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미분탄 연소장치 [연사작부]
미분탄 : 입자가 가루/ 알갱이 =>표면적 넓음 -> 대형,대용량
1) 연소제어가 용이하고 점화,소화시 손실이 적다
2) 사용연료의 범위가 넓다
3) 작은 공기비로 완전연소가 가능하다 (연료와의 접촉표면적이 넓기 때문)
4) 부하변동에 대한 적응성이 높아서, 대형/대용량 설비에 적합하다
2. 유동층 연소장치
#1. 장점 [NS미로]
1) NOx의 생성량이 적다
2) 유동매체로 석회석 등 탈황제를 사용하여 로내 탈황이 가능하다
3) 미분탄 연소장치가 필요없다
4) 로의 구조가 간단하고 구동부가 없어서 고장이 적다
#2. 단점 [부석비유조손]
1) 부하변동에 대한 적응성이 낮다
2) 석탄 연소시 미연소된 char이 발생될 수 있으므로, 재연소장치에서의 연소가 필요하다.
3) 비산먼지의 발생량이 많다
4) 유동화에 따른 압력손실이 커서 동력비가 많이 든다
5) 조대한 연료는 투입전 전처리 과정으로 파쇄공정이 필요하다
6) 손실되는 유동매체 (모래)의 보충이 요구된다. (비용이 많이 든다)
3. 유압분무식 버너 [연구고연유]
1) 연소장치가 큰 대형보일러등에 적합하다. (화물용,선박용)
2) 구조가 간단하고 유지보수가 용이하다
3) 고부하의 연소가 가능하다
4) 연료의 분사유량 : 15L/hr~2000L/hr
5) 연료유의 분무각도 : 40도 ~ 90도
6) 유압 : 5kg/cm2~30kg/cm2
7) 유압이 5kg/cm2이하이거나 점도가 큰 연료의 경우 분무화가 불량하다
8) 유량조절범위 : 환류식 1:2, 비환류식 1:3으로 낮기 때문에 부하변동에 대한 적응성이 낮다
4. 건타입 버너 : 토치 - CS탄 깔 때 사용 :: 소량 [가연고]
1) 가열로에 주로 사용된다.
2) 연소가 양호하고 전자동 연소가 가능하다.
3) 고장이 적고 연소효율이 좋다
'자격증 > 관련 용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방폭지역 구분 : Zone과 Class 기준 완벽 정리 (0) | 2025.03.25 |
---|---|
제안서 작성 초보자를 위한 RFP, RFI, RFQ 개념 정리 (2) | 2025.03.24 |
프로젝트 관리 역할 정리 : PM, PMO, PL, PE, PA, QA의 차이점과 역할 (0) | 2025.03.17 |
SUS PIPE 산세정 완벽 정리: 공정, 필요성, 주의사항까지 (0) | 2025.03.12 |
GstarCAD 자주쓰는 단축키 (0) | 2025.02.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