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안전관리자754

신호수(유도자) 당사자 사고 사례 - 끼임 ※ 신호수(유도자)의 부재 혹은 부주의 등으로 현장 작업자에게 발생한 사고가 아닌, 신호수(유도자) 당사자가 부상당하여 사망한 사고 사례를 중심으로 구성 사망 사례 - 끼임출처 : 국토안전관리원 2025. 2. 19.
신호수(유도자) 당사자 사고 사례 - 깔림 ※ 신호수(유도자)의 부재 혹은 부주의 등으로 현장 작업자에게 발생한 사고가 아닌, 신호수(유도자) 당사자가 부상당하여 사망한 사고 사례를 중심으로 구성 사망 사례 - 깔림  출처 : 국토안전관리원 2025. 2. 18.
건설 현장 신호수(유도자)의 법적 권리와 역할 총정리 - 표준 신호 체계부터 사고 사례까지 건설 현장 신호수(유도자)의 법적 권리와 의무 및 역할과 임무건설 현장에서 신호수(유도자)는 중장비 및 차량의 원활한 이동을 돕고, 작업자의 안전을 보호하는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함.본 글에서는 신호수의 법적 권리와 의무, 역할과 임무, 표준 유도 신호 체계, 배치 기준 및 인원 산정 방법, 그리고 사고 사례까지 상세히 설명함.  1. 유도자의 법적 권리와 의무1.1 법적 권리신호수(유도자)는 안전을 책임지는 중요한 직무를 수행하는 만큼, 법적으로 보장된 몇 가지 권리를 가짐.작업 중지 요구권산업안전보건법 제26조에 따라, 신호수는 중대한 위험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는 경우 즉시 작업을 중지하도록 요구할 권리가 있음.예 : 크레인 작업 중 강풍이 불거나, 후진 차량 주변에 작업자가 있는 경우 작업을 즉시 중.. 2025. 2. 18.
선반작업이란? 공정 과정과 안전수칙까지 완벽 정리 ‘선반작업’이란 선반(旋盤, Lathe)이라는 공작기계를 이용하여 금속, 플라스틱, 목재 등의 원형 재료를 절삭·가공하는 작업을 의미함. 🔧 선반작업이란?선반은 회전하는 원형 재료(Workpiece)를 고정한 후, 절삭공구(바이트, Tool)를 이용하여 일정한 형태로 깎아내는 공작기계임.주로 축, 원통형 부품, 나사, 베어링 하우징 등 정밀 가공이 필요한 부품 제작에 사용됨.선반 작업자는 공작물을 고정하고, 속도 및 절삭 조건을 조절하여 가공하는 작업을 수행함. 📌 선반작업의 주요 공정공작물 고정 (척·센터 사용)원형 재료(Workpiece)를 척(Chuck) 또는 센터(Center)에 고정하여 회전할 수 있도록 함.회전 및 절삭 공정공작물을 일정한 속도로 회전시키고, 절삭공구(바이트)를 이용해 외경.. 2025. 2. 17.
고용노동부, 전국 1,000개 건설현장 긴급 점검 – 부산 기장 화재 유사사고 예방 총력 고용노동부는 2025년 2월 14일 발생한 부산 기장군 공사현장 화재사고를 계기로 유사 사고 예방을 위한 긴급 현장점검을 전국 1,000개소 건설현장에서 실시함. 2월 17일부터 산업안전보건 감독관 등이 투입되어 단열재 및 마감공사가 진행 중인 건설공사 현장을 중심으로 점검을 진행하며, 화재위험 요소를 사전에 차단하는 조치를 강화할 예정임. 🔹 주요 점검 내용안전보건관리체제 점검 : 안전관리자의 역할 및 체계 확인용접작업 안전조치 강화 : 용접방화포·비산방지덮개 사용 및 근로자 교육혼재작업 금지 : 화재 위험이 높은 작업 간 동시 진행 금지화재감시자 배치 : 작업 중 화재 발생 감시 체계 점검소화설비 및 대피훈련 실시 : 비상대피로 확보 및 대피 훈련 강화또한 국토교통부, 소방청 등 관계 기관과 협력하.. 2025. 2. 17.
23년 건설현장 사고사례 - 익사 23년 건설현장 사고사례 7. 익사 2025. 2. 16.
23년 건설현장 사고사례 - 감전 23년 건설현장 사고사례 6. 감전 2025. 2. 16.
23년 건설현장 사고사례 - 매몰 23년 건설현장 사고사례 5. 매몰 2025. 2. 15.
23년 건설현장 사고사례 - 끼임 23년 건설현장 사고사례 4. 끼임 2025. 2. 15.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