구 사전 점검
기계적 요인 작업에 필요한 적정 보호구 및 안전장구 미흡으로 인한 사고 작업에 필요한  안전대, 추락방지대 등 보호구 및 안전장구 사전 점검
자재 이동을 위한 적재 시 적재불량으로 자재 전도, 협착 적재물은 낙하에 대비 결속 및 고정 후 이동시 전방을 주시하면서 좌우에서 밀어서 이동
Padding 설치 작업 시 주변 개구부로 추락 주변 개구부 덮개 설치 및 이상여부 수시 확인
조명부족에 의한 전도, 창상 등 사고 작업에 적합한 조명 설치
높은 위치의 Padding에서 작업 중 뛰어내리는 등 불안전한 행동으로 인한 추락 높은 위치 Padding 작 시 이동통로 설치
전기적 요인 습기지역 전동공구 사용 중 누전에 의한 감전 사용 전 기계의 외함 접지 설치 상태 확인 및 충전부위 절연조치 실시
가설전선 및  꽂음 접속기구 충전부에 접촉 감전 가설전선은 가공으로 배선하고 꽂음 접속기구는 파손이 되지 않도록 보호커버를 설치하여 사용
아크 용접기 사용 시 감전 교류 아크 정격자동방지기 및 전선 피복, 홀더 등 사전 점검 실시
작업환경 요인 앙카드릴 작업 시 콘크리트 비산물질로 인한 호흡기질환 위험 앙카 드릴 작업 시 보안경, 마스크 착용을 하여 작업을 실시
BASE 설치작업 시 작업자 근 골격계,창상위험 PANELL BASE 양중 시 21, 31조 자재 양중

 

 

2. 자재 반입 및 운반 작업

 

자재 반입 및 운반 작업

 

분류 유해위험요인 감소대책
인적 요인 지게차 사용 중 충돌 협착 지게차 사용 시 전담신호수 배치, 작업반경내 출입통제, 후방감시카메라 확인
장비점검 미흡으로 인한 작업 중 사고 장비종류에 따른 점검 체크리스트를 작성하여 점검
장비작업 전 신호수 미 지정에 의한 사고 장비작업 전 신호수를 지정하고 신호수 교육을 실시
기계적 요인 지게차에 과적하여 운행 중 낙하, 충돌 자재 운반시 낙하 및 굴림을 방지조치 및 운반로 사전 안전조치(개구부 및 요철부 제거)
자재를 적재한 후 이동통로 미확보에 의한 근로자 이동중 사고 자재 적재방향 및 보행 통로 확보
크레인 등으로 자재 양중시 고층 단부에서 자재를 받는 작업 중 추락 크레인 등 장비를 사용하여 양중시 신호수 배치, 장비의 안전설치, 슬라브 단부 등에서 자재를 받을 시 유도로프를 이용하고, 작업자는 안전대 착용
하역장소에 타 공종근로자 통행 중 충돌 하역장소에 근로자 통행 및 타 작업과의 간섭이 발생하지 않도록 위치 선정하여 작업
자재 운반시 개구부로 추락 자재 운반 전 운반로 확인 및 개구부 덮개 설치
작업특성 요인 작업위치에 대한 사전조사 미흡에 따른 사고 자재적재 장소 및 운반 장소에 대해 사전파악 후 개구 및 작업 간섭 공종과 협의 하여 작업 진행
자재의 특성상 날카로운 모서리에 베임 등 창상 하역 또는 운반작업 시 공자에서 보양해온 것을 제거하지 말고 운반
작업환경 요인 자재 반입 적재 장소 미확보로 인한 사고 자재 적재장소를 확보하고 하역 안전작업 계획을 수립하여 작업 실시

 

 

3. Motor 설치 작업

 

Motor 설치 작업

 

분류 유해위험요인 감소대책
인적 요인 받침대 설치(수평) 작업 중 손가락 협착 위험 작업방법 및 신호 통일 및 특별교육실시
안전벨트 미착용 상태에서 작업 중 추락 작업 시 2개걸이 안전밸트 착용 철저
기계적 요인

윈치 또는 체인블록으로 건물 내 이동 또는 Lifting 작업 중 협착 위험 작업지휘자 고정 배치하고, 작업방법 및 신호 통일하여 작업
윈치 활차 고정 및 체인블록 줄걸이 작업 중 추락 위험 줄걸이 작업용 작업대(이동식 틀비계 등) 설치후 작업(사다리를 이용한 줄걸이 작업 배제)
받침대 설치(수평) 작업 중 손가락 협착 위험 작업방법 및 신호 통일 및 특별교육실시
와이어 꼬임으로 감속기 파단 윈치 인양중 와이어 꼬임 여부 수시확인
윈치 드럼의 감속기 역회전 드럼에 역회전 방지장치 설치
정격하중 초과인양중 낙하 상하부 정격하중을 표지판 설치
윈치 인양중 후크의 상단부 끝까지 무리하게 작업 중 낙하 위험 윈치 마지막 끝까지, 혹은 HOOK의 상단부까지 억지로 사용하지 말 것
자재 인양중 자재가 회전하여 사고 발생 걸려있는 상태에서 본체가 회전하면 인적인 문제가 발생하므로 주의할 것.
전기적 요인 전동공구로 사용 중 누전으로 감전 전동공구 사용 전, 중 수시 점검 및 점검 필증 부착
사용하는 전선의 피복 노출로 충전부 접촉 감전위험 가설전선 사용 전, 중 점검실시 및 가공 배선 설치 
재료적 요인 와이어 / 섬유로프의 파단, 샤클의 마모에 의한 낙하 부적격한 와이어 / 섬유로프 사용금지, 달기로프 사용 기준 준수, 샤클 규격품 사용
작업특성 요인 중량물 및 차량계건설기계 작업계획 미수립 상태에서 작업 중 사고 중량물 및 차량계건설기계 작업계획서 수립/검토/승인 후 작업, 작업 전 근로자에게 계획 등 교육 실시
작업환경 요인 조명 부족으로 인한 협착, 충돌 등 사고 작업에 적합한 조명 설치

 

 

4. Suction Box 설치 작업

 

Suction Box 설치 작업

 

분류 유해위험요인 감소대책
인적 요인 받침대 설치(수평) 작업 중 손가락 협착 위험 작업방법 및 신호 통일 및 특별교육실시
안전밸트 미착용 상태에서 작업 중 추락 작업시 2개걸이 안전밸트 착용 철저
기계적 요인

윈치 또는 체인블록으로 건물내 이동 또는 Lifting 작업 중 협착 위험 작업지휘자 고정 배치하고, 작업방법 및 신호 통일하여 작업
윈치 활차 고정 및 체인블록 줄걸이 작업 중 추락 위험 줄걸이 작업용 작업대 (이동식 틀비계 등) 설치후 작업(사다리를 이용한 줄걸이 작업 배제)
받침대 설치(수평) 작업 중 손가락 협착 위험 작업방법 및 신호 통일 및 특별교육실시
와이어 꼬임으로 감속기 파단 윈치 인양중 와이어 꼬임 여부 수시확인
정격하중 초과인양중 낙하 상하부 정격하중을 표지판 설치
윈치 인양중 후크의 상단부 끝까지 무리하게 작업 중 낙하 위험 윈치 마지막 끝까지, 혹은 HOOK의 상단부까지 억지로 사용하지 말 것
자재 인양중 자재가 회전하여 사고 발생 걸려있는 상태에서 본체가 회전하면 인적인 문제가 발생하므로 주의할 것.
전기적 요인 전동공구로 사용 중 누전으로 감전 전동공구 사용 전, 중 수시 점검 및 점검 필증 부착
사용하는 전선의 피복 노출로 충전부 접촉 감전위험 가설전선 사용 전, 중 점검실시 및 가공 배선 설치 
재료적 요인 와이어 / 섬유로프의 파단, 샤클의 마모에 의한 낙하 부적격한 와이어 / 섬유로프 사용금지, 달기로프 사용 기준 준수, 샤클 규격품 사용
작업특성 요인 중량물 및 차량계건설기계 작업계획 미수립 상태에서 작업 중 사고 중량물 및 차량계건설기계 작업계획서 수립/검토/승인 후 작업, 작업 전 근로자에게 계획 등 교육 실시
작업환경 요인 조명 부족으로 인한 협착, 충돌 등 사고 작업에 적합한 조명 설치

 

 

5. Fan Housing 설치 작업

 

Fan Housing 설치 작업

 

분류 유해위험요인 감소대책
인적 요인 덮개 설치 작업 중 작업지휘자 미배치 및 신호 불일치로  손가락 협착 위험 작업지휘자 고정 배치 및 신호방법 통일
안전밸트 미착용 상태에서 작업 중 추락 작업 시 2개걸이 안전밸트 착용 철저
기계적 요인

체인블록을 이용하여 틀(덮개) 설치 작업 중 추락 위험 (둥근 덮개 상부에서 Bolting 작업 중 미끄러짐(추락) 위험) 작업지휘자 고정 배치하고, 작업방법 및 신호 통일하여 작업
줄걸이 설치·해체 및 수직 이동중 추락 위험 작업대 설치 및 안전벨트 착용(부착설비 설치) 철저
체인블럭에 고정한 자재가 후크에서 이탈하여 낙하 후크에 해지장치 부착 확인
2대의 체인을 연결하여 사용중 한대의 결함으로 균형상실 낙하, 충돌 2대를 병렬로연결하여 사용하는 것 금지
체인블럭의 정격하중 이상을 인양하던 중 블록 탈락 낙하 표시 TON수 이상의 하중을 걸지 말 것
체인블럭 인양중 후크의 상단부 끝까지 무리하게 작업 중 낙하 위험 CHAIN의 마지막 끝까지, 혹은 HOOK의 상단부까지 억지로 사용하지 말 것
체인블럭의 체인이 꼬여 있는 상태에서 작업 중 반발력의 탄성에 의한 사고 CHAIN이 비틀어지거나 꼬여진 상태로 사용하지 말 것
전기적 요인 전동공구로 사용 중 누전으로 감전 전동공구 사용 전, 중 수시 점검 및 점검 필증 부착
사용하는 전선의 피복 노출로 충전부 접촉 감전위험 가설전선  사용 전, 중 점검실시 및 가공 배선 설치 
재료적 요인 와이어 / 섬유로프의 파단, 샤클의 마모에 의한 낙하 부적격한 와이어 / 섬유로프 사용금지, 달기로프 사용 기준 준수, 샤클 규격품 사용
작업특성 요인 중량물 및 차량계건설기계 작업계획 미수립 상태에서 작업 중 사고 중량물 및 차량계건설기계 작업계획서 수립/검토/승인 후 작업, 작업 전 근로자에게 계획 등 교육 실시
작업환경 요인 조명 부족으로 인한 협착, 충돌 등 사고 작업에 적합한 조명 설치

 

 

6. Diffuser 설치 작업

 

Diffuser 설치 작업

 

분류 유해위험요인 감소대책
인적 요인 수평 작업 중 손가락 협착 위험  작업지휘자 통제하에 작업 (작업방법, 순서 및 주의사항 교육)
안전밸트 미착용 상태에서 작업 중 추락 작업 시 2개걸이 안전밸트 착용 철저
기계적 요인

확산기 줄걸이 방법 불량으로 건물내 이동 및 Lifting 작업 중 자재 낙하 또는 협착 위험 작업 전 줄걸이 방법, 위치 교육 및 Lifting 작업 반경내 출입 통제
둥근 확산기 상부에서 줄걸이 설치·해체 및 Bolting 작업 중 추락 위험 이동식 틀비계 등 가설 작업대 설치후 작업
체인블럭에 고정한 자재가 후크에서 이탈하여 낙하 후크에 해지장치 부착 확인
2대의 체인을 연결하여 사용중 한대의 결함으로 균형상실 낙하, 충돌 2대를 병렬로 연결하여 사용하는 것 금지
체인블럭의 정격하중 이상을 인양하던 중 블록 탈락 낙하 표시 TON수 이상의 하중을 걸지 말 것
체인블럭 인양중 후크의 상단부 끝까지 무리하게 작업 중 낙하 위험 CHAIN의 마지막 끝까지, 혹은 HOOK의 상단부까지 억지로 사용하지 말 것
체인블럭의 체인이 꼬여 있는 상태에서 작업 중 반발력의 탄성에 의한 사고 CHAIN이 비틀어지거나 꼬여진 상태로 사용하지 말 것
전기적 요인 전동공구로 사용 중 누전으로 감전 전동공구 사용 전, 중 수시 점검 및 점검 필증 부착
사용하는 전선의 피복 노출로 충전부 접촉 감전위험 가설전선 사용 전, 중 점검실시 및 가공 배선 설치 
재료적 요인 와이어 / 섬유로프의 파단, 샤클의 마모에 의한 낙하 부적격한 와이어 / 섬유로프 사용금지, 달기로프 사용 기준 준수, 샤클 규격품 사용
작업특성 요인 중량물 및 차량계건설기계 작업계획 미수립 상태에서 작업 중 사고 중량물 및 차량계건설기계 작업계획서 수립/검토/승인 후 작업, 작업 전 근로자에게 계획 등 교육 실시
작업환경 요인 조명 부족으로 인한 협착, 충돌 등 사고 작업에 적합한 조명 설치

 

 

통풍설비(FAN)설치 작업 재해 사례

 

이동식 크레인의 보조 붐이 꺾이면서 인양 중이던 자재 낙하

 

  • 재해개요
    • 이동식크레인을 사용하여 아파트 옥상층의 가설자재를 지상으로 인양하던 중 크레인의 보조 붐이 꺾이면서 가설자재가 낙하하여 하부에 있던 피재자를 가격하여 사망한 재해임
  • 재해원인
    • 허용경사각 준수
    • 안전장치 사전점검 미흡
  • 안전대책
    • 이동식크레인으로 양중작업 시에는 크레인의 붐 길이와, 작업반경, 인양각도를 고려하여 정격하중 이내의 중량물을 양중
    • 과부하방지장치의 경고 부저가 울리는 등 크레인에 과부하가 감지 될 경우에는 즉시 작업을 중단하고 부재의 중량경감 등을 통해 과부하의 원인을 제거 한 후 작업을 재개토록 하여야 함
  • 형태
    • 낙하

 

이동하던 중 설비 덕트용 개구부로 추락

 

  • 재해개요
    • 이동하던 중 지상1층 바닥의 설비덕트용 개구부(0.4×2.56)에 빠지면서 약4.6m 아래 지하1층 콘크리트 바닥으로 추락하여 사망한 재해임.
  • 재해원인
    • 덮개설치 불량
    • 어두운 곳 개구부 식별표지 미설치
  • 안전대책
    • 높이가 2m이상의 바닥 수평개구부에는 안전난간, 울 및 손잡이 등으로 방호조치를 하거나, 충분한 강도를 가진 구조의 덮개를 뒤집히거나 떨어지지 않도록 설치
    • 어두운 장소에서도 식별이 가능하도록 개구부임을 표시하여야 함 
  • 형태
    • 추락

 

크레인으로 냉각기 Tube Bundle 해체 및 인양 중 피재자 가격

 

  • 재해개요
    • 이동식 크레인으로 인양작업 중 Tube BundleWalking Way에 위치한 피재자를 가격하여 1명이 사망하고 1명이 부상당한 재해
  • 재해원인
    • 신호체계 미흡
    • 유도로프 미설치
  • 안전대책
    • 작업자가 인양물에 근접해 있는 경우에는 인양 및 크레인 붐 등이 이동되지 않도록 신호체계를 확립
    • 작업을 진행하여야 하는 때에는 유도로프를 설치하여 이동경로에서 일정거리 이상 떨어져 작업하여야 함 
  • 형태
    • 충돌

 

공장기계, 설비 절단 작업 중 도괴

 

  • 재해개요
    • 벽체에 설치된 개구부(높이 약 5m의 덕트 연결구) 밖으로 몸을 내밀고, 벽체외부에 설치된 싸이클론(먼지집진장치)과 내부로 연결된 덕트설비를 산소절단기로 절단하던 중, 싸이클론이 기울어지면서 피재자를 가격하여 사망한 재해임
  • 재해원인
    • 중량물 해체작업계획 수립 미흡
    •  
  • 안전대책
    • 공장내 기계설비 등의 중량물 해체작업을 진행
      • 중량물의 종류 및 형상
      • 취급방법 및 순서
      • 작업장소의 넓이 및 공간의 특성 등을 고려한 작업계획을 작성준수하여 불안전한 상태의 설비를 해체함에 따른 재해를 예방하여야 함
  • 형태
    • 붕괴, 충돌

 

고소작업대에 바퀴가 개구부에 빠지면서 전도

 

  • 재해개요
    • 고소작업대를 이동시키던 중 합판을 덮어 놓은 맨홀에 바퀴가 빠지면서 고소작업대가 전도되어 Con'c 바닥으로 추락하여 사망한 재해
  • 재해원인
    • 이동시 하강미흡
    • 개구부 덮개 미설치
  • 안전대책
    • 고소작업대를 이동하는 때에는 작업대를 가장 낮게 하강하여 이동
    • 개구부는 견고한 재질로 덮개 설치 철저
  • 형태
    • 전도, 추락

 

    • 재해개요
      • 이동식비계에서 발판재와 안전난간을 해체하고 수직재(주틀)를 해체하던 중 몸의 중심을 잃고 추락하여(7m) 사망한 재해
    • 재해원인
      • 작업발판 불량
      • 안전대 미사용
      • 안전대 미착용
    • 안전대책
      • 작업방법 개선
        • 고소작업 장소에서 추락위험을 사전에 방지하기 위하여 고소작업대차를 사용하는 등 작업방법 개선
      • 개인보호구 착용 철저
        • 고소작업 장소에서 작업 시에는 안전대를 지급하고, 이를 착용하도록 관리감독 철저
  •  
  • 형태
    • 추락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