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지하철 토공 및 가시설 작업
줄파기 안전 작업
① 안전통로 확보 및 돌출물이 없도록 제거
② 굴착부위 단부에는 안전난간 등 설치, 굴착하부로 이동할 수 있는 통로 설치
③ 굴삭기 작업반경내 출입금지조치 및 신호수 배치
④ 굴착구간 구획정리(일반행인 통로, 자동차 우회도로)
⑤ 관리감독자 배치하여 지휘감독 및 굴착구배 준수
⑥ 지장물 관리주체와 협조구축 및 입회하에 굴착
⑦ 작업전 전기기계기구, 조명설비, 양수기 등의 누전여부를 전기취급 전문가가 확인 후 작업 실시
⑧ 주변 고압선로 이설, 방호구 설치, 작업중 감시자배치
⑨ 굴착작업 시 작업자, 행인 등을 고려한 안전한 시설 설치 게획 수립/검토/승인 후 작업 실시
⑩ 굴착작업전 지하매설물 현황을 정확하게 파악하고 작업 시 관련자 입회하에 작업

노면복공 안전 작업
① 주형보 상부 작업발판설치, 하부 추락방지를 위한 추락방지망 또는 안전대 걸이시설 설치
② 개구부가 발생된 부위는 덮개, 안전난간을 설치
③ 사전 위험요인 파악 및 교육 실시
④ 복공판설치시 고정 철저, 단부 안전난간 설치로 추락 방지
⑤ 줄걸이 체결상태, 2줄걸이, 와이어 로프 및 슬링벨트 상태 등 확인 인양시 유도로프를 설치하여 설치지점까지 유도
⑥ 크레인 바닥상태 확인, 아웃트리거 확장설치, 받침목 사용 철저
⑦ 전동공구 투입 전 외관 등의 상태점검 실시, 3P전선확인 및 누전차단기에서 전원인출 상태 확인
⑧ 용접기 전원인출시 삼상누전차단기 접속, 외합접지, 전격방지기 설치, 충전부 절연조치
⑨ 가시설 설치 작업전 구조검토, 조립도 작성/검토/승인하에 작업 실시
⑩ 상부 고압선로등에 방호관설치 및 작업중 감시자 배치

지장물 보호공 안전 작업
① 보호공 설치작업 시 안전대 부착설비에 안전대고리를 걸고 작업, 작업발판 설치
② 작업에 적합한 조명 설치 및 작업 시 작업발판 설치
③ 보강 작업을 위해 지중 가시설물의 무리한 해체 금지 및 별도 구조 보강후 가시설물 해체
④ 지장물 관계기관 입회하에 작업 실시, 사전 조사
⑤ 노출된 지장물은 위험표지 등을 설치하고 즉시 보호 조치 실시
⑥ 가스관로 주변 작업전 가스의 누설여부 등을 확인한 후 작업실시
⑦ 지장물 주변 작업 시 인력 굴착 실시
⑧ 전동공구 투입 전 외관 등의 상태점검 실시, 3P전선확인 및 누전차단기에서 전원인출 상태 확인
⑨ 용접기 전원인출시 삼상누전차단기 접속, 외합접지, 전격방지기 설치, 충전부 절연조치
⑩ 지장물 보호공 설치 작업절차와 순서 준수
⑪ 관련기관에 문의하여 지장물 위치,형상,종류 파악후 관계자 입회하에 작업실시

지하굴착 안전 작업
① 장비사용전 안전점검 실시(각종 안전장치 및 관련 서류) 후 장비사용허가증 부착
② 굴착장비 작업 시 신호수 배치, 장비와 장비의 이격거리 등 조치, 장비 신호수 배치
③ 굴착 작업전 지장물 조사와 확인 후 작업 실시/지장물 근접작업 시 관계자 입회하에 실시
④ 작업전 버켓 유압커플러 안전핀 이탈방지장치(분할핀) 확인 철저(규격품사용)
⑤ 굴삭기 뒷면 정중앙에 사각지대가 발생되지 않도록 설치, 장비 사용 전에 후방감시카메라 작동상태 확인 철저, 후진경보기 부착
⑥ 굴삭기 버켓을 타는 작업, 굴삭기로 중량물 등 인양 작업 금지
⑦ 작업전 전기기계기구, 조명설비, 양수기 등의 누전여부를 전기취급 전문가가 확인 후 작업 실시
⑧ 주변 고압선로 이설, 방호구 설치, 작업중 감시자배치
⑨ 차량계건설기계 사용 작업전 작업계획 수립 작성/검토/승인 후 작업실시
⑩ 좁은 공간에 대한 인지를 운전자에게 수시로 교육하여 작업중 불안전한 행동에 의한 사고 예방환기설비를 설치 운용

반응형
'안전관리자 > OPS'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지하철 수직구 작업 OPS (0) | 2024.08.19 |
---|---|
지하철 구조물 작업 OPS (1) | 2024.08.19 |
TBM 터널 굴차 작업 OPS (0) | 2024.08.18 |
터널 환기 작업 OPS (0) | 2024.08.17 |
터널 라이닝 콘크리트 타설 작업 OPS (0) | 2024.08.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