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안전관리자/안전

발주처의 도급업체 작업장 순회점검일지 관리 의무와 법적 책임

by 안전관리자kim 2025. 3. 4.
반응형

작업장 순회점검일지는 도급업체가 각 작업장에서 발생할 수 있는 위험 요소를 점검하고 시정하는 기록으로, 발주처는 도급업체가 작성한 점검일지를 받아서 이를 검토하고 관리하는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발주처가 직접 점검일지를 작성할 의무는 없지만, 도급업체가 작성한 점검일지를 제대로 검토하고, 시정조치를 요구하는 법적 책임이 있습니다.


1. 도급업체의 점검일지 작성

도급업체는 각 작업장에서 발생할 수 있는 위험 요소를 점검하고 이를 시정하는 작업을 합니다.

예를 들어, 작업 현장의 위험 요소나 안전 장치가 제대로 작동하는지 점검하고, 문제가 발견되면 시정 조치를 취합니다.

발주처는 도급업체가 작성한 점검일지를 받아서 이를 검토하는 역할을 합니다.

이를 통해 발주처는 도급업체가 실제로 안전 점검을 제대로 시행했는지 확인하고, 문제가 있을 경우 이에 대해 피드백을 주어 시정하도록 요구할 수 있습니다.

 

2. 발주처의 법적 책임

발주처는 도급업체의 작업 환경과 안전 관리 상태를 점검하고 관리하는 법적 의무가 있습니다.

이는 산업안전보건법, 하도급법, 근로기준법 등 여러 법적 근거에서 요구하는 사항입니다.

그러나 발주처는 도급업체가 작성한 점검일지를 직접 작성할 의무는 없습니다.

대신, 도급업체가 제출한 점검일지를 검토하고 관리하는 역할을 수행해야 합니다.

만약 도급업체가 점검을 제대로 하지 않았거나 문제를 놓쳤다면, 발주처는 이에 대해 시정조치를 요구하고, 안전관리의 개선을 요구할 수 있습니다.

 

3. 법적 근거

발주처의 안전 관리 책임은 주로 산업안전보건법, 하도급법, 근로기준법 등에 근거를 두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산업안전보건법 제5조는 사업주(발주처)가 근로자의 안전과 건강을 보호하기 위해 필요한 조치를 취해야 한다고 규정하고 있으며, 제2장 제1절에서는 발주처가 도급업체의 안전보건 관리 상태를 점검하고 관리할 의무가 있다고 명시되어 있습니다.

또한, 하도급법 발주처가 도급업체와 협력하여 근로자의 안전을 보장해야 한다고 규정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법적 근거에 따라 발주처는 도급업체의 안전 점검 결과를 검토하고, 필요한 시정조치를 요구할 책임이 있습니다.

 

4. 도급업체의 점검 결과 검토

발주처는 도급업체가 작성한 점검일지를 통해 작업장의 안전 상태를 확인하고, 시정조치를 요구하는 책임이 있습니다.

점검일지에는 작업 환경, 안전 장치, 작업자의 안전 규정 준수 여부 등이 포함되어야 하며, 이를 통해 도급업체가 실제로 위험 요소를 점검하고 이를 시정했는지 확인할 수 있습니다.

만약 점검에서 미비점이 발견되거나, 시정조치가 충분하지 않다면, 발주처는 도급업체에 대해 추가적인 점검이나 시정조치를 요구할 수 있습니다.

또한, 발주처는 도급업체의 점검일지를 관리하고, 법적으로 요구되는 안전보건 관리 체계를 준수하도록 도급업체에 피드백을 주어야 합니다.

 


결론

도급업체의 점검일지는 도급업체가 작성하며, 발주처는 이를 받아서 검토하고 시정조치를 요구하는 역할을 합니다.

발주처가 직접 점검일지를 작성할 의무는 없지만, 도급업체의 점검일지를 검토하고 관리하는 중요한 책임이 있습니다.

법적으로 발주처는 도급업체의 안전점검을 모니터링하고, 필요한 시정조치를 요구하는 역할을 해야 하며, 이를 통해 안전한 작업 환경을 보장하는 책임이 있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