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안전관리자/안전

위험성 평가 : 최초, 정기, 수시 평가

by 안전관리자kim 2024. 11. 21.
반응형

 

위험성 평가: 최초, 정기, 수시 평가의 이해

위험성 평가는 사업장에서 유해·위험 요소를 파악하고 이를 관리하는 과정으로, 근로자 안전을 위한 필수적인 활동입니다.

위험성 평가란?

위험성 평가는 작업장에서 발생할 수 있는 유해·위험 요인을 파악하고, 이에 따른 위험 수준을 결정하여 적절한 대책을 마련하는 활동입니다. 이를 통해 근로자의 안전과 건강을 지키고, 법적 의무를 충족하며, 사고를 예방할 수 있습니다.


1. 최초 평가란?

최초 평가는 공사가 처음 시작되거나, 새로운 작업 공정이 도입될 때 시행되는 평가입니다.

최초 평가의 목적

  • 작업 환경 전반의 유해·위험요인 초기 파악
  • 산업안전보건법 기준 충족 및 법적 의무 준수
  • 근로자의 안전사고 예방 및 초기 안정화

최초 평가의 시기

  • 공사 착공 후 1개월 이내
  • 새로운 공정이 시작되기 전

최초 평가의 절차

  1. 사전 준비: 공정표와 안전보건 정보를 분석하고, 평가 대상을 선정합니다.
  2. 유해·위험요인 파악: 근로자 참여와 순회 점검을 통해 주요 위험요인을 도출합니다.
  3. 위험성 결정: 위험 수준을 ‘매우 높음’부터 ‘매우 낮음’까지 5단계로 평가합니다.
  4. 감소 대책 수립: 공법 변경, 장비 개선, 보호구 지급 등 대책을 마련합니다.
  5. 결과 공유: 작업 전 회의(TBM)와 안전 교육을 통해 결과를 전파합니다.

2. 정기 평가란?

정기 평가는 최초 평가 이후 정해진 주기마다 사업장 내 유해·위험 요소를 다시 점검하는 활동입니다.

정기 평가의 목적

  • 최초 평가 이후 새롭게 발생한 위험요인 점검
  • 기존 위험성 감소 대책의 적절성 평가
  • 작업 환경의 지속적인 안전성 유지

정기 평가의 시기

  • 최초 평가 후 1년 이내
  • 이후 매년 정기적으로 실시

정기 평가의 절차

  1. 이전 평가 검토: 기존 평가 결과와 대책의 이행 여부를 확인합니다.
  2. 유해·위험요인 재점검: 신규 위험요인이 없는지 확인하고, 필요시 대책을 수정합니다.
  3. 위험성 감소 대책 보완: 기존 대책이 유지되고 있는지 점검하고, 추가 대책을 마련합니다.

3. 수시 평가란?

수시 평가는 예상치 못한 환경 변화나 작업 절차 변경 등으로 인해 필요할 때마다 수행되는 평가입니다.

수시 평가의 목적

  • 환경 변화로 인한 새로운 위험요인 즉각 대응
  • 작업 방법 변경 시 적합한 안전 대책 수립
  • 중대 산업사고나 재해 발생 시 원인 파악과 후속 조치

수시 평가의 시기

  • 건설물 설치, 변경, 해체 시
  • 기계·기구·설비 도입 또는 변경 시
  • 작업 방법 또는 절차 변경 시
  • 중대사고 또는 산업재해 발생 시

수시 평가의 절차

  1. 사유 발생: 작업 환경 변화나 사고 발생 등 평가 필요성 확인
  2. 유해·위험요인 파악: 해당 작업에 대한 새로운 위험요인을 분석합니다.
  3. 위험성 감소 대책 수립: 상황에 맞는 개선 대책을 마련하고 즉시 실행합니다.
  4. 결과 기록 및 공유: 모든 결과를 기록하고 작업자에게 전파합니다.
반응형

최초, 정기, 수시 평가의 비교

항목 최초 평가 정기 평가 수시 평가
목적 초기 위험요인 파악 및 대책 수립 기존 위험요인의 적절성 점검 환경 변화 및 사고 대응
시기 공사 시작 전 또는 착공 후 1개월 이내 최초 평가 후 1년 이내 및 매년 환경 변화 및 필요 시
대상 모든 공정 및 설비 기존 공정 및 신규 요소 변경된 공정 또는 사고 관련 작업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