폐품 분쇄기/파쇄기 작업
폐품 분쇄기/파쇄기란?
분쇄기는 주로 폐플라스틱이나, 폐고무 등을 재생하여 원료로 사용하기 위해 잘게 부수는데 사용되며, 파쇄기라고도 불린다.

폐품 분쇄기/파쇄기 작업 주요 위험요인
① 점검ㆍ정비ㆍ청소작업 중 칼날에 끼임
② 호퍼ㆍ투입구ㆍ작업발판 등에서 추락
③ 누전에 의한 감전
④ 분진 흡입에 의한 호흡기 질환
폐품 분쇄기/파쇄기 작업 안전대책

① 분쇄기(파쇄기) 호퍼에 덮개 설치(가능한 구조일 때)
② 분쇄기(파쇄기) 호퍼ㆍ투입구 주변에 안전난간ㆍ방망설치
③ V-벨트 등 동력전달부에 덮개 설치
④ 분쇄기(파쇄기) 통행용 안전난간이 있는 계단 설치 및 미끄럼방지조치
⑤ 작업점 높이가 높을 때 안정된 작업발판 설치
⑥ 운전 정지 후 점검ㆍ정비ㆍ수리ㆍ청소작업 실시
- 조작반에 키(Key) 스위치 설치 및 상기 작업 시 작업자가 Key를 빼내어 휴대
- 기동스위치에 「점검 중 조작금지」와 같은 표지(꼬리표) 게시
⑦ 분쇄기(파쇄기) 호퍼 내 이물질 제거용 전용 수공구 사용
⑧ 분쇄기(파쇄기) 외함에 접지 실시
⑨ 눈에 띄기 쉬운 곳에 비상정지스위치(수동복귀형) 설치
⑩ 칼날 접촉위험을 경고하는 위험·경고 표지 게시
⑪ 개인보호구 착용ㆍ지도 및 표지 게시
- 안전모, 보안경, 귀마개ㆍ귀덮개, 방진마스크, 작업복, 안전화 등
⑫ 분쇄(파쇄)시 발생하는 분진 제거용 집진설비 설치
⑬ 작업에 필요한 충분한 조도 확보
폐품 분쇄기/파쇄기 작업 재해 사례

폐품 분쇄기/파쇄기 작업시 안전 수칙
※ 작업 전
① 분쇄기(파쇄기) 능력에 비해 큰 폐품은 투입되지 않도록 선별한다.
② 가동하기 전 주변 작업자의 위치 및 상황을 파악하고, 기계의 각 부 성능이 정상인지 확인한다.
③ 안전난간ㆍ덮개ㆍ비상정지스위치 등의 안전장치를 확인한다.
④ 조작반에「점검 중 조작금지」표지(꼬리표)를 비치한다.
※ 작업 중
① 추락위험장소 출입 시 안전화ㆍ안전모 등의 개인보호구를 착용한다.
② 분쇄(파쇄)작업 시에는 귀마개ㆍ방진마스크를 착용한다.
③ 정상 작동 중에는 점검이나 청소 등의 작업을 하지 않는다.
④ 분쇄(파쇄)작업 중 칼날에 끼인 폐품은 전원차단 후 제거한다.
⑤ 전원차단이 곤란할 경우에는 전용의 수공구를 사용한다.
※ 작업 후
① 분쇄기(파쇄기)를 정지 시에는 분쇄물이 완전히 배출된 것을 확인한다.
② 분쇄기(파쇄기)를 점검ㆍ정비ㆍ청소 등의 작업을 할 때에는 반드시 전원을 차단하고, 기동스위치에 「점검 중 조작금지」표지(꼬리표)를 게시한다.
③ 작업이 끝나면 모든 전원을 차단하고, 임의조작을 하지 못하도록 조치한다.
④ 사용한 개인보호구를 청결히 한다.
⑤ 호퍼 내부와 주변을 정리정돈 한다.
'안전관리자 > OPS'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절곡기 작업 OPS (0) | 2024.10.08 |
---|---|
목재가공용 둥근톱 작업 OPS (2) | 2024.10.07 |
금속절단기 작업 OPS (0) | 2024.10.05 |
일반 작업용 리프트 작업 OPS (0) | 2024.10.04 |
승강기(엘리베이터) 작업 OPS (2) | 2024.10.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