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안전관리자/OPS

목재가공용 둥근톱 작업 OPS

by 안전관리자kim 2024. 10. 7.
반응형

 

목재가공용 둥근톱 작업

 

목재가공용 둥근톱이란?

둥근톱기계는 전기모터를 이용하는 기계로서, 지름 300∼400mm 강철 원판의 둘레에 톱니를 만들어 이것을 회전체에 부착, 고속으로 회전시켜서 목재가공작업을 하는 설비이다.
테이블의 목재가이드를 조정하여 작업자가 원하는 너비의 목재를 연속적으로 자를 수 있고, 구조가 간단하고 용이하며 능률도 좋아서 제재와 목공용으로 많이 사용되나 위험성 또한 크다.
둥근톱의 크기는 용도도 다양하며 형식과 종류도 많으나 회전축에 톱을 장치하여 회전시키는 구조는 동일하다. 주요 구조부는 승강기 본체, 톱축, 톱축 승강장치, 테이블 및 정규로 구성되어 있으며, 일반 적으로 둥근톱의 최대 절삭면폭은 톱반경의 70% 정도이고, 재료의 절삭방법은 둥근톱의 하부절삭과 상부절삭의 2가지 방식이 있다.

 

 

목재가공용 둥근톱 작업 주요 위험요인

회전하는 톱날에 접촉 위험
- 톱날접촉예방장치 미설치 작업 시 톱날에 접촉, 절상 위험
가공재의 반발로 목재 비래 위험
동력전달부 접촉에 의한 협착 위험
목 분진 흡입 및 고소음으로 인한 건강장해 위험

 

목재가공용 둥근톱 작업 안전대책

방호장치 설치
- 작업 중 작업자의 신체가 위험한계에 접근할 수 없는 구조의 톱날 접촉예방장치(고정식, 가동식)

 ※ 고정식의 경우 가공물 상부에서 톱날 접촉예방장치의 하부면 사이의 틈새가 8mm 이하가 되도록 조정
- 가공 중인 목재가 벌어지지 않고 톱날에 끼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구조의 분할날을 설치하여야 함
 ※ 분할날과 톱니 사이의 간격이 12mm 이내가 되도록 조정
- 가공 중인 목재가 튀어 오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구조의 반발예방장치 설치

 

 

모터에서 둥근톱으로 연결되는 동력전달부에는 견고한 구조의 방호덮개 설치
가공작업 중 분진 및 소음에 의한 건강 장해예방을 위해 방진마스크, 귀마개 등 개인보호구 착용

반응형

목재가공용 둥근톱 작업 재해 사례

 

목재가공용 둥근톱 작업시 안전 수칙

둥근톱기계의 고정상태가 견고한지 확인한다. (바닥 면과의 지지 및 톱날고정 상태 등)
둥근톱의 최대 원주 속도를 준수한다.
톱니에 말려들 위험이 있는 장갑은 착용하지 않는다.
 반발 또는 가공 중 톱날 노출 우려가 있는 구부러진 목재는 켜지 않는다.
 톱날에서 충분히 이격된 위치를 잡는다. (단, 나무껍질 등 분리될 수 있는 부분을 잡지 않는다)
 톱날이 정상적으로 회전하지 않을 때는 일단 가공물을 후퇴시킨다.
톱날 높이는 가공물 상부 면보다 보다 5mm 이상 올라오지 않게 조정한다.
옹이부분은 서서히 켠다.
목재를 켜고 있는 동안에는 재료를 비틀지 않는다.
긴 목재나 폭이 큰 목재를 켤 경우에는 들뜸을 방지하기 위해 먼저 고정시키거나 또는 보조 테이블을 설치한다. 

보안경, 안전화 등 보호구를 착용한다.
소형의 목재 가공 시에는 푸시스틱 등 작업보조기구를 사용한다.
전원 차단시 회전하는 톱날을 정지시키기 위해 톱날을 옆에서 눌러 정지시키지 않도록 한다.

 

 

 

반응형

'안전관리자 > OPS' 카테고리의 다른 글

다축드릴링머신 작업 OPS  (1) 2024.10.09
절곡기 작업 OPS  (0) 2024.10.08
폐품 분쇄기/파쇄기 작업 OPS  (0) 2024.10.06
금속절단기 작업 OPS  (0) 2024.10.05
일반 작업용 리프트 작업 OPS  (0) 2024.10.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