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개요
- 취수/냉각수 설치는 자재의 대부분이 완제품이고 이를 조립하여 인양 및 하역을 하는 작업이다.
- 완제품을 조립하는 과정과 이를 설치하여야 하는 작업이 고소작업이어서 추락, 낙하, 협착에 대한 위험에 주의가 요구된다.
단위작업 분류 및 순서
- CWP용 Trash Rack 설치
- CWP용 Stop Gate 설치
- CWP용 Travelling Water Screen 설치
- CWP용 Screen Wash Pump 설치
1. CWP용 Trash Rack 설치 작업
분류 | 유해위험요인 | 감소대책 |
인적 요인 | 안전밸트 미착용 상태에서 작업 중 추락 | 작업시 2개걸이 안전밸트 착용 철저 |
신호수 신호방법 불량으로 협착 | 운전원 및 근로자 신호방법 확인 및 교육 | |
기계적 요인 |
중량물 러그 고정 불량으로 낙하 | 러그 부위 사전검사 및 고정상태 확인 |
중량물 달기보조기구 고정불량으로 낙하 | 달기보조기구 고정방법 교육 및 상태 확인 | |
중량물 양중 작업시 협소한 공간으로 협착 | 유도로프 사용 및 작업반경 내 접금금지 표시 | |
중량물 줄걸이 작업을 위해 승강 중 추락 | 전용 승강설비 설치, 2인1조 작업, 추락방지대 등 추락방지 조치 | |
가설비계 작업발판 고정불량으로 추락 | 작업발판 고정상태 확인 및 안전벨트 사용 | |
가설비계 고정 미흡으로 전도 | 가설비계 벽이음 연결 및 고정상태 확인 | |
전기적 요인 | 전동공구로 사용 중 누전으로 감전 | 전동공구 사용 전, 중 수시 점검 및 점검 필증 부착 |
사용하는 전선의 피복 노출로 충전부 접촉 감전위험 | 가설전선 사용 전, 중 점검실시 및 가공 배선 설치 | |
재료적 요인 | 와이어/섬유로프의 파단, 샤클의 마모에 의한 낙하 | 부적격한 와이어/섬유로프 사용금지, 달기로프 사용 기준 준수, 샤클 규격품 사용 |
작업특성 요인 | 중량물 및 차량계건설기계 작업계획 미수립 상태에서 작업중 사고 | 중량물 및 차량계건설기계 작업계획서 수립/검토/승인 후 작업, 작업전 근로자에게 계획 등 교육 실시 |
작업환경 요인 | 악천후 시 작업 중 사고 | 악천후시 작업 중지 |
2. CWP용 Stop Gate 설치 작업
분류 | 유해위험요인 | 감소대책 |
인적 요인 | 중량물 작업반경내 근로자 접근시 협착 | 유도자 배치 및 작업반경내 접근금지표시 |
안전밸트 미착용 상태에서 작업 중 추락 | 철골 작업시 2개걸이 안전밸트 착용 철저 | |
신호수 신호방법 불량으로 협착 | 운전원 및 근로자 신호방법 확인 및 교육 | |
기계적 요인 |
중량물 러그 고정 불량으로 낙하 | 러그 부위 사전검사 및 고정상태 확인 |
중량물 달기보조기구 고정불량으로 낙하 | 달기보조기구 고정방법 교육 및 상태 확인 | |
중량물 양중 작업시 협소한 공간으로 협착 | 유도로프 사용 및 작업반경 내 접금금지 표시 | |
중량물 줄걸이 작업을 위해 승강 중 추락 | 전용 승강설비 설치, 2인1조 작업, 추락방지대 등 추락방지 조치 | |
크레인 후크에 와이어로프 걸이 불량으로낙하 | 후크의 짐걸이 상태 확인 및 이탈 방지용 후크 해지장치 부착 | |
설치 작업중 하부로 하역시 자재사이 협착 | 상하부 자재 사이 끼임 방지 장치 설치 | |
전기적 요인 | 전동공구로 사용 중 누전으로 감전 | 전동공구 사용 전, 중 수시 점검 및 점검 필증 부착 |
사용하는 전선의 피복 노출로 충전부 접촉 감전위험 | 가설전선 사용 전, 중 점검실시 및 가공 배선 설치 | |
재료적 요인 | 와이어/섬유로프의 파단, 샤클의 마모에 의한 낙하 | 부적격한 와이어/섬유로프 사용금지, 달기로프 사용 기준 준수, 샤클 규격품 사용 |
작업특성 요인 | 중량물 및 차량계건설기계 작업계획 미수립 상태에서 작업중 사고 | 중량물 및 차량계건설기계 작업계획서 수립/검토/승인 후 작업, 작업전 근로자에게 계획 등 교육 실시 |
작업환경 요인 | 악천후 시 작업 중 사고 | 악천후시 작업 중지 |
3. CWP용 Travelling Water Screen 설치 작업
분류 | 유해위험요인 | 감소대책 |
인적 요인 | 중량물 작업반경내 근로자 접근시 협착 | 3유도자 배치 및 작업반경내 접근금지 |
안전밸트 미착용 상태에서 작업 중 추락 | 철골 작업시 2개걸이 안전밸트 착용 철저 | |
기계적 요인 |
설치 작업 중 Screen 낙하 | 와이어로프 사전 점검 및 사용중 수시 점검 실시 |
Screen운반 설치작업 중 Screen과 충돌위험 | 연락체계 확립, 유도로프 설치하여 작업 실시 | |
달기보조 기구류 불량으로 낙하 | 달기보조 기구(와이어, 샤클) 사전점검 | |
지반 및 아우트리거 설치 불량, 장비전도 | 사전지반조사 및 아웃트리거 설치 확인 | |
전기적 요인 | 전동공구로 사용 중 누전으로 감전 | 전동공구 사용 전, 중 수시 점검 및 점검 필증 부착 |
사용하는 전선의 피복 노출로 충전부 접촉 감전위험 | 가설전선 사용 전, 중 점검실시 및 가공 배선 설치 | |
재료적 요인 | 와이어/섬유로프의 파단, 샤클의 마모에 의한 낙하 | 부적격한 와이어/섬유로프 사용금지, 달기로프 사용 기준 준수, 샤클 규격품 사용 |
작업특성 요인 | 중량물 및 차량계건설기계 작업계획 미수립 상태에서 작업중 사고 | 중량물 및 차량계건설기계 작업계획서 수립/검토/승인 후 작업, 작업전 근로자에게 계획 등 교육 실시 |
작업환경 요인 | 악천후시 작업 중 사고 | 악천후시 작업 중지 |
4. CWP용 Screen Wash Pump 설치 작업
분류 | 유해위험요인 | 감소대책 |
인적 요인 | 안전밸트 미착용 상태에서 작업 중 추락 | 철골 작업시 2개걸이 안전밸트 착용 철저 |
용접작업 중 보호구 미사용으로 화상 | 용접 작업시 개인보호구 사용 및 확인 | |
기계적 요인 |
중량물 하역작업시 자재 낙하 | 하역 작업전 달기보조기구 점검 |
중량물 달기보조기구 고정불량으로 낙하 | 달기보조기구 고정방법 교육 및 상태 확인 | |
중량물 하역작업시 이동중 추락 | 하역작업장 주변 근로자 이동통로 확보 | |
용접작업 중 불꽃비산방지 조치 미흡으로 화재 | 용접작업 전 인화성, 가연성 물질 제거, 불꽃비산방지장치 설치, 소화기 비치, 화기감시자 배치 후 작업 | |
전기적 요인 | 전동공구로 사용 중 누전으로 감전 | 전동공구 사용 전, 중 수시 점검 및 점검 필증 부착 |
사용하는 전선의 피복 노출로 충전부 접촉 감전위험 | 가설전선 사용 전, 중 점검실시 및 가공 배선 설치 | |
용접작업 중 홀더선 피복손상으로 감전 | 용접작업 전 홀더선 피복 손상 유무 사전점검 | |
재료적 요인 | 와이어/섬유로프의 파단, 샤클의 마모에 의한 낙하 | 부적격한 와이어/섬유로프 사용금지, 달기로프 사용 기준 준수, 샤클 규격품 사용 |
작업특성 요인 | 중량물 및 차량계건설기계 작업계획 미수립 상태에서 작업중 사고 | 중량물 및 차량계건설기계 작업계획서 수립/검토/승인 후 작업, 작업전 근로자에게 계획 등 교육 실시 |
작업환경 요인 | 악천후시 작업 중 사고 | 악천후시 작업 중지 |
취수 냉각수 설치 작업 재해 사례

- 재해개요
- 위험물 저장탱크 상부(높이 6m)에서 배관연결을 위한 용접, 그리인더 등의 작업 중 작업 시 인화성 물질의 유증기가 폭발하면서 상부 경판과 함께 날아가 1명은 지상바닥, 1명은 인접 공장 지붕으로 추락 사망한 재해
- 재해원인
- 작업장 파악 미흡
- 가스농도측정 및 환기 미실시
- 안전대책
- 인화성 물질의 증기 등이 잔류하여 화재ㆍ폭발 등의 위험이 있는 탱크, 배관 등의 장소에서는 불꽃, 아크 또는 고온 등의 발생 우려가 있는 화기, 기계ㆍ기구, 공구 등의 사용을 금지
- 용접 등의 작업 필요시에는 미리 내부 잔류물을 제거하고, 가스농도를 측정하는 등 화재ㆍ폭발 예방조치를 하여야 함
- 형태
- 폭발

- 재해개요
- 제강공장 설비설치 현장에서 교류아크용접기를 이용하여 용접작업 중 절연체가 파손된 용접기 홀더 충전부에 접촉되어 감전 사망한 재해
- 재해원인
- 교류아크용접기 전격방지기 고장
- 용접봉 홀더 절연체 파손
- 안전대책
- 교류아크용접기에는 용접기에 적합한 자동전격방지장치를 설치하고 성능이 유지되도록 관리 (정상 작동중인 자동전격방지장치가 설치된 교류아크용접기의 출력측 무부하 전압: 25V이하)
- 교류아크용접기의 용접봉 홀더는 산업표준화법에 의한 한국산업규격에서 정하는 홀더의 규격에 적합하거나 동등 이상의 절연내력 및 내열성을 갖춘 것을 사용
- 형태
- 감전

- 재해개요
- LNG저장 탱크에서 Cornor Protection 브라켓 지지대 용접작업을 하던 중 교류아크용접기의 용접전류가 땀으로 젖은 인체로 통전되어 감전 사망한 재해
- 재해원인
- 용접전류의 인체 통전
- 관리감독 소홀
- 안전대책
- 용접작업 안전조치 철저
- 땀이나 물기에 젖은 용접장갑 등을 착용한 상태에서 용접작업 금지
- 밀폐된 탱크내부에서의 용접작업에 대한 안전담당자 지정 등 관리감독 철저
- 작업발판 개선
- 용접, 용단작업 등 정밀작업이 요구되는 경우에는 이동식 사다리 대신 충분한 폭 확보, 견고한지지, 경사각이 없는 작업발판을 사용
- 용접작업 안전조치 철저
- 형태
- 감전
반응형
'안전관리자 > 위험성 평가' 카테고리의 다른 글
현장탱크 조립 작업 위험성 평가 (1) | 2024.06.06 |
---|---|
옥외개폐소 설치 작업 위험성 평가 (1) | 2024.06.06 |
복급수계통기기 설치 작업 위험성 평가 (1) | 2024.06.06 |
전식방지 설비 설치 작업 위험성 평가 (1) | 2024.06.06 |
옥외소화 설비 설치 작업 위험성 평가 (2) | 2024.06.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