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개요
- 실외도장 작업은 건축물의 외벽, 지붕 등의 도장작업을 말하며 주로 로프를 이용하며, 곤도라를 이용한 도장작업도 실시 한다.
- 외부도장 작업시 달비계 탑승시 추락, 탑승 후 작업중 로프의 풀림으로 인한 추락 등의 사고가 발생한다.
단위작업 분류 및 순서
- 자재 반입
- 준비 작업
- 로프 및 달비계 설치
- 달비계 탑승
- 도장 작업
- 곤도라 이용으로 도장 작업
1. 자재 반입 작업
분류 | 유해위험요인 | 감소대책 |
인적 요인 | 해당작업장 파악 미흡에 따른 추락, 낙하 등 사고 | 해당 작업 실시 전 작업장에 대한 현황을 파악하고 충분한 안전대책 수립 후 작업실시 |
작업자 적정보호구 미준비로 인한 사고 | 작업에 알맞은 보호구 선정 및 착용 | |
자재 인력 운반 시 요통 | 인력운반 시 크기 및 중량에 따른 인원 배치 (25kg/인 초과금지) | |
지게차 사용 중 충돌 협착 | 지게차 사용시 전담신호수 배치, 작업반경내 출입통제, 후방감시카메라 확인 지게차 이동동선 중에 자재, 공사 등의 확인 점검 |
|
자재를 적재한 후 이동통로 미확보에 의한 근로자 이동 중 사고 | 자재 적재방향 및 보행 통로 확보 | |
기계적 요인 | 지게차에 과적하여 운행 중 낙하, 충돌 | 과적금지, 운전자 시야 확보 |
리어카 등 인력운반 대차로 운반 중 낙하 | 리어카 등 인력운반대차 사용시 가구가 낙하되지 않도록 고정 후 운반 및 2인1조 로 작업 실시 | |
리프트에서 자재 하역 중 추락위험 | 리프트에서 자재 하역 중 안전대를 걸고 작업 | |
작업특성 요인 | 유성페인트 등 보관 및 저장소 구비 미흡으로 인한 화재 |
페인트 등 희석재는 별도로 보관하여 화재 등 사고를 예방 |
작업환경 요인 | 페인트 사용시 MSDS 교육 미흡 및 표지 미부착으로 인해 사고시 즉시 조치 미흡으로 인한 사고 | 유해위험물질에 대한 교육 및 MSDS표지를 부착하여 사용 |
2. 준비 작업
분류 | 유해위험요인 | 감소대책 |
인적 요인 |
작업 전 특별교육 미실시로 인한 사고 | 작업전 해당 근로자에 대해 특별안전교육 실시 및 작업 투입전 TBM 실시 |
작업 전 근로자의 건강 상태 미파악으로 인한 사고 | 작업자에 대한 건강 및 작업능력 파악 후 작업투입 | |
작업에 필요한 적정 보호구 및 안전장구 미흡으로 인한 사고 | 작업에 필요한 안전대, 추락방지대 등 보호구 및 안전장구 사전 점검 | |
작업전 하부출입통제 조치 미흡으로 인한 사고 | 작업구간 하부 출입통제 구역 설정 접근금지 조치 및 하부 감시자 배치 | |
기계적 요인 | 타 공종 작업자 옥상 출입으로 인한 사고 | 해당 근로자 외 옥상 출입통제 및 타 공종과 사전에 작업시간 조정 |
옥상(옥탑) 준비 작업중 안전대 미사용으로 인한 추락 | 옥탑에서 준비 작업 중 안전대 부착시설에 안전대를 걸고 작업 | |
작업특성 요인 | 하부에 타 공종 근로자 동시작업중 낙하물에 의한 사고 |
작업전 타 공종과의 간섭사항 사전 협의 |
로프걸이 시설 미흡으로 인한 체결 불량에 의한 사고 | 작업전 로프 걸이 시설 등 사전 준비 | |
작업환경 요인 | 옥외 도장 작업에 대한 사전 공지 및 협의 미흡으로 인한 사고 | 작업 전 타공종 근로자 및 외부인에 대해 사전협의로 도료의 날림 등에 의한 사고 예방 |
3. 로프 및 달비계 설치 작업
분류 | 유해위험요인 | 감소대책 |
인적 요인 | 로프 굵기, 결속방법 불량으로 인한 사고 | 주로프: Ø22mm이상, 보조로프: Ø14~16mm 이상으로 설치하여 작업하는지 확인 |
로프결속 잘못으로 인한 사고 발생 | 청소용 고리, 골조, 지붕트러스 외 결속금지 로프 2점결속 확인, 주로프와 보조로프 별도 결속 |
|
안전대 미체결 상태에서 로프 내림 작업중 추락 | 로프내림 작업시 안전대 걸이 시설에 안전대를 걸고작업 | |
로프 보호대 불량 및 미설치로 인한 로프의 변형, 로프 끊어짐으로 인한 추락 | 로프 보호대 설치 및 사용 중 수시 확인 | |
기계적 요인 | 작업대 설치 중 추락, 낙하 | 작업대 설치 전 안전대 결속, 작업대 샤클 결속상태 확인 철저 |
로프의 내림 길이 부족으로 인한 사고 | 로프의 내림길이 확인 후 작업 실시 | |
상, 하부 동시작업(낙하) | 하부 작업통제 및 근로자 접근 통제 | |
작업특성 요인 | 로프 내림작업시 안전대 부착설비 설치 미흡으로 안전대 고리를 체결하지 못해 추락 | 작업전 안전대 걸이 시설 설치 |
로프작업장 내 타 공종 근로자 출입으로 인한 로프 풀림 등 사고 | 작업전 타 공종과 충분한 협의를 통한 간섭공종 작업 조정 |
|
작업환경 요인 | 강풍 등 악천후 시 작업으로 인한 추락 | 강풍 등 악천후 시 작업중지 |
4. 달비계 탑승 작업
분류 | 유해위험요인 | 감소대책 |
인적 요인 | 탑승 전 안전대 미사용으로 인한 추락 | 안전대 결속 후 탑승 및 결속상태 확인 |
로립을 반대방향으로 체결하여 사용 중 추락 | 안전대 걸이용 2차로프 (안전블럭) + 안전대 연결(보조로프와는 별도로 작업대 탑승전사용 - 탑승후 로립 체결 후 2차 로프 해체), 작업대 탑승 후 로립체결 로립방향 확인, 작업편의를 위해 역방향 체결 금지 |
|
로립 미체결 상태 탑승 중 추락 | 작업대 탑승 즉시 로립 체결 | |
작업 전 근로자의 건강 상태 미파악으로 인한 사고 | 작업자에 대한 건강 및 작업능력 파악 후 작업투입 | |
기계적 요인 | 탑승시 작업공구 등의 낙하 | 작업대 탑승시 낙하할 물건은 사전 제거 후 탑승 |
탑승시 로프의 끊어짐으로 인한 추락 | 매 탑승시마다 탑승 전 로프의 상태를 확인한 후 탑승 | |
상, 하부 동시작업(낙하) | 하부 작업통제 및 근로자 접근 통제 | |
작업특성 요인 | 로프 내림작업시 안전대 부착 설비 설치 미흡으로 안전대 고리를 체결하지 못해 추락 | 작업전 안전대 걸이 시설 설치 철저 |
로프작업장 내 타 공종 근로자 출입으로 인한 로프 풀림 등 사고 | 작업전 타 공종과 충분한 협의를 통한 간섭공종 작업 조정 |
|
작업환경 요인 | 강풍 등 악천후 시 작업으로 인한 추락 | 강풍 등 악천후시 작업중지 |
5. 도장 작업
분류 | 유해위험요인 | 감소대책 |
인적 요인 | 작업중 중간층 진입시 충돌 및 추락 위험 | 작업시작 후 반드시 지면까지 이동(중간층 진입 절대 금지) |
기계적 요인 | 작업중 공구 및 자재 낙하 | 작업 도구 걸이 철물 확인 |
작업중 로프 풀림에 의한 추락 | 타 공종 작업자 옥상출입 통제 철저 및 로프 풀림 방지용 시건장치 설치 | |
작업구간 하부 출입통제 미흡으로 낙하물에 의한 사고 | 작업구간 하부 출입 금지 조치 및 감시자 배치로 통제 | |
생명줄 미설치 상태에서 작업중 작업로프의 파단으로 추락 | 작업로프 외에 생명로프를 설치하여 안전대를 걸고 작업 | |
생명줄에 로립의 방향을 잘못 연결하여 추락 | 로립의 설치 후 방향 및 성능확인 후 작업 | |
구조물 모서리에 로프가 훼손되어 끊어지는 사고 | 구조물에 닿는 부위 로프 보호대 설치 후 작업 | |
작업특성 요인 | 하부에 타 공종 근로자 동시작업중 낙하물에 의한 사고 |
작업전 타 공종과의 간섭사항 사전 협의 |
작업환경 요인 | 도료가 바람에 날리어 눈에 들어가는 사고 | 강풍 등 바람이 부는 날 작업을 금지하고 보안경 착용 |
6. 곤도라 이용 및 도장 작업
분류 | 유해위험요인 | 감소대책 |
인적 요인 | 곤도라와 곤도라 접속부 개구부로 추락 | 곤도라 접속부에 발판 설치 및 고정 철저 |
기계적 요인 | 접속부의 연결을 해체하지 않고 하강 중 사고 | 하강 등 이동 작업시 접속부의 연결점을 확실하게 해체한 후 작업 |
강풍 등 악천후시 작업중 사고 | 강풍 등 악천후시 작업중지 | |
곤도라 안전하중 초과 인원 탑승 등에 의한 사고 | 곤도라 규젹에 맞는 하중 준수하여 작업실시 | |
생명줄 미설치 및 설치 수 부족으로 인한 사고 | 생명줄은 반드시 설치 확인토록 하고 1인당 1줄씩 별도로 설치 |
|
로립 체결방향 부적합에 의한 사고 | 로립의 체결시 방향 등 상태를 확인 점검 | |
작업특성 요인 | 도장 작업중 외부로 도장재료 날림 | 도장 작업시 비산방지용 덮개 설치 후 작업 |
실외도장 작업 재해 사례

- 재해개요
- 아파트 외벽도장 작업을 위해 달비계에 탑승하려던 중 몸의 중심을 잃고 45m 아래 콘크리트 바닥으로 추락하여 사망한 재해
- 재해원인
- 작업방법 미흡
- 안전대 미착용
- 안전대책
- 달비계 설치 및 탑승장소는 사전에 안전한 장소를 선정하여 근로자가 안전하게 탑승할수 있도록 사전조치하여야 함
- 탑승시 생명줄외에 별도의 안전대 걸이를 확보하고 안전대를 걸고 탑승하여야 하며 탑승후 생명줄에 추락방지대를 걸고 작업실시
- 형태
- 추락

- 재해개요
- 달비계를 이용하여 외부 수성페인트 초벌작업을 하기 위하여 달비계 지지로프(Ø22㎜, 50m)를 지붕트러스 빔(H-형강)에 결속하고 작업중 로프가 풀리면서 추락하여(25m) 사망한 재해
- 재해원인
- 로프풀림장치 미설치
- 안전대 미착용
- 안전대책
- 로프 풀림 방지 조치
- 수직구명줄 설치 후 안전대 걸고 작업
- 형태
- 추락

- 재해개요
- 달비계에 탑승하여 하강하던 중 섬유로프가 끊어져 달비계와 함께 지면으로 추락하여 사망한 재해임.
- 재해원인
- 추락방지조치 미흡
- 안전대부착설비 미설치, 안전대 미착용
- 안전대책
- 추락방지조치 (수직구명줄 설치, 추락방지대 사용)
- 형태
- 추락

- 재해개요
- 철골기둥 내화페인트 도장작업중 천정 철골에 고정한 달비계 로프가 풀리며 추락
- 재해원인
- 달비계 고정불량
- 수직구명줄 미설치
- 안전대책
- 달비계고정용 로프는 견고한 구조물에 2곳 이상 고정
- 수직구명줄은 작업용로프와 별도 설치 및 반드시 코브라벨트 체결
- 형태
- 추락

- 재해개요
- 외벽 도장공사를 하기 위해 지붕층에서 작업대에 승강중 추락
- 재해원인
- 구명로프 미설치
- 코브라 미사용
- 안전대책
- 구명로프를 설치하고 탑승 작업 실시
- 수직구명줄은 작업용로프와 별도 설치 및 반드시 코브라벨트 체결
- 형태
- 추락

- 재해개요
- 도장작업을 위해 달비계용 섬유로프(20mm)를 옥상의 상수도 배관 받침대에 묶은 후 달비계를 타고 도장작업중 섬유로프가 풀어지면서 달비계와 함께 추락하여(H≒20m) 사망한 재해임.
- 재해원인
- 로프풀림방지조치 미흡
- 수직구명줄 미설치
- 안전대책
-
달비계를 이용하여 외벽 도장작업을 할 때에는 섬유로프가 풀리지 아니하도록 체결하고 U클립 등으로 매듭풀림 방지 등의 조치를 실시하여야 하며 섬유로프 체결상태를 확인하는 등 조치 후 작업을 실시하여야 함
- 달비계 작업시 추락에 의한 근로자의 위험을 방지하기 위하여 작업용 로프와는 별도로 수직구명줄을 설치하여 안전대를 걸고 작업하여야 함
-
- 형태
- 추락

- 재해개요
- 옥상 파라펫 위에서 다음 작업위치로 달비계 로프를 옮기던 중 강풍 등에 의해 몸의 중심을 잃고 약 90m 아래 지상바닥으로 추락ㆍ사망한 재해
- 재해원인
- 추락방지조치 미흡
- 악천후 시 작업 강행
- 안전대책
- 옥상 파라펫 위에서 작업 및 이동시에는 안전대 부착설비(구명로프) 설치 후 작업자로 하여금 안전대를 착용하고 부착설비에 걸어 작업을 진행토록 하여야 함
- 돌풍ㆍ강풍 등 악천후 시에는 작업을 중지하여야 함
- 형태
- 추락

- 재해개요
- 곤도라 운반구에 탑승한 후 상승도중, 곤돌라 윈치의 권상용 와이어로프와 후크(Hook)의 연결부분이 이탈되면서 높이 약 25m아래의 지반으로 곤라 운반구와 함께 추락․사망한 재해
- 재해원인
- 안전대 부착설비 및 안전대 미 착용
- 작업전 안전점검 미흡
- 안전대책
- 곤도라에 탑승하여 작업하는 때에는 안전대 부착설비(구명줄)을 설치하고 작업자로 하여금 안전대를 착용시키고 추락방지대를 구명줄에 결속하여 작업을 진행하여야
- 곤도라 운반구의 지지부분 등에 대해서 이상유무 점검을 철저히 하여야 함
- 형태
- 추락

- 재해개요
- 체육관 옥상단부 난간용 강관파이프에 결속된 달비계에 탑승하기 위해 옥상단부에서 달비계로 이동하던 중 몸의 균형을 잃고 약 9.2m아래 지상바닥으로 추락하여 사망한 재해임.
- 재해원인
- 구명로프 미설치
- 코브라 미사용
- 안전대책
- 달비계에 탑승하거나 달비계 상에서 작업하는 때에는 달비계의 주로프 외에 별도의 수직구명줄을 설치하고, 구명줄에 결속된 안전대를 착용한 상태에서 탑승 또는 작업을 진행하여야 함
- 형태
- 추락
반응형
'안전관리자 > 위험성 평가'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교량상부공 FSM 작업 위험성 평가 (0) | 2024.06.17 |
---|---|
커튼월(STICK) 작업 위험성 평가 (0) | 2024.06.17 |
실내도장 작업 위험성 평가 (1) | 2024.06.17 |
금속잡철물 작업 위험성 평가 (0) | 2024.06.17 |
강교 슬라브 작업 위험성 평가 (1) | 2024.06.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