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PRD 기초 작업
PRD 기초 준비 안전 작업
① 자재 등 야적장소 구획정리 및 작업장소 사전협의하여 휀스를 설치하고 관계자외 출입금지한다.
② 자재 하역 및 조립시 신호수 배치, 장비 반입시 점검(점검체크리스트 활용)을 한다.
③ 연약지반에서 장비조립시 장비전도 예방을 위한 아웃트리거 및 견고한 깔목(철판 등) 설치한다.
④ 장비사용전 안전점검 실시(각종 안전장치 및 관련 서류) 후 장비사용허가증 부착후 작업한다.
⑤ 절단기, 용접기 등 전동공구 및 고압가스 등 위험물 저장소를 사전 점검하여야 한다.
⑥ 굴착 바닥 평탄 작업시 굴삭기 작업반경 출입금지 및 후방카메라 등 부착하여 충돌 협착사고 예방, Out Casing 굴착부 추락방지 휀스 설치 한다.
⑦ 인양로프 등 줄걸이 사전점검을 철저히 한다.
⑧ 중량물 취급작업계획 및 차량계 건설기계의 작업계획을 수립 작성/검토/승인 후 작업 실시한다.
⑨ 작업전 위험성평가를 실시하고 작업계획 및 위험성평가 내용을 근로자에게 교육한다.

IN Casing 설치 및 천공 안전 작업
① 작업노면이 연약하여 장비의 이동이 어려울시 반드시 치환을 하거나 복공판을 설치한다.
② 장비설치시 수직도를 맞춘 후, 작업 중 수직관계를 재확인, 천공시 토사와 먼지 분출 보양 조치한다.
③ 천공장비 안전장치 확인 및 점검, 신호철저로 협착 사고 방지, WIRE ROPE상태 확인, 작업반경내에는 관계자외 접근금지 및 통행 통제, 굴착이 완료되면 안전카바를 설치 하여야 한다.
④ 강관파일 시공 전 항타는 편타가 되지 않게하고, 파일 관입시 항타기와 PILE 축 중심은 일직선이 되어야 한다. 강관Pile 회전시 미끄럼 방지를 위한 Key를 부착하여 작업한다.
⑤ 굴착완료 후 공내의 슬라임이 바닥에 가라앉아 침전된다. 이슬라임은 건물하중을 지탱해주는 PRD기둥의 내력 저하를 초래할수 있으므로 콘크리트 타설전 완전히 제거한다.
⑥ 콘크리트 타설용 트레미관을 인양 공저면에 안착 토록 신호 및 확인 철저/줄걸이 확인 철저, 콘크리트 운반차량 후진시 신호수 배치하여 콘크리트를 타설한다.
⑦ 철골기둥 압입시 수직도 확보를 위한 앵글 용접 작업시 감전사고 예방을 위한 자동전격방지기 누전차단기, 접지 실시 하고 철골 압입시 낙하, 협착예방을 위한 줄걸이 등 확인을 한다.

되메우기 및 IN CASING 인발 안전 작업
① 작업전 작업 현장을 확인 점검하고 계획수립 및 위험성평가를 실시하여야 한다.
② 공벽붕괴 및 철골기둥의 유동을 방지하기 위하여 모래를 사용하여야하나 현장토사 사용시 반드시 부피가 큰돌을 제거하여야한다.
③ 인발시 바닥이 평탄하지 못할때는 위치오차가 발생할 수가 있으므로 복공판 이나 철판등의 사전조치를 하여야한다.
④ 되메우기 작업시 굴삭기 작업반경내 접근금지, 인력으로 삽질 등 작업시 요통사고를 예방한다.
⑤ 작업전 와이어로프 손상유무 점검 및 탈락 방지용 후크 해지장치 등을 확인 점검하여야 한다.
⑥ 신호수를 배치하여 근로자, 차량 등의 진입을 통제하고 줄걸이 작업이 안전한지 확인한다.
⑦ 인발기의 각종 유압장치 이상유무를 확인 점검후 작업을 실시한다.
⑧ 인발된 케이싱은 구름방지조치를 하여 적재하고 반출계획을 수립하여 즉시 반출토록 한다.

반응형
'안전관리자 > OPS'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지하매설물 보호 작업 OPS (0) | 2024.07.30 |
---|---|
흙막이 Sheet Pile 작업 OPS (0) | 2024.07.30 |
흙막이 SLURRY WALL 작업 OPS (0) | 2024.07.30 |
흙막이 S.C.W 작업 OPS (0) | 2024.07.30 |
흙막이 C.I.P 작업 OPS (1) | 2024.07.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