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안전관리자778

항만 상치 콘크리트 작업 OPS 항만 상치 콘크리트 작업 상치 콘크리트 타설 안전 작업① 단부에  안전난간을 설치, 작업자 구명조끼 착용② 콘크리트 타설순서 준수 (분산 타설하여 편심하중 방지)③ 인양시 2줄걸이로 견고하게 결속하고 무게중심을 맞추어 수직 인양④ 타설전 압송관의 손상, 변형,부식 유무 점검⑤ 바지선에  펌프카를 고정, 설치할 지반상태를 확인하고 펌프카 아웃트리거 및 받침용 철판 설치⑥ 호스를  와이어로프나 안전로프로 결속하고 타설 속도 준수⑦ 장비신호수 배치  통제⑧ 사용전 기계의 외함접지 설치 상태 확인 및 충전부위 절연조치 실시⑨ 가설전선은 가공으로 배선하고 손상된 전선은 절연처리 철저⑩ 중량물 취급 작업에 대한 안전수칙 등 교육 후 작업⑪ 펌프카의 용량을 확인하고 아웃트리거 확정설치 및 바지선에 고정 철저⑫ 타설작.. 2024. 8. 22.
항만 케이슨 운반 설치 작업 OPS 항만 케이슨 운반 설치 작업 케이슨 예인 안전 작업① 케인슨 예인 작업 시 주변 항애 금지② 해상의 조건을 파악 파고가 안정권에 있을때 예인③ 1.F/D와 예인선 W/R 체결시 안전대를 걸고 작업, 근로자는 구명조끼를 입고 작업한다.④ 조위 및 파고를 감안하여 설계에 의한 차수판을 설치한다⑤ 예향속도 준수 및 대각선 방향 예인 금지⑥ 예인 와이어의 상태를 수시로 점검⑦ 예인 작업은 파고가 1m미만일 경우 실시하며 갑판위에서 신호 등 작업 시 구명조끼 등을 착용하고 난간에 몸을 지탱하여 작업⑧ 예인선과 바지선의 적정이격 거리 준수 및 신호연락 철저⑨ 작업전 전기기계기구 누전여부를 전기취급 전문가가 확인 후 작업 실시⑩ 케이슨의 설치작업은 파랑이나 조류의 영향을 받을 때가 많아서 기상·해양조건이 좋은 시기를.. 2024. 8. 22.
항만 케이슨 제작 작업 OPS 항만 케이슨 제작 작업 제작장 조성 안전 작업① 장비사용전 안전점검 실시(각종 안전장치 및 관련 서류) 후 장비사용 허가증 부착② 토질에 따른 굴착구배 준수③ 케이슨 제작장의 정지, 사석다짐, 평탄성 유지, Dock 바닥 DL확인 철저④ 굴삭기 작업 중 신호수 배치, 후방카메라설치, 후진경보기 부착⑤ 급경사 법면 보양시 안전대 걸이용 로우프를 설치하고 안전대를 걸고 작업⑥ 구조물 작업안전수칙 및 철골작업안전수칙 제공 및 교육 후 작업⑦ 작업전 전기기계기구, 조명비, 양수기 등의 누전여부를 전기취급 전문가가 확인 후 작업 실시⑧ 장비반입구 주변의 도심 사항을 숙지하고 감시자를 배치 후 작업⑨ 장비작업전 차량계건설기계 작업계획서 작성 제출/검토/승인 후 작업)⑩ 작업전 배수계획을 수립하여 굴착단계별 배수로 .. 2024. 8. 22.
안전 및 보건 예산편성 항목 안전·보건 예산편성 항목편성항목세부내용안전·보건 인력 안전·보건 전문인력 배치 (안전·보건관리자 등) 안전보건관리체제 구성을 위한 전문인력 배치(위탁·용역비 포함)기타 안전·보건 관계 법령 등에 따른 필요 인력 배치 등 (위험작업 시 2인1조, 3인1조 인력 배치 등)안전조치 안전검사·점검 (안전진단 등)안전·보건 관계법령에 따른 설비·시설물 안전관리·점검 등 (전기안전관리 용역, 시설물 정기안전점검 등)안전조치 (보수·수리 등)사업장에서 운영하는 안전시설·장비 보수 위험설비 자동화 등 안전시설 개선 위험성평가, 안전점검 실시 후 작업환경 개선 등 개선사항안전장비·물품 구입 (보호·안전장비 등 구입)안전벨트, 안전모 등 보호장비 구입기타 안전관련 물품·장비 구입유해위험요인 확인 및 위험성평가 등위험성평가.. 2024. 8. 21.
중대재해처벌법상 안전보건 예산 편성 및 집행 중대재해처벌법 시행령 제4조 4호 규정 취지제4조(안전보건관리체계의 구축 및 이행 조치)...중략...4. 다음 각 목의 사항을 이행하는 데 필요한 예산을 편성하고 그 편성된 용도에 맞게 집행하도록 할 것가. 재해 예방을 위해 필요한 안전보건에 관한 인력, 시설 및 장비의 구비나. 제 3호에서 정한 유해위험요인의 개선다. 그 밖에 안전보건관리체계 구축 등을 위해 필요한 사항으로서 고용노동부장관이 정하여 고시하는 사항 중대재해처벌법 시행령 제4조의 취지는1. 각 기업의 수준에 따라서 유해위험요인을 발굴하고 개선할 수 있도록 관련 예산이 충분히 편성되고 집행되었는지를 확인하는 조항2. 유해위험요인의 발굴과 개선 노력이 기업의 경영상 과도한 손해를 가져올 정도까지 조치해야 할 것은 아니지만 후 순위가 되어서는.. 2024. 8. 21.
항만 기초사석 작업 OPS 항만 기초사석 작업 사석투하 안전 작업① 장비작업반경내 접근금지 ② 사석투하 장비(백호) 작업반경내 잠수부등 작업자 접근금지 및 신호수 배치③ 단부에 안전난간 설치 및 경계표시 설치④ 셋팅 바지와 사석바지가 서로 접촉시 충격에 의한 실족 및 타이어 등의 파상으로 인한 사고에 주의⑤ 사석투하시 신호수 및 감시자 배치⑥ 장비용량 이하의 물량을 투하토록 하고 무거운 중량은 바지내에서 버켓으로 밀어내어 투하⑦ 바지선에 장비를 고정하여 작업⑧ 사용전 기계의 외함접지 설치 상태 확인 및 충전부위 절연조치 실시⑨ 작업전 전기기계기구 누전여부를 전기취급 전문가가 확인 후 작업 실시⑩ 해상의 기후조건을 파악하고 파고가 높을 시 작업을⑪ 중지하고 피항, 장비는 바지선에 와이어로프 등으로 고정⑫ 해상작업 시 구명조끼, 구명.. 2024. 8. 21.
가물막이 작업 OPS 가물막이 작업 Sheet Pile + 토사석 가물막이 안전 작업① 단부에 안전난간 설치 및 경계표시 설치② 인양 운반 작업전 줄걸이 상태 확인 철저③ Sheet 파일 설치 장비의 안전성 확보, 크레인등 설치시 아웃트리거 확장 설치 ④ Sheet파일 띠장설치시 작업발판설치 및 안전대 부착설비 설치 후 안전대를 걸고 작업, 단부에 안전난간 설치⑤ 2M간격으로 파일 라인표시하고 파일길이 눈금 표시하여 근입깊이 준수⑥ 근로자 기능도 시험후 배치하여 작업 및 트랜싯을 이용한 수직도확인 철저⑦ 장비작업반경내 출입금지 조치 및 신호수 배치⑧ 굴착작업 시 하부로 이동하는 통로 설치⑨ 버팀대 적기 설치, 스티프너 안전한 용접 설치⑩ 사용전 기계의 외함접지 설치 상태 확인 및 충전부위 절연조치 실시⑪ 집수정 양수기 등 설.. 2024. 8. 21.
지하철 장비반입 작업 OPS 지하철 장비반입 작업 장비 반입 안전 작업① 신호수를 배치하고 하부 안전표지판 및 휀스등 근로자 접근금지 조치.작업구에는 윙카를 설치하여 작업구가 잘보이도록 하며, 하역시 경고음이 울리도록 경보기 설치② 장비 전도 방지 조치 실시③ 트럭위에서 이동 및 작업 시 서두르지 않도록 작업전 안전교육 실시 및 관리 감독 철저④ 유도자 배치 및 작업반경내 출입금지조치, 인양장비 정격하중에의한 인양 각도 검토, 아웃트리거 설치 및 철판, 받침목 설치⑤ 중량하중에 안전율을 고려한 슬링벨트 선정 및 안전한 줄걸이 도구 사용 ⑥ 견고하고 평탄한 지반에 설치하고 아웃트리거의 하부에 견고한 침목설치⑦ 인양화물에 적합한 인양기구를 선정하고 작업개시 전 점검 실시⑧ 작업전 전기기계기구, 조명비, 양수기 등의 누전여부를 전기취급 .. 2024. 8. 20.
지하철 특수터설 작업 OPS 지하철 특수터설 작업 장비 반입 및 조립 안전 작업① 중량하중에 안전율을 고려한 슬링벨트 선정 및 안전한 줄걸이 도구 사용 ② 유도자 배치 및 작업반경내 출입금지조치, 인양장비 정격하중에의한 인양 각도 검토, 아웃트리거 설치 및 철판, 받침목 설치③ Shield 장비 전도 방지 조치 실시, 장비 하역후 3개소 이상 견고한 구조의 고임목 설치④ 사다리 전도방지대 설치 및 승하강시 2인 1조 작업 실시⑤ 세그먼트 조립순서 준수, 근로자 와 신호체계 준수⑥ 중량 물 조립시 전도 방지 조치, 소화기 비치 및 불꽃비산방지막 설치⑦ 작업대 내외측 안전난간 설치,낙하물방지용 발끝막이판, 수직방망설치, 승하강사다리 설치,전도방지용 버팀대 설치 ⑧ 작업투입전 안전보호구 착용상태 확인 및 해당공종에 적합한 보호구 지급 ⑨.. 2024. 8. 2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