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안전관리자/안전

안전진단

by 안전관리자kim 2024. 11. 9.
반응형

안전진단 정의

안전진단은 산업재해 예방을 목적으로, 잠재적인 위험성을 사전에 발견하고 이를 개선할 대책을 수립하기 위해 진행하는 조사 및 평가 활동입니다. 이 과정을 통해 근로자와 공장의 안전을 강화하고, 작업 환경에서 발생할 수 있는 위험 요소를 사전에 제거하는 역할을 합니다.

 

안전진단 방법

안전진단은 안전보건관리의 다양한 요소를 관리적 및 물적 측면에서 폭넓게 검토하여 종합적으로 판단하고 문제 해결을 위한 근본적인 원인을 파악하는 방식으로 수행됩니다. 이는 단순한 점검을 넘어, 체계적이고 조직적인 개선을 위한 종합 진단으로 볼 수 있습니다.

 

안전진단 대상


자기 안전진단
사업장에서 자체적으로 실시하거나, 필요한 경우 외부 전문가를 초빙하여 안전진단을 진행할 수 있습니다.
외부 전문가의 진단을 의뢰할 경우, 진단의 목적을 명확히 밝혀 의도에 맞는 진단이 이루어지도록 해야 합니다.

 

명령에 의한 안전진단
중대재해 발생 사업장 : 사업주가 안전·보건 조치 의무를 이행하지 않아 중대재해가 발생한 사업장(단, 평균 재해율을 2년간 초과하지 않은 사업장은 제외)
안전·보건 개선계획 수립 명령을 받은 사업장 중 다음 조건에 해당하는 사업장:
중대재해가 발생한 사업장
산업재해 발생률이 동종 업종 평균의 두 배 이상인 사업장
직업병 환자가 연간 두 명 이상 발생한 사업장
작업환경 불량, 화재, 폭발, 누출사고 등으로 사회적 논란이 된 사업장
노동부장관이 별도로 정한 사업장

 

반응형

안전보건진단의 종류 및 내용


종합진단
종합진단은 경영·관리적 사항과 물리적 작업 조건을 아우르며, 주요 평가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경영·관리적 사항에 대한 평가 : 산업재해 예방 계획, 안전·보건 관리 조직 및 직무, 산업안전보건위원회 운영, 명예감독관 역할, 근로자 참여도, 안전보건관리 규정의 적정성 평가
산업재해 발생 원인 : 산업재해가 발생한 경우, 원인 규명과 개선
작업 조건 및 작업 방법 평가 : 작업 환경과 방법이 안전하고 효율적인지 평가
유해·위험요인 측정 및 분석 : 기계 및 설비로 인한 위험성, 유해·위험 물질로 인한 위험성, 전기·열 에너지로 인한 위험성, 추락·붕괴·낙하 등 물리적 위험성, 기타 공정이나 원재료의 위험성, 보호구 및 안전장비의 적정성, 유해물질의 사용·보관 및 MSDS 작성과 교육


안전진단
종합진단의 일부로, 주로 안전과 관련된 사항을 집중적으로 평가하는 항목으로 구분됩니다.


보건진단
종합진단에서 건강과 보건을 중심으로, 근로자 건강 유지를 위한 작업환경 개선 사항을 진단합니다.

 

 

결론


화학공장의 플랜트 설비는 대형화, 정밀화되고 있으며, 신물질과 신기술의 채택으로 인해 예상치 못한 재해 발생의 원인을 사전에 규명하기 어려운 경우가 많습니다. 이러한 구조적 결함과 잠재적인 위험 요소를 사전에 발견하고 개선하기 위해서는 외부 전문기관에 안전진단을 의뢰하여 객관적이고 정밀한 진단을 받는 것이 필요합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