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소 공식을 이해하는 것은 화학공학, 환경공학, 에너지공학 등 여러 분야에서 필수적임.
특히 시험 대비를 위해 어떤 공식을 언제 적용해야 하는지 정확히 아는 것이 중요함.
아래 내용을 통해 연소 계산 공식과 공기비 개념을 정리함.
1. 이론 산소량 (Oo) 계산법
이론 산소량(Oo)은 연료가 완전 연소하는 데 필요한 산소량을 의미함.
문제에서 단위를 확인한 후 적절한 공식을 사용해야 함.
(1) Oo 단위가 Kg/Kg일 때
공식:
Oo = 2.667C + 8(H - O/8) + S
(2) Oo 단위가 Sm3/Kg일 때
공식:
Oo = 1.867C + 5.6(H - O/8) + 0.7S
(3) Oo 단위가 Sm3/Sm3일 때
공식:
Oo = 0.5CO + 0.5H2 + 2CH4 + 3.5C2H6 + 5C3H8 + 6.5C4H10 - O2
✅ 공식 선택 기준:
- Kg/Kg 공식 적용: 문제에서 "공기 몇 Kg으로 연소"라는 표현이 나오면 적용.
- Sm3/Kg 공식 적용: 문제에서 "기체연료 몇 Sm3으로 연소"라는 표현이 나오면 적용.
- Sm3/Sm3 공식 적용: 문제에 CO, CH4 등 불완전 연소 물질이 포함된 경우 적용.
💡 팁: 연료 성분을 알려주면 해당 성분의 비율을 이용해 계산해야 함. 예를 들어 연료 성분이 C: 80%, H: 15%, N2: 5%라면 C, H, O, S 값을 대입하여 Oo를 구하면 됨.
2. 이론 공기량 (Ao) 계산법
이론 공기량(Ao)은 연료가 완전 연소하는 데 필요한 최소한의 공기량을 의미함.
(1) Oo가 Kg/Kg일 때
공식:
Ao = (1 / 0.232) × Oo
(2) Oo가 Sm3/Kg 또는 Sm3/Sm3일 때
공식:
Ao = (1 / 0.21) × Oo
3. 공기비 (m) 계산법
공기비(m)는 실제 공급한 공기량(A)과 이론 공기량(Ao)의 비율임.
공식:
m = A / Ao
✅ 공기비 계산 유형:
- m과 Ao를 주고 A를 구하는 경우:
- A = m × Ao
- A와 Ao를 주고 m을 구하는 경우:
- m = A / Ao
💡 과잉공기 문제 풀이 팁:
- 문제에서 "과잉공기 몇 %로 연소"라는 표현이 나오면 m 값을 직접 제공하는 문제임.
- 예를 들어 과잉공기 10% → m = 1.1
4. 연소가스 내 공기비 (m) 계산법
공기비(m)를 연소가스 조성을 이용해 계산할 수도 있음.
공식:
m = N2 / (N2 - 3.76(O2 - 0.5CO))
- N2, O2, CO 값이 주어지지 않으면 0으로 놓고 계산 가능.
- 대기 중 일반적인 질소(N2)와 산소(O2)의 비율은 다음과 같음.
- N2 = 79%
- O2 = 21%
이를 공식에 대입하면 간단한 식으로 변환 가능함.
공식 변형:
m = 21 / (21 - O2)
5. 시험 대비 실전 팁
✅ 무조건 외우지 말고 문제 유형을 파악하라!
- 모든 공식을 암기할 필요 없이 문제에서 단위를 확인하고 적절한 공식을 선택하는 것이 중요함.
- 특히 Oo → Ao → m 순서로 풀이하는 경우가 많음.
✅ 과잉공기(m) 문제 쉽게 해결하기!
- 과잉공기 비율이 주어지면 공기비(m) 값을 직접 제공하는 문제이므로 쉽게 해결 가능함.
✅ 화학식 암기 필수!
- 메탄올(CH3OH), 옥탄(C8H18) 같은 화학물질을 모르면 문제를 풀지 못하는 경우가 많음.
- 이론 공부 중 등장하거나 모의고사에서 자주 출제되는 화합물은 미리 정리해서 암기해 두는 것이 좋음.
✅ 주어진 단위에 따라 공식을 선택하라!
- 문제에서 주어진 단위(Kg/Kg, Sm3/Kg, Sm3/Sm3)를 확인하고 적절한 공식을 선택해야 함.
'자격증 > 관련 용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삼원촉매장치란? 원리와 기능 정리 (1) | 2025.04.01 |
---|---|
방폭지역 구분 : Zone과 Class 기준 완벽 정리 (0) | 2025.03.25 |
제안서 작성 초보자를 위한 RFP, RFI, RFQ 개념 정리 (2) | 2025.03.24 |
연소장치 정리 (0) | 2025.03.21 |
프로젝트 관리 역할 정리 : PM, PMO, PL, PE, PA, QA의 차이점과 역할 (0) | 2025.03.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