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개요
- F.C.M(Free Cantilever Method) 공법은 기존의 재래식 동바리가 필요 없이 교각위에서 교각 양쪽의 교축방향으로 특수한 가설장비(F/T, Form Traveller)를 이용해 한개의 세그먼트(Segment, 3~4m)씩 콘크리트를 타설 하고 Prestress를 도입하여 연결해 나가는 교량상부 가설공법이다.
- 중량 부재를 인양,거치하는 과정과 폼 이동시 고소작업 수행에 따른 붕괴,전도,추락,낙하 위험에 대한 주의가 요구된다.
단위작업 분류 및 순서
- 주두부 작업발판 설치
- 주두부 거푸집 설치
- 주두부 철근 조립
- 주두부 콘크리트 타설
- 주두부 강선 인장
- 주두부 거푸집 해체
- 주두부 면정리 작업
- FORM TRAAVELLER 설치 작업 1, 2
- SEGMENT 시공 거푸집 설치 작업 1, 2
- SEGMENT 시공 철근 조립 및 쉬즈관 설치
- SEGMENT 시공 콘크리트 타설 작업
- 강선인장 및 그라우팅 작업
- FORM TRAVELLER 이동 설치 작업
- 연결 SEGMENT 작업 1, 2
- 측경간 시공 및 완료 1, 2
1. 주두부 작업발판 설치 작업
분류 | 유해위험요인 | 감소대책 |
인적 요인 | 크레인으로 주두부 브라켓 인양 시 구조물(교각)충돌 | 작업 시 신호체계 확립, 신호수 배치 |
주두부 브라켓 고정시 추락위험 | 안전대 부착설비 설치, 안전대 고리를 걸고 작업 | |
인양 중 인양로프의 파단에 의한 자재의 낙하 | 작업 전 줄걸이 이상유무 확인 점검 실시 | |
기계적 요인 | 크레인 아웃트리거 미사용으로 자재 인양시 전도 | 크레인 사용시 아웃트리거 최대 확장 사용, 받침은 철판 등 설치하여 지반침하 방지조치 후 작업 |
주두부 브라켓 설치 주변 출입중 낙하물에 의한 사고 | 주두부 브라켓 작업장 출입금지, 신호수 배치로 출입통제 | |
주두부 브라켓 발판에서 작업 중 추락 | 교각 브라켓 설치전 지상에서 발판과 안전난간 설치 | |
교각상부를 일자형 사다리로 오르던 중 추락 | 교각 상부로 올라갈 수 있는 승강통로 설치 | |
크레인에 케이지를 매달아 작업자 탑승 작업중 케이지가 균형을 잃어 추락 | 케이지 인양시 균형이 상실되지 않도록 줄걸이를 하여 작업자 탑승 등 실시 | |
작업발판용 빔 등 자재운반시 충돌 | 자재 운반시 유도로프를 설치하여 충돌 등 방지 | |
주두부 작업발판용 자재 가공작업 중 고속절단기 날에 접촉 | 고속절단기 커버 설치 및 날 접촉을 방지하기 위한 안전작업 실시 | |
전기적 요인 | 공도구 누전 및 가설전선 피복노출로 인한 감전 | 사용전 기계의 외함접지 설치 상태 확인 및 충전부위 절연조치 실시 |
작업특성 요인 | 중량물 취급 작업중 안전수칙 및 기준 미준수 사고 | 중량물 취급에 따른 안전작업계획서 작성 및 준수 |
작업환경 요인 | 크레인 등 사용시 주변 고압케이블에 접촉 감전 | 인양작업전 주변환경에 대한 확인 철저 및 안전조치 후 작업 |
2. 주두부 거푸집 설치 작업
분류 | 유해위험요인 | 감소대책 |
인적 요인 | 하역 작업구역내 출입 중 충돌 협착 | 작업구역내 이해관계자에 대해 홍보 및 출입통제 |
장비작업 반경내 접근으로 충돌 협착 | 통로 구획 및 이동경로 확보 | |
인양 중 인양로프의 파단에 의한 자재의 낙하 | 작업 전 줄걸이 이상유무 확인 점검 실시 | |
거푸집 동바리 설치 작업 시 추락 | 동바리설치 작업시 발판설치, 안전대고리를 걸고 작업 | |
기계적 요인 | 동바리의 강도 부족, 고정 미흡으로 인한 붕괴 | 동바리 설치 작업전 구조검토, 동바리의 종류 선정, 동바리 조립도를 작성하고 연결핀 등 고정핀체결 철저 |
동바리 등 거푸집 자재를 인양하던 중 장비전도 | 크레인 사용시 아웃트리거 최대 확장 사용, 받침은 철판 등 설치하여 지반침하방지조치 후 작업 | |
자재 인양 중 줄걸이 방법 및 상태 불량으로 자재 낙하 | 인양시 2줄걸이로 견고하게 결속하고 줄걸이를 인양전 점검, 유도로프 설치 사용 | |
자재인양하부에 근로자 진입중 낙하물 사고 | 자재 인양 등 장비작업반경내 출입금지조치 | |
하부슬라브 거푸집 설치 작업중 추락 | 작업발판을 설치하고 작업 시 안전대를 걸고 작업 | |
비계 작업 발판에서 작업중 추락 | 작업발판을 밀실하게 설치, 안전대 고리 체결 | |
비계 작업 발판의 도괴 | 비계 작업발판은 벽연결 및 버팀 설치 | |
고속절단기로 자재 가공 및 절단작업 중 창상 | 고속회전체 사용중 면장갑 착용금지(가죽제 장갑착용) 회전체 날접촉방지 덮개 설치 | |
전기적 요인 | 거푸집 가공용 전동공구 사용중 누전에 의한 감전 | 사용전 기계의 외함 접지 설치 상태 확인 및 충전부위 절연조치 실시, 누전차단기 설치 사용 |
작업특성 요인 | 자재 반입시 투입되는 지게차 등의 관련 사항 미확인 상태에서 작업 중 사고 발생 | 지게차 임대업체 안전조치 등 관련사항 사전 확인 |
작업환경 요인 | 타워크레인, 리프트카 등의 사용에 따른 안전점검 미흡에 따른 사고 |
T/C, L/C등 이용에 따른 안전작업절차, 점검 준수 |
3. 주두부 철근 조립 작업
분류 | 유해위험요인 | 감소대책 |
인적 요인 | 가공 공도구 사전 점검 미흡으로 인한 사고 | 가공 공도구 사전 점검 안전장치 등 확인 철저 |
다량 철근절단·절곡 등 무리한작업으로 절단, 끼임, 협착 | 절단철근 지정된 가닥이상 절단금지 및 위험점 밖에서 철근 취급토록 교육 (예 : 10mm:4 16mm:3 20mm:2) | |
기계적 요인 | 풋스위치 오작동에 의한 협착, 절단 | 풋스위치 덮개 설치로 오작동 예방 |
가공테이블 설치 불량에 의한 협착 | 철재 테이블 설치, 보강철저, 지면 평활 유지 | |
가공할 철근 소운반 작업중 지게차와 충돌 | 후방감시카메라, 경보음 작동, 지게차 전담신호수 배치로 출입통제 조치 후 작업 | |
철근 절단기 날 변형에 의한 절단 불량에 의한 사고 | 절단기 날 수시로 확인하여 교체 | |
신호수 지정 미흡으로 인한 충돌 낙하 | 철근 인양시 전담 신호수 배치 | |
와이어 불량 및 결속위치 불량에 의한 낙하, 파단 | 2점지지 결속, 와이어 상태 확인 철저 | |
줄걸이 작업불량에 의한 낙하 | 작업 전 줄걸이 이상유무 확인 점검 및 폼의 형상에 따른 줄걸이 방법 선정 철저 | |
유도로프 미설치로 충돌 협착 | 철근 인양 작업 시 유도로프 설치 확인 후 양중 | |
단철근 인양함 미사용으로 인한 낙하 | 인양함에 넣어서 운반, 인양함 덮개 사용 철저 | |
전기적 요인 | 기계기구 미접지 및 전선불량으로 감전 | 사용전 기계의 외함접지 설치 상태 확인 및 충전부위 절연조치 실시 |
가설전선 피복 노출에 의한 감전 | 가설전선은 가공으로 배선하여 피복이 손상되지 않도록 하고 손상된 전선은 절연처리 하고 작업 | |
작업특성 요인 | 작업장 정리정돈 불량에 의한 전도 | 가공자재 규격별로 구분 적재 및 잔철근 고철함에 즉시 처리 |
작업환경 요인 | 작업장 주변 주민의 작업장 출입 및 통행 중 사고 | 안전통로 확보, 작업장 주변 출입금지 구역 설정 |
4. 주두부 콘크리트 타설 작업
분류 | 유해위험요인 | 감소대책 |
인적 요인 | 줄걸이 작업불량에 의한 낙하 | 작업 전 줄걸이 이상유무 확인 점검 및 폼의 형상에 따른 줄걸이 방법 선정 철저 |
레미콘 운반트럭 후진시 근로자 충돌, 협착 | 장비신호수 배치 통제 | |
작업구역내 이해관계자 외 출입 사고 | 작업구역내 이해관계자에 대해 홍보 및 출입통제 | |
기계적 요인 | 바지선의 유동으로 타설중인 펌프카 붐대가 구조물에 충돌 펌프카 전도 위험 | 바지선 고정 및 펌프카 아웃트리거 설치 철저 |
단부타설중 근로자가 몸의 균형을 잃고 추락 | 단부타설시 단부를 바라보고 작업토록 교육하고 단부의 안전난간 확인 철저 | |
주두부 동바리 또는 벤트 붕괴 | 구조검토 및 조립도 작성, 대각재 설치, 벤트의 경우 하부 고정 | |
콘크리트 타설시 타설장비에 대한 검토 미흡으로 장비의 전도, 압송관 파손등에 의한 사고 | 콘크리트 타설전 타설장비에 대한 검토 철저 및 운전자 교육 실시 | |
크레인 연약지반 설치 및 아웃트리거 설치 불량에 의한 크레인 전도 | 크레인 사용시 아웃트리거 최대 확장 사용, 받침은 철판 등 설치하여 지반침하 방지조치 후 작업 | |
재료적 요인 | 콘크리트에 피부가 접촉되어 피부손상 | 콘크리트 타설시 우의 등 작업복을 입고 작업 |
전기적 요인 | 진동다짐기 사용중 감전사고 위험 | 진동다짐기 사용전 접지 및 전선상태 확인 |
작업특성 요인 | 해상운반을 통한 콘크리트 타설로 재료 운반중 레미콘 믹서트럭 전복 | 레미콘 믹서트럭 해상운반 안전수칙 준수 |
작업환경 요인 | 콘크리트 타설시 비산되는 콘크리트에 안구 손상 | 콘크리트 타설시 보안경 착용 |
5. 주두부 강선 인장 작업
분류 | 유해위험요인 | 감소대책 |
인적 요인 | 강선 삽입 중 손가락 협착위험 | 작업원간의 신호체계를 확립하고 해당 근로자는 안전장갑 착용에 대해 홍보 및 출입통제 |
인장시 강선 파단에 의한 근로자 찔림 위험 | 작업 주변 근로자 통제 조치, 접근금지구역 설정 | |
인장잭을 이용하여 인장 후 잔여강선 그라인더로 절단 작업 시 불꽃 비산 | 근로자 보안경, 보안면 등 개인보호구 착용, 화재 예방을 위한 소화기 비치 | |
기계적 요인 | 작업대 상부 안전시설물 미설치로 추락 위험 | 작업대 주변 안전난간, 개구부덮개 등 추락방지시설 설치 |
인장기 설치 작업중 인장기 낙하 | 인장기 운반 설치시 장비를 이용하고 줄걸이 사전점검 후 작업 | |
강선 인장기 중량물로 취급 중 낙하 및 허리부상 사고 | 강선 인장기 운반설치시 장비를 사용하고 고정을 확인한 후 인양로프 해체 | |
인장기 후면에 위치하여 작업중 강선이 정착구 고정장치에서 이탈하여 작업자를 타격 | 인장기 사용작업 시 근로자는 인장기 측면에서 작업토록하고 정착구 웻지부분 고정이 확실한가 확인 | |
인장기 인양 및 거치작업용 작업대의 전도로 인장기 낙하 | 인장기 인양 및 거치 작업대 사용전 안전점검 실시 | |
전기적 요인 | 불량 공도구 사용으로 인한 감전 | 사용전 기계의 외함접지 설치 상태 확인 및 충전부위 절연조치 실시 |
가설전선 피복 노출에 의한 감전 | 가설전선은 가공으로 배선하여 피복이 손상되지 않도록 하고 손상된 전선은 절연처리 하고 작업 | |
작업특성 요인 | 철재 중량물 취급 작업 중 협착 | 중량물 취급 작업에 대한 안전수칙 등 교육 후 작업 |
작업환경 요인 | 시멘트 취급에 따른 호흡기 및 안구 재해 | 물질안전보건 자료 비치, 교육실시 방진마스크 및 보안경 착용 후 작업 |
6. 주두부 거푸집 해체 작업
분류 | 유해위험요인 | 감소대책 |
인적 요인 | 작업구역내 이해관계자 외 출입 사고 | 작업구역내 이해관계자에 대해 홍보 및 출입통제 |
거푸집 해체중/후 단부에서 추락 | 거푸집 해체 단부에 안전난간 등 설치 단부 작업 시 안전대부착설비에 안전대를 걸고 작업 |
|
기계적 요인 | 해체한 거푸집 자재의 낙하 | 해체한 거푸집 지정된 장소에 정리 |
해체한 거푸집 인양 중 자재 낙하 | 인양시 2줄걸이로 견고하게 결속하고 무게중심을 맞추어 수직 인양 | |
해체 작업시 자재낙하에 의한 하부 근로자 맞음 | 해체작업시 작업반경내 출입금지 조치 및 하부 감시자 배치 | |
해체된 자재 정리정돈 미흡으로 인한 전도 | 해체자재는 정리정돈 및 반출 | |
해체된 거푸집을 T/C를 이용하여 하부로 내리던 중 자재 낙하 | 자재 결속을 철저히 하고 인양줄걸이 등 점검 철저 | |
전기적 요인 | 불량공도구 사용으로 인한 감전 | 사용전 기계의 외함접지 설치 상태 확인 및 충전부위 절연조치 실시 |
가설전선 피복 노출에 의한 감전 | 가설전선은 가공으로 배선하여 피복이 손상되지 않도록 하고 손상된 전선은 절연처리 하고 작업 | |
작업특성 요인 | 해체 작업계획 수립 미흡에 의한 사고 | 해체 작업전 작업계획서를 작성/검토/승인 후 작업 |
작업환경 요인 | 고소작업장 거푸집 해체에 따른 낙하물 사고 위험 | 교각하부 접근 방지책을 설치하고 해체작업중 하부 접근을 통제 |
7. 주두부 면정리 작업
분류 | 유해위험요인 | 감소대책 |
인적 요인 | 사다리를 이용하여 면보수 작업중 사다리의 전도, 사다리에서 실족하여 추락위험 | 주두부 면정리용 작업대 설치로 안전한 작업공간 및 자세 확보상태에서 작업실시 |
가설비계 설치 작업중 추락 | 설치순서와 방법을 준수하여 설치 | |
기계적 요인 | 틀비계 조립세트 일부 미조립으로 구조적 불안전 및 이질재료 사용위험 | 조립시 부재 설치 누락 방지 및 이질재료 사용금지 |
노후 부재 및 변형된 자재 사용으로 허용하중에 견디지 못하고 파손 등으로 사고 발생 | 자재검수 철저로 노후, 불량자재 반출 | |
승하강 사다리 미설치로 승하강 중 추락사고 | 승하강 통로 설치 | |
작업발판 단부에서 자재 및 공구 낙하사고 | 작업발판 단부에 발끝막이판 설치 | |
작업발판에서 면정리 작업중 추락 | 작업발판 단부에 안전난간 설치 | |
자재나 공구를 작업발판위 작업위치로 운반도중 낙하사고 | 달줄 및 달포대를 설치하고 이용하여 자재나 공구를 운반 | |
작업발판에 과적하여 작업도중 발판과 틀비계의 붕괴사고 위험 | 작업발판에 적재하중 (400kg/1틀)을 준수하고 수시로 발판 상태를 확인하여 이상유무 확인 | |
틀비계 연결부(교차가새 등)을 누락 설치하여 작업 중 비계의 붕괴사고 위험 | 교차가새 등을 누락하지 않게 설치하고 경사지에는 자키베이스 등을 이용하여 수평을 유지하여 설치 | |
전기적 요인 | 그라인더 등 전동공구 사용중 누전에 의한 감전 | 사용전 기계의 외함접지 설치 상태 확인 및 충전부위 절연조치 실시, 접지, 누전차단기 설치 사용 |
가설전선 피복 노출에 의한 감전 | 가설전선은 가공으로 배선하여 피복이 손상되지 않도록 하고 손상된 전선은 절연처리 하고 작업 | |
작업특성 요인 | 고소부위 가시설 설치/해체 작업 시 자재 낙하시 중대사고위험 | 가시설 설치 해체 작업계획 수립 및 작업 시 교각 하부 통제 후 작업 |
작업환경 요인 | 면정리 작업중 분진에 의한 호흡기 및 안구 재해 | 면정리 작업 시 방진마스크 및 보안경 착용후 작업 |
8. FORM TRAVELLER 설치 작업_1
분류 | 유해위험요인 | 감소대책 |
인적 요인 | MAIN RAIL 인양시 각 부속물등의 고정 불량으로 낙하물 사고 | MAIN RAIL 인양시 각 부속물등의 고정 상태 점검 확인 후 인양 |
크레인으로 인양된 자재를 단부에서 받던 중 몸의 균형을 잃고 추락 | 인양시 유도로프 사용, 단부 안전난간 설치 상태 확인 철저 | |
기계적 요인 | MAIN RAIL SETTING후 REAR 쪽에 강봉 미체결 및 종횡구배로 인한 수평미유지로 F/T 전도 | MAIN RAIL SETTING후 REAR 쪽에 강봉으로 체결 슬라브와 밀착(받침목등 사용) 고정철저 |
MAIN FRAME 가설 고정시 협착, 낙하, 추락 | MAIN FRAME 가설 고정시 중량물 취급에따른 협착주의, 인양고리 확인철저, 단부에 안전난간 설치 상태 확인 철저 | |
MAIN FRAME을 RAIL위에 가설 고정작업중 MAIN FRAME 전도 | MAIN FRAME을 RAIL위에 와이어 로프 등을 이용하여 임시 고정철저 | |
고공에서 연결핀 등을 체결하는 작업중 추락 | 안전대 고리를 걸고 작업 | |
가공된 철근을 작업발판 위에 과적하여 비계 및 작업대 붕괴 | 발판위에 과적하지 않도록 발판의 특성에 맞는 적재중량 표기 및 준수 | |
MAIN FRAM 및 강봉 구조검토 미실시로 인한 탈락 | 구조검토 실시, 강봉 및 체결 너트 인장시험 | |
레일 및 트러스 설치후 고정용 강봉을 설치중 몸의 균형을 잃어 추락 | MAIN TRUSS고정시 RAIL과 수평이 되도록 고정하고 강봉 체결시 안전밸트 착용철저 | |
강봉설치 중 강봉의 낙하사고 | 강봉설치시 강봉 운반 등 작업 시 단독작업금지 및 취급주의(강봉은 지상에서 미리 설치) | |
강봉 설치 홀 위치가 맞지 않아 강봉 휨 발생 | 정확한 홀 위치 시공 | |
MAIN TRUSS 뒷 부분에 REAR JACK 설치시 협착사고위험 | 각종 잭 설치시 잭과 타부재 사이에 손가락 등이 협착되지 않도록 주의하여 작업 |
8. FORM TRAVELLER 설치 작업_2
분류 | 유해위험요인 | 감소대책 |
인적 요인 | MAIN FRAME 설치후 LAUNCHING용 JACK 설치 작업중 협착 및 추락사고 | 단부족 작업시 안전밸트 착용 철저 및 단부에 안전난간 등 설치 |
FRONT 강봉 설치후 인양시 낙하물 사고위험 | 낙하물 발생대비 임시고정 시키고 확인/점검 | |
기계적 요인 | 작업자가 연결핀 체결을 위해 고공작업시 추락위험 | 고공작업시 필히 안전밸트를 착용후 작업 |
크레인으로 부재인양시 기설치된 부재와 충돌, 근로자와의 충돌사고 위험 | 부재 인양시 유도로프를 설치, 신호수를 배치하여 작업, 운전자 신호수 신호에 의해 작업 실시 | |
초기 주두부에 FT TRUSS 간 이동통로 미확보 | 좌우 이동 통로(건설다리) 설치 | |
전기적 요인 | 불량공도구 사용으로 인한 감전 | 사용전 기계의 외함접지 설치 상태 확인 및 충전부위 절연조치 실시 |
가설전선 피복 노출에 의한 감전 | 가설전선은 가공으로 배선하여 피복이 손상되지 않도록 하고 손상된 전선은 절연처리 하고 작업 | |
작업특성 요인 | 철재 중량물 취급 작업 중 협착 | 중량물 취급 작업에 대한 안전수칙 등 교육 후 작업 |
작업환경 요인 | 고소 고공에서 작업하는 횟수가 많음으로 인한 작업중 착각 등에 의한 중대사고 위험 | 고소 고공작업전 작업계획을 수립하고 작업에 적합한 인원을 투입하여 작업 |
9. SEGMENT 시공 및 거푸집 설치 작업_1
분류 | 유해위험요인 | 감소대책 |
인적 요인 | 타워크레인으로 자재 인양시 줄걸이 파단으로 낙하 | 작업전 줄걸이 이상유무확인 점검 실시 |
자재 인양 및 거푸집 설치 하부 출입에 의한 사고 | 자재 인양 및 거푸집 설치 하부 출입통제 조치 및 하부 감시자 배치 | |
자재 인양시 충돌 및 협착 사고 | 자재 인양시 유도로프를 사용하여 작업 | |
단부에서 인양된 자재를 받던중 하부로 추락 | 단부에서 자재를 받을 때에는 안전대 고리를 걸고 인양된 자재를 받음 | |
기계적 요인 | 부재의 절점 연결 부위의 체결 상태 미흡 및 절점 부위 작동불량으로 폼조립시 근로자가 절점 부위등에 무리한 접근 작업중 추락 | 부재의 치수가 도면과 일치되는지 사전점검절점부위의 보강 상태를 사전 점검, 취약 부분은 사전 보강 |
목재 및 합판의 접합 상태불량으로 작업중 합판이 뒤집혀 근로자 추락위험 | 부재의 접합시 접합면이 일치토록하고 합판설치시 고정 철저 | |
단부 및 개구부에서 작업중 추락위험 | 단부 및 개구부 방호조치 철저 | |
진행방향 전면부 상하 작업대에서 추락위험 | 고정용 강봉을 활용하여 웨빙띠 등 설치로 추락방지 | |
DECK FORM 및 DECK FORM 이동용 RAIL을 별도로 인양 조립중 낙하 및 추락 | DECK FORM 및 DECK FORM 이동용 RAIL을 지상에서 조립하고 인양전 결속상태 확인 철저 | |
DECK FORM 및 RAIL 설치후 강봉을 이용 고정작업 시 추락위험 | 강봉 체결 작업자는 필히 안전밸트 착용 및 생명선 연결후 작업 | |
데크폼이 레일에서 이탈하여 낙하/추락위험 | 강봉 체결 상태 점검 및 DECK FORM 이 RAIL에 이탈 방지 장치 설치 및 확인점검 | |
캔틸레버부 지상조립시 강재 중량물 운반중 조립중 강재의 낙하 충돌 사고 | 유도로프 및 받침목 사용 및 운반/취급절차 준수 | |
고속절단기 날 접촉 및 비산물에 의한 사고 | 고속절단기 방호장치 부착 및 사용 |
9. SEGMENT 시공 및 거푸집 설치 작업_2
분류 | 유해위험요인 | 감소대책 |
인적 요인 | 목재가공시 둥근톱기계에 손가락 절단사고 | 둥근톱기계작업시 면장갑착용 금지 및 덮개설치 사용 철저 |
지상에서 조립한 폼운반 작업 중 기설치된 데크폼과 근로자와의 충돌 및 낙하사고 | 인양고리 확인 철저 및 유도로프 설치, 신호체계 확립후 작업실시 | |
데크폼에 내벽거푸집 조립 중 추락사고 | 안전밸트 착용 및 생명선 연결 확인후 작업 | |
기계적 요인 | 켄틸레버 및 벽체 외측 거푸집 조립시 협착 낙하사고 | 강봉 고정 작업 시 NUT, WASHER의 체결 상태 점검 및 각 거푸집의 치수가 단면과 일치하는가 점검철저 |
조립할 자재적치 공간 미확보 및 적치 순서 미준수로 인한 협착등 사고 | F/T 조립 순서에 맞추어 적절한 위치에 야적할 수 있도록 주위 공간 확보 | |
주두부 하부 강봉 및 CHAIN BLOCK 의 고정미흡 및 불량으로 거푸집 낙하 | BOTTOM FORM 앞부분의 강봉 체결이 안되므로 CHAIN BLOCK 에 의존 하여야 하므로 작업전 CHAIN BLOCK 의 작동상태 등을 철저히 점검한후 작업실시 | |
BOTTOM FORM 상부 데크폼에서 동시작업 중 낙하물에 의한 사고 | 상부/하부 동시작업 금지 및 상부 낙하예상물제거후 작업 실시 | |
작업대 단부에 안전난간, 낙하물 방지 미설치로 추락 및 낙하물 사고 | 작업대 단부에는 안전난간 및 낙하물 방지 시설을 설치하여 인양 | |
FORM TRAVELLER 조립 설치 완료후 CAMBER값에 의한 FORM SETTING을 실시를 위한 각종 측량 작업 중 단부 및 개구부로 추락 | FORM SETTING 작업 시 단부에 안전난간 및 개구부에 덮개 설치 후 실시, 측량작업자 측량전 주변환경에 대한 교육 실시 철저 | |
전기적 요인 | 전동공구 누전 및 가설전선 충전부 접촉으로 감전 | 사용전 기계의 외함접지 설치 상태 확인 및 충전부위 절연조치 실시, 접지, 누전차단기 설치 사용 |
작업특성 요인 | 철재 중량물 취급 작업 중 협착 | 중량물 취급 작업에 대한 안전수칙 등 교육 후 작업 |
작업환경 요인 | 상하동시 작업중 낙하물에 의한 사고 | 상부와 하부 작업에 대한 사전 작업 협의후 작업 |
10. SEGMENT 시공 철근조립 및 쉬즈관 설치 작업
분류 | 유해위험요인 | 감소대책 |
인적 요인 |
BOTTOM SLAB 철근 조립 완료후 TOP SLAB 철근 시공시 F/T HOLL 과의 간섭으로 인한 작업중 창상, 협착등 사고위험 | 철근 인양시 전담 신호BOTTOM SLAB 철근 조립 완료후 TOP SLAB 철근 시공시 F/T HOLL 과의 간섭이 없도록 계획을 수립하여 작업 |
와이어 불량 및 결속위치 불량에 의한 낙하, 파단 | 2점지지 결속, 와이어 상태 확인 철저 | |
줄걸이 작업불량에 의한 낙하 | 작업 전 줄걸이 이상유무 확인 점검 및 폼의 형상에 따른 줄걸이 방법 선정 철저 | |
유도로프 미설치로 충돌 협착 | 철근 인양 작업 시 유도로프 설치 확인 후 양중 | |
기계적 요인 | BOTTOM SLAB F/T HOLL, 벽체 전단 강봉 설치 철근이 간섭 되어 무리하게 조정 작업 중 전도 및 창상 | BOTTOM SLAB F/T HOLL, 벽체 전단 강봉설치에 철근이 간섭 되지 않도록 유의하여 철근 시공 |
단철근 인양함 미사용으로 인한 낙하 | 인양함에 넣어서 운반, 인양함 덮개 사용 철저 | |
작업구역내 이해관계자 외 출입 사고 | 작업구역내 이해관계자에 대해 홍보 및 출입통제 | |
쉬즈관 취급 작업중 날카로운 끝에 손가락 등 창상 | 쉬즈관 취급 작업중 날카로운 끝에 손가락 등이 접촉되지않도록 주위, 보호장갑 착용 | |
철근사이로 쉬즈관 설치 작업중 철근에 얼굴, 손 찔림사고 | 철근사이로 쉬즈관 설치 작업 시 무리하게 밀거나 당기는 행동금지 | |
정착구 설치시 작업대를 설치하지 않고 작업 중 추락, 낙하 | 정착구 설치시 작업대를 설치하여 작업 | |
재료적 요인 | 쉬즈관 연결부 테이프를 감지 않아 콘크리트 타설시 몰탈이 들어가는 사고 |
쉬스관 조립시 연결부 테이핑 처리 |
전기적 요인 | 전동공구 누전 및 가설전선 충전부 접촉으로 감전 | 사용전 기계의 외함접지 설치 상태 확인 및 충전부위 절연조치 실시, 접지, 누전차단기 설치 사용 |
작업특성 요인 | 중량물 취급 작업중 안전수칙 및 기준 미준수 사고 | 중량물 취급에 따른 안전작업계획서 작성 및 준수 |
11. SEGMENT 시공 및 콘크리트 타설 작업
분류 | 유해위험요인 | 감소대책 |
인적 요인 | 레미콘 운반트럭 후진시 근로자 충돌, 협착 | 장비신호수 배치 통제 |
단부타설중 근로자가 몸의 균형을 잃고 추락 | 단부타설시 단부를 바라보고 작업토록 교육하고 단부의 안전난간 확인 철저 | |
기계적 요인 | 주두부 동바리 또는 벤트 붕괴 | 구조검토 및 조립도 작성, 대각재 설치, 벤트의 경우 하부 고정 |
콘크리트 타설시 타설장비에 대한 검토 미흡으로 장비의 전도, 압송관 파손등에 의한 사고 | 콘크리트 타설전 타설장비에 대한 검토 철저 및 운전자 교육 실시 | |
바지선의 유동으로 타설중인 펌프카 붐대가 구조물에 충돌 펌프카 전도 위험 | 바지선 고정 및 펌프카 아웃트리거 설치 철저 | |
재료적 요인 | 콘크리트에 피부가 접촉되어 피부손상 | 콘크리트 타설시 우의 등 작업복을 입고 작업 |
전기적 요인 | 진동다짐기 사용중 감전사고 위험 | 진동다짐기 사용전 접지 및 전선상태 확인 |
작업특성 요인 | 해상운반을 통한 콘크리트 타설로 재료 운반중 레미콘 믹서트럭 전복 | 레미콘 믹서트럭 해상운반 안전수칙 준수 |
작업환경 요인 | 콘크리트 타설시 비산되는 콘크리트에 안구 손상 | 콘크리트 타설시 보안경 착용 |
12. 강선인장 및 그라우팅 작업
분류 | 유해위험요인 | 감소대책 |
인적 요인 | 강선 삽입 중 손가락 협착위험 | 작업원간의 신호체계를 확립하고 해당 근로자는 안전장갑 착용에 대해 홍보 및 출입통제 |
작업대 상부 안전시설물 미설치로 추락 위험 | 작업대 주변 안전난간, 개구부덮개 등 추락방지시설 설치 | |
인장시 강선 파단에 의한 근로자 찔림 위험 | 작업 주변 근로자 통제 조치, 접근금지구역 설정 | |
인장잭을 이용하여 인장 후 잔여강선 그라인더로 절단 작업 시 불꽃 비산 | 근로자 보안경, 보안면 등 개인보호구 착용, 화재 예방을 위한 소화기 비치 | |
기계적 요인 | 인장기 설치 작업중 인장기 낙하 | 인장기 운반 설치시 장비를 이용하고 줄걸이 사전점검 후 작업 |
강선 인장기 중량물로 취급 중 낙하 및 허리부상 사고 | 강선 인장기 운반설치시 장비를 사용하고 고정을 확인한 후 인양로프 해체 | |
인장기 후면에 위치하여 작업중 강선이 정착구 고정장치에서 이탈하여 작업자를 타격 | 인장기 사용작업 시 근로자는 인장기 측면에서 작업토록하고 정착구 웻지부분 고정이 확실한가 확인 | |
인장기 인양 및 거치작업용 작업대의 전도로 인장기 낙하 | 인장기 인양 및 거치 작업대 사용전 안전점검 실시 | |
전기적 요인 | 불량 공도구 사용으로 인한 감전 | 사용전 기계의 외함접지 설치 상태 확인 및 충전부위 절연조치 실시 |
가설전선 피복 노출에 의한 감전 | 가설전선은 가공으로 배선하여 피복이 손상되지 않도록 하고 손상된 전선은 절연처리 하고 작업 | |
작업특성 요인 | 철재 중량물 취급 작업 중 협착 | 중량물 취급 작업에 대한 안전수칙 등 교육 후 작업 |
작업환경 요인 | 시멘트 취급에 따른 호흡기 및 안구 재해 | 물질안전보건 자료 비치, 교육실시 방진마스크 및 보안경 착용 후 작업 |
13. FROM TRAVELLER 이동 설치 작업
분류 | 유해위험요인 | 감소대책 |
인적 요인 | 작업구역내 이해관계자 외 출입 사고 | 작업구역내 이해관계자에 대해 홍보 및 출입통제 |
인장 작업 완료후 FORM을 이탈시키고 다음 SEG 시공을 위해 FORM TRAVELLER 를 압출작업 시 잭고정불량, 연결핀체결불량으로 F/T 변형, 작업중지 | F/T 압출시 JACK의 작동상태, 고정상태, 연결핀 체결상태 등을 확인 점검 실시 | |
기계적 요인 | F/T 압출후 다음 SEG 시공을 위해 FORM 을 청소, 거푸집 박리제 도포 중 낙하/ 추락사고 | F/T 압출후 청소작업 시 하부로 투척하는 일이 없도록 하고 박리제 도포전 단부의 안전난간 등 확인철저, 도포면 미끄러짐 사고에 주의토록 교육지도 |
FORM TRAVELLER 이동시 단부에서 추락 | FORM TRAVELLER 이동시 거푸집 등으로 출입통제 | |
전기적 요인 | 불량공도구 사용으로 인한 감전 | 사용전 기계의 외함접지 설치 상태 확인 및 충전부위 절연조치 실시 |
가설전선 피복 노출에 의한 감전 | 가설전선은 가공으로 배선하여 피복이 손상되지 않도록 하고 손상된 전선은 절연처리 하고 작업 | |
작업특성 요인 | FORM TRAVELLER 이동 조작 미숙련공이 하여 낙하 등 사고 | FORM TRAVELLER 이동은 숙련공이 작업 |
14. 연결 SEGMENT 작업_1
분류 | 유해위험요인 | 감소대책 |
인적 요인 | 작업구역내 이해관계자 외 출입 사고 | 작업구역내 이해관계자에 대해 홍보 및 출입통제 |
카고크레인 등 양중기 조작중 조작미숙에 의한 오작동 발생 | 크레인 운전원 자격유무 확인 후 작업투입 | |
기계적 요인 | 연결 단부에서 작업중 추락 | 연결단부 안전난간 설치 및 단부 근접 작업 시 안전대 고리를 걸고 작업 |
폼 운반용 레일 및 체인블록 불량으로 폼의 낙하 | 폼 운반전 레일/체인블럭 확인점검 | |
강선 인장기 설치시 체인블록 고장으로 인한 인장기 낙하 | 강선 인장기 설치전 체인블록 연결부 및 후크해지 장치 점검 | |
강선절단시 고속절달기 날에 접촉 상해 위험, 비산물 및 날파손에 의한 상해위험 | 강선절단시 고속절단기 날 접촉 방지장치 및 근로자 보안경 등 안면보호구 착용철저 | |
F/T 해체 부위로 이동 및 해체하던 중 추락사고 | F/T 해체시 안전벨트 착용 철저 | |
해체작업시 줄걸이 불량으로 인한 해체 자재의 낙하사고 발생 | 해체작업에 사용될 장비 및 로프, 인양고리등 확인 점검 후 작업실시 | |
해체 자재의 적치시 발등, 손가락 등 협착사고 | 해체 자재의 적치시 받침목 등 사용 철저 및 손가락 협착 등 사고에 주의 | |
굽은 철근 펴기 작업시 무리한 행동으로 전도 | 굽은 철근 펴기 작업시 무리한 행동금지 | |
철근 운반중 전도, 부딪힘 사고 위험 | 철근 통로 정리정돈 및 F/T등 빔에 충돌주의 | |
콘크리트 타설시 타설장비에 대한 검토 미흡으로 장비의 전도, 압송관 파손등에 의한 사고 | 콘크리트 타설전 타설장비에 대한 검토 철저 및 운전자 교육 실시 | |
내부폼 해체 작업 시 거푸집의 낙하, 내부 조명 및 정리정돈 불량으로 인한 전도사고 | 내부폼 해체 작업 시 조명설치 및 정리정돈 철저 | |
강선 인장기 설치시 체인블록 고장으로 인한 인장기 낙하 | 강선 인장기 설치전 체인블록 상태확인철저 |
14. 연결 SEGMENT 작업_2
분류 | 유해위험요인 | 감소대책 |
인적 요인 | 내부의 조명불량으로 인한 전도, 협착사고 | 내부 조명시설 설치 및 정리정돈 실시 |
인장후방에서 작업중 강선이 빠져나오면서 근로자가 맞음 | 인장기 측면에서 작업실시 및 강선 고정상 확인 철저 | |
강선절단시 고속절달기 날에 접촉 손가락 절단, 비산물에 의한 안면부 다침사고 | 강선절단시 고속절달기 날 접촉 방지장치 및 근로자 보안경 등 안면보호구 착용철저 | |
기계적 요인 | 펌프카의 전도 | 펌프카의 설치위치, 아웃트리거 설치 상태 확인 |
쉬즈관 취급 작업중 날카로운 끝에 손가락 등 창상 | 쉬즈관 취급 작업중 날카로운 끝에 손가락 등이 접촉되지않도록 주위, 보호장갑 착용 | |
철근사이로 쉬즈관 설치 작업중 철근에 얼굴, 손 찔림사고 | 철근사이로 쉬즈관 설치 작업 시 무리하게 밀거나 당기는 행동금지 | |
쉬즈관 설치 작업중 전도 | 작업장내 정리정돈 실시 | |
정착구 설치시 작업대를 설치하지 않고 작업 중 추락, 낙하 | 정착구 설치시 작업대를 설치하여 작업 | |
해체 자재의 적치시 발등, 손가락 등 협착사고 | 해체 자재의 적치시 받침목 등 사용 철저 및 손가락 협착 등 사고에 주의 | |
전기적 요인 | 전동공구 사용중 누전에 의한 감전 | 사용전 기계의 외함접지 설치 상태 확인 및 충전부위 절연조치 실시, 누전차단기 설치 사용 |
가설전선 피복 노출에 의한 감전 | 가설전선은 가공으로 배선하여 피복이 손상되지 않도록 하고 손상된 전선은 절연처리 하고 작업 | |
작업특성 요인 | 철재 중량물 취급 작업 중 협착 | 중량물 취급 작업에 대한 안전수칙 등 교육 후 작업 |
작업환경 요인 | 연결부위가 폐합됨에 따른 작업환경(조명, 환기 등)의변화에 따른 사고 | 작업전 작업환경변화에 대한 교육 실시 및 안전조치 |
15. 측경간 시공 및 완료 작업_1
분류 | 유해위험요인 | 감소대책 |
인적 요인 | 자재인양하부에 근로자 진입중 낙하물 사고 | 자재 인양 등 장비작업반경내 출입금지조치 |
비계작업발판에서 작업중 추락 | 작업발판을 밀실하게 설치, 안전대 고리 체결 | |
하부슬라브 거푸집 설치 작업중 추락 | 작업발판을 설치하고 작업시 안전대를 걸고 작업 | |
거푸집 동바리 설치 작업시 추락 | 동바리설치 작업 시 발판설치, 안전대고리를 걸고 작업 | |
동바리의 강도 부족, 고정 미흡으로 인한 붕괴 | 동바리 설치 작업전 구조검토, 동바리의 종류 선정, 동바리 조립도를 작성하고 연결핀 등 고정핀체결 철저 | |
동바리 등 거푸집 자재를 인양하던 중 장비전도 | 크레인 사용시 아웃트리거 최대 확장 사용, 받침은 철판 등 설치하여 지반침하방지조치 후 작업 | |
자재 인양 중 줄걸이 방법 및 상태 불량으로 자재 낙하 | 인양시 2줄걸이로 견고하게 결속하고 줄걸이를 인양전 점검, 유도로프 설치 사용 | |
기계적 요인 | 거푸집동바리 하부 지반침하로 붕괴 | 동바리 하부다짐 / 콘크리트 보강 시공철저 |
비계작업발판의 도괴 | 비계 작업발판은 벽연결 및 버팀 설치 | |
고속절단기로 자재 가공 및 절단작업 중 창상 | 고속회전체 사용중 면장갑 착용금지(가죽제 장갑착용) 회전체 날접촉방지 덮개 설치 |
|
가공된 철근을 작업발판 위에 과적하여 비계 및 작업대 붕괴 | 발판위에 과적하지 않도록 발판의 특성에 맞는 적재중량 표기 및 준수 | |
철근조립 작업 중 발판이 아닌 곳에서 작업 중 추락 | 규격 발판외의 것을 사용하지 않도록 교육 및 관리 | |
철근절곡기, 절단기 작업중 협착 등 사고 | 철근가공기 사용시 안전장치 확인 및 한번 가공시 정해진 수량의 철근 가공 준수 | |
단부에서 철근 및 거푸집 설치 작업중 추락 | 단부쪽 철근, 거푸집 조립 작업발판 설치 및 안전난간 설치 철저 |
15. 측경간 시공 및 완료 작업_2
분류 | 유해위험요인 | 감소대책 |
인적 요인 | 강선 인장기 설치시 체인블록 고장으로 인한 인장기 낙하 | 강선 인장기 설치전 체인블록 연결부 및 후크해지 장치 점검 |
강선절단시 고속절달기 날에 접촉 상해 위험, 비산물 및 날파손에 의한 상해위험 | 강선절단시 고속절단기 날 접촉 방지장치 및 근로자 보안경 등 안면보호구 착용철저 | |
콘크리트 타설시 타설장비에 대한 검토 미흡으로 장비의 전도, 압송관 파손등에 의한 사고 | 콘크리트 타설전 타설장비에 대한 검토 철저 및 운전자 교육 실시 | |
내부폼 해체 작업 시 거푸집의 낙하, 내부 조명 및 정리정돈 불량으로 인한 전도사고 | 내부폼 해체 작업 시 조명설치 및 정리정돈 철저 | |
강선 인장기 설치시 체인블록 고장으로 인한 인장기 낙하 | 강선 인장기 설치전 체인블록 상태확인철저 | |
내부의 조명불량으로 인한 전도, 협착사고 | 내부 조명시설 설치 및 정리정돈 실시 | |
기계적 요인 | 인장후방에서 작업중 강선이 빠져나오면서 근로자가 맞음 | 인장기 측면에서 작업실시 및 강선 고정상확인 철저 |
강선절단시 고속절달기 날에 접촉 손가락 절단, 비산물에 의한 안면부 다침사고 | 강선절단시 고속절달기 날 접촉 방지장치 및 근로자 보안경 등 안면보호구 착용철저 | |
펌프카의 전도 | 펌프카의 설치위치, 아웃트리거 설치 상태 확인 | |
해체 자재의 적치시 발등, 손가락 등 협착사고 | 해체 자재의 적치시 받침목 등 사용 철저 및 손가락 협착 등 사고에 주의 | |
전기적 요인 | 불량공도구 사용으로 인한 감전 | 사용전 기계의 외함접지 설치 상태 확인 및 충전부위 절연조치 실시 |
가설전선 피복 노출에 의한 감전 | 가설전선은 가공으로 배선하여 피복이 손상되지 않도록 하고 손상된 전선은 절연처리 하고 작업 | |
작업특성 요인 | 중량물 취급 작업 중 협착 | 중량물 취급 작업에 대한 안전수칙 등 교육 후 작업 |
작업환경 요인 | 교대구간 시공으로 교대뒤채움을 하지 않은 상태에서 작업중 단부의 발생에 따른 추락위험 |
교대 뒤채움 등 작업을 선시공하여 작업장 진입로 확보 등을 통한 위험환경 개선 |
교량상부공 FCM 작업 재해 사례

- 재해개요
- 피재자가 교량 빔(R.P.F BEAM)의 U자형 철근 피복두께를 확보하기 위해 꺽쇠로 철근 벤딩작업을 진행하던 중 꺽쇠가 빠지면서 교량하부 약 5.5m아래 바닥으로 추락하여 사망한 재해
- 재해원인
- 작업발판 미설치
- 작업방법 불량
- 안전대책
- 교량 빔 상부에서 철근조립작업 등을 진행하는 때에는 작업발판을 설치하고 발판 단부에는 안전난간을 설치하는 등 추락 방호조치를 하거나 교량 빔의 철근조립작업을 지상에서 미리 실시한 후 빔을 거치하는 등 작업방법을 개선하여야 함
- 형태
- 추락

- 재해개요
- 이동식크레인(40ton)으로 기초용 철근다발(0.8ton)을 운반 하던중 크레인의 러핑(Ruffing) 와이어로프가 파단되며 지브가 낙하하여, 유도자인 피재자가 지브에 맞아 사망한 재해
- 재해원인
- 와이어로프가 시브(Sheave)에서 이탈
- 작업 시작전 점거 미실시
- 부적격한 와이어로프 사용
- 안전대책
- 크레인 작업중 중량물을 작업자가 좌우 또는 전후로 밀고 당기는 작업금지 및 과도한 지브의 흔들림 발생시 기복 동작 금지
- 와이어로프의 한가닥에서 한 꼬임의 수가 10%이상 파단시 와이어로프 교체
- 크레인 작업전 와이어로프가 통하는 곳은 이상유무를 철저히 확인한 후 작업
- 형태
- 낙하

- 재해개요
- 철근 야적장소에서 백호우를 사용하여 철근 운반작업을 진행하던 중 철근다발의 불균형으로 인한 줄걸이 수정을 위해 붐대를 내리는 순간, 붐대 고리에 걸려있던 섬유벨트 1개가 고리에서 이탈되면서 철근다발이 하부에 있던 피재자를 강타하여 사망한 재해
- 재해원인
- 용도외 사용
- 중량물취급작업계획 미수립
- 안전대책
- 백호를 사용한 철근인양작업 등 주용도외의 장비사용을 금하여야 하며, 철근다발 등의 중량물을 취급하는 작업을 하는 때에는 중량물의 종류 및 형상, 작업용 기계, 취급방법 및 순서 등이 포함된 작업계획을 작성한 후, 이에따라 작업을 진행하여야 함
- 형태
- 낙하

- 재해개요
- 기초에 배근할 용도인 철근을 절단하기 위하여 휴대용 유압 철근절단기(220V 1,9Kw)를 조작하던 중 누전으로 인하여 감전되어 사망한 재해
- 재해원인
- 접지 미흡
- 누전차단기 미설치
- 안전대책
- 이동식 전기기계․기구를 사용하는 때에는 외함 → 3심코드(접지선 내장) → 접지형 플러그, 콘센트 → 분전반 접지유도 → 대지접지(접지저항 100전Ω이하) 순으로 접지회로를 구성하여야 함
- 150V를 초과하는 곳에서 사용하는 이동식 전기기계․기구에는 정격감도전류가 30㎃이하이고 작동시간 0.03초이하인 누전차단기가 경유되도록 하여야 함
- 형태
- 감전

- 재해개요
- 고가교 슬래브 콘크리트 타설작업 중이던 피재자가 콘크리트 진동다짐기의 다짐봉을 교체하던 중 진동다짐기 본체에서 발생한 누설전류에 의해 감전되어 사망한 재해
- 재해원인
- 전동공구 사용점 점검 미흡
- 접지 및 누전차단기 설치 미흡
- 안전대책
- 콘크리트 진동다짐기 등 금속제 외함의 전기기구는 접지회로를 구성하여 대지저항이 100Ω이하(3종접지)가 되도록 접지를 실시하거나 정격감도전류가 30mA이하이고 작동시간은 0.03초 이내인 누전차단기를 설치하고 경유토록 하여야 함
- 형태
- 감전

- 재해개요
- 빔의 프리스트레싱용 강선 삽입작업 중 출구측 작업자인 피재자가 삽입구에서 쏘아보낸 강선에 왼쪽 가슴을 강타 당하여 사망한 재해
- 재해원인
- 작업방법 불량(출입금지 조치 미흡)
- 운전시작전 확인 소홀
- 안전대책
- 강선 출구측에는 근로자의 접근을 방지하기 위한 접근금지구역을 설정하고 이를 준수토록 교육 및 순찰 철저
- 운전 시작전 확인 철저 (기계의 운전을 시작하기 전에 근로자의 배치, 안전교육, 작업방법, 방호 조치 등 안전조치사항을 점검하고, 작업지휘자를 고정 배치하여 근로자의 불안전한 행동에 대한 관리감독 철저)
- 형태
- 비래

- 재해개요
- 철근 야적장소에서 백호우를 사용하여 철근 운반작업을 진행하던 중 철근다발의 불균형으로 인한 줄걸이 수정을 위해 붐대를 내리는 순간, 붐대 고리에 걸려있던 섬유벨트 1개가 고리에서 이탈되면서 철근다발이 하부에 있던 피재자를 강타하여 사망한 재해
- 재해원인
- 용도외 사용
- 중량물취급작업계획 미수립
- 안전대책
- 백호를 사용한 철근인양작업 등 주용도외의 장비사용을 금하여야 하며, 철근다발 등의 중량물을 취급하는 작업을 하는 때에는 중량물의 종류 및 형상, 작업용 기계, 취급방법 및 순서 등이 포함된 작업계획을 작성한 후, 이에따라 작업을 진행하여야 함
- 형태
- 낙하

- 재해개요
- 주두부 해체예정인 H형강에 샤클 체결후 T/C로 인양하던 중 주두부 철근에 보조로프를 거치한 후 신호중이던 피재자의 보조로프를 H형강이 가격하면서 그 충격으로 보조로프가 철근으로부터 이탈되어 약 28m아래 지상으로 추락ㆍ사망한 재해
- 재해원인
- 작업반경내 출입금지조치 미흡
- 안전대부착설비 미설치, 안전대 미착용
- 안전대책
- FCM 주두부의 가시설해체 작업 시 H형강 등을 T/C로 인양하는 때에는 작업반경내에 기타 근로자가 접근하지 못하도록 조치하고, 탈락위험이 없이 견고하게 고정된 수직구명줄에 안전대를 결속한 후 작업을 진행하여야 함
- 형태
- 추락

- 재해개요
- 교각 주두부 하부 가시설인 거푸집 지지용 철골 브라켓(Bracket, 약 22ton)을 지면으로 내리던 중, 돌출물에 의한 와이어로프가 파단되면서 철골 브라켓이 낙하하여 하부에서 신호작업을 수행하던 피재자를 가격ㆍ사망한 재해
- 재해원인
- 중량물취급작업계획서 작성 미흡
- 신호체계 미흡
- 안전대책
- 철골브라켓 등 중량물 인양작업을 진행하는 때에는 작업순서 및 방법, 인양장비 사용 등이 포함된 작업계획을 작성하고 준수하되 돌출물로 인한 간섭여부 등에 대해 사전에 철저한 조사 후 작업을 진행하여야 하며, 3대의 크레인을 사용하여 인양작업을 하는 때에는 인양 및 정지작업이 신속하게 일치되도록 사전 신호체계를 철저히 수립하여야 함
- 형태
- 추락, 비래

- 재해개요
- 펌프카 우측 후방 아우트리거 하부 지반이 침하되어 아우트리거를 받치고 있던 각재가 부러지면서 콘크리트 펌프카가 전도되면서 펌프카 붐대에 협착되어 사망
- 재해원인
- 사전조사 미흡
- 아웃트리거 받침 선정 불량
- 안전대책
- 콘크리트 타설전 펌프카 설치 위치의 하부 지반의 상태를 확인하고 다짐 등 조치
- 지반이 불안정한 곳은 철판등으로 아웃트리거 받침 사용하여 설치
- 형태
- 전도, 협착
반응형
'안전관리자 > 위험성 평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지붕(박공) 작업 위험성 평가 (0) | 2024.06.21 |
---|---|
CABLE 포설 작업 위험성 평가 (0) | 2024.06.20 |
CABLE TRAY 설치 작업 위험성 평가 (0) | 2024.06.19 |
옥상조형물 설치 작업 위험성 평가 (1) | 2024.06.19 |
메탈패널 작업 위험성 평가 (0) | 2024.06.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