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개요
- 화학, 발전 등 플랜트에서 발생하는 가스를 포집하여 재사용하는 설비를 시설을 설치하는 작업을 말한다.
- 장비작업에 따른 장비전도, 중량물 인양작업시 낙하/충돌, 고소작업시 추락, 전기기게기구 사용시 감전 등의 사고가 발생한다.
단위작업 분류 및 순서
- 작업 준비
- 장비설치 작업
- 자재인양 작업
- 설치 작업
- 비계 설치 작업
1. 작업 준비
분류 | 유해위험요인 | 감소대책 |
인적 요인 | 장비 반입절차 등을 이행하지 않고 작업 중 장비자체 결함 등에 의한 사고 발생 | 작업착수 전 작업허가서 제출 및 검토를 통해 작업 전 허가서와 부합되는 준비상태를 확한 후 작업실시 |
지게차로 자재 하역 중 후방에 근로자 접근충돌 | 후방접근 금지 조치 , 후진 전 후방 확인실시, 후진경보기, 후사경, 후방카메라 등 확인 후 이동 | |
운반트럭 적재함에 임의로 올라가서 작업 중 추락 | 차량 적재함 운전자 외 탑승 작업금지 | |
하역작업 시 주변통제 미실시로 충돌 | 하역작업 시 유도자 배치 및 출입통제 조치 | |
기계적 요인 |
자재 적재 지반의 불량에 의한 도괴 | 견고하고 평탄한 지반에 받침목을 고이고 적재 |
크레인 과부하 및 권과방지 안전장치 미작동으로 인한 전도 | 크레인 작업 전 안전장치 작동상태 확인 미작동 장비 정비 | |
자재 하역 중 인양로프가 끊어져 자재가 낙하 | 인양로프는 손상되거나 변형, 부식되지 않은 것 사용 | |
크레인의 아웃트리거 미사용으로 자재 인양시 크레인 전도 | 크레인 아웃트리거 최대로 확장, 받침은 철판 등 설치하여 국부적인 지반 침하방지 조치 | |
전기적 요인 | 고압선로 주변 크레인 작업 중 선로 접촉 감전 등 주변현황 파악 미흡에 의한 사고 | 작업 전 작업 관련하여 주변 현황을 파악하여 위험성평가 실시 |
전기 공도구 및 전선에 대한 사전 점검 미흡으로 인한 사고 | 모든 전기관련 제품은 사용 전 점검을 하고 점검필증을 부착하여 사용하여야 한다 | |
재료적 요인 | 자재 반입 전 자재 검수 방법 등에 대한 확인 미흡으로 인한 사고 | 자재 반입 전 자재검수 방법과 항목에 대해 확인 |
작업특성 요인 | 중량물 및 차량계건설기계 작업계획 수립 미흡에 의한 사고 | 가스포집 장치 반입전 중량물 및 차량계건설기계 작업계획을 수립/검토/승인 후 작업 |
작업환경 요인 | 운반차량 진출입 작업 중 외부차량과 충돌 | 자재 반입차량의 진출입시 신호수 배치 및 도로구획 정리 |
가스포집 장치 반입시 적재 및 지상 작업 위치 선정 미흡으로 인한 후속작업 시 사고 위험 | 가스포집 장치 반입 전 타 공정과 협의하여 가스포집 장치 적재 및 지상조립 작업 위치 결정 |
2. 장비반입 및 설치 작업
분류 | 유해위험요인 | 감소대책 |
인적 요인 | 크레인 작업 중 신호불일치로 협착 | 크레인 작업 시 신호체계를 확립하고 신호수 배치 |
하역 시 하부 개구부 추락위험 | 안전벨트 부착설비 설치,안전벨트 사용 | |
기계적 요인 | 중량물 취급 시 낙하 충돌 | 크레인 이용하여 가스포집 장치 부재 운반 시 유도로프 설치 |
하역 시 달기기구 고정불량으로 낙하 | 후크해지장치 부착확인 및 달기로프 확인 | |
하역시 달기기구 위치불량으로 충돌 | 달기보조기구 위치선정 교육, 확인 | |
하역시 달기로프 줄걸이 불량으로 충돌 | 작업전 달기로프 상태 확인 | |
상부 연결작업 중 자재 이동시 전도 | 자재 인양용 승강설비 설치 | |
비계 작업중 추락, 붕괴, 전도, 낙하 | 비계작업안전수칙 준수 | |
전기적 요인 | 전동공구로 자재 가공 및 조립 중 누전으로 감전 | 전동공구 사용 전, 중 수시 점검 및 점검 필증 부착 |
사용하는 전선의 피복 노출로 충전부 접촉 감전위험 | 가설전선 사용 전, 중 점검실시 및 가공 배선 설치 | |
재료적 요인 | 고압가스 사용 부주위로 인한 화재, 폭발 사고 | 사용교육, 점검, 안전장치 및 MSDS 표지 관리철저 |
작업특성 요인 | 중량물 및 차량계건설기계 작업계획 미수립 상태에서 작업중 사고 | 중량물 및 차량계건설기계 작업계획서 수립/검토/승인 후 작업, 작업전 근로자에게 계획 등 교육 실시 |
작업환경 요인 | 악천후 시 작업 중 사고 | 악천후시 작업 중지 |
3. 자재 인양 작업
분류 | 유해위험요인 | 감소대책 |
인적 요인 | 작업구역내 이해관계자 외 출입 사고 | 작업구역내 이해관계자에 대해 홍보 및 출입통제 |
가스포집 장치 거치전 안전시설 미설치로 상부 작업 시 추락 | 가스포집 장치 거치전 안전난간 및 생명줄, 추락방지망 등을 지상에서 조립, 설치 완료 | |
거치상부 근로자와 크레인 운전원의 신호 불일치로 충돌, 협착 | 크레인 운전원과 설치작업자간의 신호체계 확립 | |
가스포집 장치 상, 하부로 이동시 추락 | 이동통로를 통한 이동, 안전대 걸이 시설 설치 및 단부에 안전난간 설치 | |
기계적 요인 | 유도로프를 미사용하여 가스포집 장치 인양중 강풍에 의해 부재에 충돌 | 가스포집 장치 인양시 하부 유도원은강풍에 의해 부재가돌지 않도록 유도로프 사용 |
크레인 안전장치 작동불량, 와이어로프 부적정사용 및 결손, 샤클 손상 등에 의한 추락,전도,낙하 | 크레인 사양 확인 및 작업 전 안전점검 실시, 와이어로프 제원표 현장내 비치하여 적정 규격품 사용 | |
승강시설 미확보로 인해 작업자 상하 이동시 추락 | 승강시설(계단 또는 통로)확보 조치 | |
줄걸이 작업불량에 의한 낙하 | 작업 전 줄걸이 이상유무 확인 점검 및 폼의 형상에 따른 줄걸이 방법 선정 철저 | |
가스포집 장치 거치중 크레인전도 및 부적정 양중기 선정에 의한 추락, 낙하 | 크레인 사용시 아웃트리거 최대 확장 사용, 받침은 철판 등 설치하여 지반침하방지조치 후 작업 | |
가스포집 장치 인양시 와이어로프 감은 면과 강재모서리의 접촉부위 미보호로프 파단 낙하 | 인양전 와이어로프 손상되지 않도록 강재 모서리와 와이어로프 접촉부위에 보호 패드 설치 | |
전기적 요인 | 불량 공도구 사용으로 인한 감전 | 사용전 기계의 점검, 외함접지 설치 상태 확인 및 충전부위 절연조치 실시 |
작업특성 요인 | 조립 작업계획 수립 미흡에 의한 사고 | 조립 작업 전 작업계획서를 작성/검토/승인 후 작업 |
작업환경 요인 | 주변 고압선로 접촉 감전 | 지장물 현황 사전 파악 이설 또는 방호조치하고 작업 및 신호수 배치로 통제 |
4. 가스포집장치 설치 작업
분류 | 유해위험요인 | 감소대책 |
인적 요인 | 달기로프 해체시 보호구 미착용으로 추락위험 | 3종 및 안전벨트 사용 및 지상에서 수직 구명줄 설치 |
안전밸트 미착용 상태에서 작업 중 추락 | 작업 시 2개걸이 안전밸트 착용 철저 | |
생명줄 미설치 및 안전대 미착용으로 추락 | 가스포집 장치 승 / 하강 시 생명줄 사용철저 | |
기계적 요인 |
설치 작업 중 가스포집 장치 낙하 | 와이어로프 및 줄걸이 사전 점검 및 사용중 수시 점검 실시 |
운반 설치작업 중 증류탐과 충돌위험 | 연락체계 확립, 유도로프 설치하여 작업 실시 | |
달기보조 기구류 불량으로 낙하 | 달기보조 기구(와이어, 샤클) 사전점검 | |
지반 및 아우트리거 설치 불량, 장비전도 | 사전지반조사 및 아웃트리거 설치 확인 | |
가스포집 장치 설치 작업 중 전도 | 가스포집 장치 설치시 전도 방지용 와이어 설치 하여 수직, 수평유지 | |
전기적 요인 | 전동공구로 사용 중 누전으로 감전 | 전동공구 사용 전, 중 수시 점검 및 점검 필증 부착 |
사용하는 전선의 피복 노출로 충전부 접촉 감전위험 | 가설전선 사용 전, 중 점검실시 및 가공 배선 설치 | |
재료적 요인 | 와이어/섬유로프의 파단, 샤클의 마모에 의한 낙하 | 부적격한 와이어/섬유로프 사용금지, 달기로프 사용 기준 준수, 샤클 규격품 사용 |
가스포집 장치 기둥과 앙카매입 바닥사이의 채움 불량으로 철골 좌굴 | 칼럼 BASE 플레이트가 설치될 부분은 취핑하여 청소하고 불순물을 제거한 후 무수축 그라우팅 타설 | |
작업특성 요인 | 중량물 및 차량계건설기계 작업계획 미수립 상태에서 작업중 사고 | 중량물 및 차량계건설기계 작업계획서 수립/검토/승인 후 작업, 작업전 근로자에게 계획 등 교육 실시 |
작업환경 요인 | 악천후 시 작업 중 사고 | 악천후 시 작업 중지 |
5. 비계 설치 작업
분류 | 유해위험요인 | 감소대책 |
인적 요인 | 장비 반입절차 등을 이행하지 않고 작업 중 장비자체 결함 등에 의한 사고 발생 | 작업착수 전 작업허가서 제출 및 검토를 통해 작업 전 허가서와 부합되는 준비상태를 확한 후 작업실시 |
지게차로 자재 하역 중 후방에 근로자 접근충돌 | 후방접근 금지 조치, 후진 전 후방 확인실시, 후진경보기, 후사경, 후방카메라 등 확인 후 이동 | |
안전대 미착용 상태에서 작업 중 비계 발판에서 추락 | 비계 설치/해체 작업, 보온 작업 등 작업 시 안전벨트 착용 철저 | |
하역작업시 주변통제 미실시로 충돌 | 하역작업시 유도자 배치 및 출입통제 조치 | |
기계적 요인 |
비계기둥을 고정하지 않아 비계가 흔들림 등으로 이동하여 반복적인 피로 발생으로 비계도괴 위험 | 비계기둥 고정용 받침 철물은 받침 널 중앙에 설치하고 못으로 3개소 이상 고정, 기둥의 최하부에 밑둥잡이를 설치하고 비계기둥과 클램프로 체결 |
비계 접속부 및 교차부 전용철물을 미사용으로 붕괴 | 비계 결속부 및 벽이음시 전용철물 사용 하여 체결 | |
작업발판으로 강판파이프를 이용하여 작업자 추락 | 작업발판 폭이 40㎝이상 설치하고 견고하게 고정 | |
비계설치 기준 및 설치 시 안전수칙 미준수로 인한 사고 | 비계 설치기준 및 설치 시 안전수칙 준수하여 작업실시 | |
자재 하역 중 인양로프가 끊어져 자재가 낙하 | 인양로프는 손상되거나 변형, 부식되지 않은 것 사용 | |
크레인의 아웃트리거 미사용으로 자재 인양 시 크레인 전도 | 크레인 아웃트리거 최대로 확장, 받침은 철판 등 설치하여 국부적인 지반 침하방지 조치 | |
전기적 요인 | 고압선로 주변 크레인 작업 중 선로 접촉 감전 | 고압선로 주변 작업을 지양하고 작업시 감시자 배치 고압선로 방호관 설치 |
재료적 요인 | 변형된 단관파이프를 사용하여 비계 설치로 인한 비계 도괴 | 작업 전 비계의 자재 검수를 철저히 하여 불량 자재 사용금지 |
작업특성 요인 | 줄걸이 작업 확인 미흡으로 인한 결속되지 않은 부자재 낙하 | 여러 뭉치가 하나의 밴드로 묶여서 온 것은 전체를 하나로 묶어서 줄걸이 작업 실시 |
작업환경 요인 | 악천후 시 작업으로 인한 추락, 낙하물 등 사고 | 악천후 시 작업 중지 |
가스포집 장치 설치 작업 재해 사례

- 재해개요
- 카고트럭에 실려있던 철골 기둥재를 타워크레인을 이용하여 하차작업중 줄걸이용 와이어로프가 타워크레인의 훅에서 이탈되면서 철골 기둥재가 낙하, 피재자를 강타하여 사망한 재해
- 재해원인
- 사용전 점검 미흡
- 작업방법 불량
- 안전대책
- 크레인 사용시 관리감독자로 하여금 재료의 결함유무 또는 기구 및 공구의 기능을 점검하는 등 사용전 장비의 점검(훅 해지장치의 완전 밀착형으로 수리 또는 교체) 철저.
- H-형강 등 중량물 인양시 인양자재의 무게중심을 고려하여 좌․우 대칭인 수평유지 상태의 줄걸이가 되도록 별도 러그(Lug)를 부착하여 자재 인양
- 별도의 가이드로프를 사용하는 등의 방법으로 인양물 하부에 근로자의 접근이 되지 않도록 조치
- 형태
- 이탈, 추락

- 재해개요
- 고소작업대를 이동시키던 중 합판을 덮어 놓은 맨홀에 바퀴가 빠지면서 고소작업대가 전도되어 Con'c 바닥으로 추락하여 사망한 재해
- 재해원인
- 이동시 하강미흡
- 개구부 덮개 미설치
- 안전대책
- 고소작업대를 이동하는 때에는 작업대를 가장 낮게 하강하여 이동
- 개구부는 견고한 재질로 덮개 설치 철저
- 형태
- 전도

- 재해개요
- 케이블을 카고크레인을 사용하여 인양하던 중 높이 약 3m의 위치에서 와이어로프가 파단되면서 잉여케이블이 피재자의 두부를 가격하여 사망한 재해
- 재해원인
- 와이어로프 사용기준 미준수
- 작업반경내 출입금지 미조치
- 안전대책
- 권상용 와이어로프는 한 꼬임(strand)에서 끊어진 소선(pillar)의 수가 10%이상인 것은 폐기하는 등 와이어로프 사용기준을 준수
- 크레인 작업반경 내에는 근로자 출입통제조치를 철저히 하여야 함
- 형태
- 낙하

- 재해개요
- 제강공장 설비설치 현장에서 교류아크용접기를 이용하여 용접작업 중 절연체가 파손된 용접기 홀더 충전부에 접촉되어 감전 사망한 재해
- 재해원인
- 교류아크용접기 전격방지기 고장
- 용접봉 홀더 절연체 파손
- 안전대책
- 교류아크용접기에는 용접기에 적합한 자동전격방지장치를 설치하고 성능이 유지되도록 관리 (정상 작동중인 자동전격방지장치가 설치된 교류아크용접기의 출력측 무부하 전압: 25V이하)
- 교류아크용접기의 용접봉 홀더는 산업표준화법에 의한 한국산업규격에서 정하는 홀더의 규격에 적합하거나 동등 이상의 절연내력 및 내열성을 갖춘 것을 사용
- 형태
- 감전

- 재해개요
- Cargo Tank 내부의 도장검사를 완료하고 본선용 계단을 이용하여 Upper Deck로 올라오는 과정에서 QA관리자가 마지막 Platform을 밟는 순간 Hinge type의 open Grating이 받침용 앵글에서 이탈, 추락 사망한 재해
- 재해원인
- Hinge type의 open Grating 고정상태 불량
- 안전대책
- Platform의 받침용 앵글과 Grating은 볼트로 견고히 체결
- Platform 고정상태 사전확인 철저
- 형태
- 탈락, 추락

- 재해개요
- 침전조 상부슬래브위에서 자재정리 작업 중 실족하여 80×80cm의 개구부를 통해 약 4.5m아래의 콘크리트바닥으로 추락, 사망한 재해
- 재해원인
- 덮개설치 고정 미흡
- 위험표지 미설치
- 안전대책
- 소형개구부에 근접하여 작업하는 때에는 충분한 강도의 덮개를 설치․고정(stopper 설치)하고 위험표지를 부착하여야 함
- 형태
- 추락

- 재해개요
- 철재계단 계단참 끝에서 난간기둥 용접작업을 하던 피재자가 근처에서 작업 중이던 동료작업자가 통로 바닥재인 철망을 당기던중 넘어지면서 철망이 피재자를 쳐 아래로 추락하여(8.5m) 사망한 재해
- 재해원인
- 안전대부착설비 미설치, 안전대 미착용
- 작업방법 불량
- 안전대책
- 추락의 위험이 있는 계단참 끝에서 난간기둥 용접 작업 시에는 안전대를 착용한 후 안전대 부착설비에 걸고 작업
- 추락의 위험이 있는 좁은 작업장소에서는 동시작업을 금지함으로써 타 작업이 원인이 되어 발생될 수 있는 재해를 예방토록 동시작업 금지
- 형태
- 추락

- 재해개요
- 배관 천공부위 연마작업을 위해 핸드그라인더를 잡는 순간 감전되어 사망한 재해
- 재해원인
- 누전차단기 미설치
- 접지설비 미설치
- 안전대책
- 핸드그라인더 등 대지전압 150볼트를 초과하는 전기기계ㆍ기구를 사용하는 때에는 누전에 의한 감전을 방지하기 위하여 누전차단기 (정격감도전류 30mA이하, 작동시간 0.03초이내)를 경유한 전원을 사용하고 접지선을 유도하여 대지에 접지한 후 작업하여야 함
- 형태
- 감전

- 재해개요
- 외부비계 해체작업을 진행하던 중 딛고 있던 띠장이 건물 전면으로 기울어지면서 몸의 중심을 잃고 약 12m아래 지상으로 추락ㆍ사망한 재해
- 재해원인
- 작업순서 미준수
- 보호구 미착용
- 안전대책
- 비계해체작업을 진행하는 때에는 해체범위․절차를 사전에 수립, 사전교육을 실시, 작업순서준수, 관리감독을 철저
- 형태
- 추락

- 재해개요
- 내부 비계상에 작업발판 용도로 합판을 설치하던 중, 기 설치된 합판이 피재자가 이동하던 중에 파손되어 약 10m 아래 지상바닥으로 추락ㆍ사망한 재해
- 재해원인
- 작업발판 재료 부적합
- 보호구 미착용
- 안전대책
- 비계 상에 작업발판을 설치하는 경우 발판 재료는 작업시의 하중을견딜 수 있는 견고한 것을 사용
- 형태
- 추락

- 재해개요
- 측벽 외부 거푸집 조립작업 중 다음 작업을 하기위해 이동을 하다가 외부강관비계를 잡고 있던 손이 미끄러지면서 몸의 균형을 잃고 지면으로 추락(H≒8.5m)하여 병원으로 후송 치료 중 사망한 재해
- 재해원인
- 작업방법 불량
- 절연보호구 미착용
- 안전대책
- 추락위험이 높은 외부쌍줄비계 상부에서 작업을 하는 때에는 안전 하게 작업할 수 있도록 작업발판을 밀실하게 설치하고, 작업발판 단부에는 안전난간을 설치하여야 하며, 벽체와 비계사이에는 추락방지망을 밀실하게 설치하여야 함
- 형태
- 추락
반응형
'안전관리자 > 위험성 평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증류탑 설치 작업 위험성 평가 (0) | 2024.06.09 |
---|---|
Reactor(반응기) 설치 작업 위험성 평가 (0) | 2024.06.09 |
통관형 열교환기 설치 작업 위험성 평가 (0) | 2024.06.09 |
판형 열교환기 설치 작업 위험성 평가 (0) | 2024.06.09 |
가스플랜트 전기 계장 작업 위험성 평가 (0) | 2024.06.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