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 제ㆍ개정 이유
- 특수건강진단기관이 없는 시ㆍ군의 야간작업 사업장 및 근로자의 의료 접근성을 개선하고, 건강검진을 보다 편리하게 받을 수 있도록 야간 특수건강진단기관의 수검 가능 근로자 범위를 확대함.
- 산업안전보건법 시행규칙 개정(’25.1.1. 시행) 사항을 반영하여 건강진단 관련 규정을 정비하고,
- 어려운 용어나 잘못된 기재 내용을 정비하여 행정 규칙을 명확하고 이해하기 쉽게 개정함.
◇ 주요 개정 내용
가. 야간작업 특수건강진단기관의 수검 가능 근로자 확대(제15조)
- 2018년부터 ‘야간작업’에 한하여 특수건강진단기관이 없는 시·군의 일반 검진기관 중 교육 요건을 충족한 기관을 ‘야간작업 특수건강진단기관’으로 지정하여 운영 중임.
- 하지만 업무(지정) 지역 제한으로 인해 근거리의 야간작업 특수건강진단기관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먼 지역의 기관을 이용해야 하는 불편 발생.
- 이에 ‘해당 특수건강진단기관에 내원한 근로자’도 수검 가능하도록 범위를 확대하여 근로자의 불편을 해소함.
나. 건강진단결과 송부 종류에 ‘배치전건강진단’ 추가(제16조)
- 산업안전보건법 시행규칙 개정 사항(’25.1.1. 시행)에 따라 특수건강진단기관이 공단에 전산으로 송부하는 건강진단 입력 항목에 ‘배치전건강진단’을 추가함.
- 이를 통해 근로자의 배치 전 건강 상태를 보다 체계적으로 관리할 수 있도록 함.
다. 어려운 용어 및 오기 정비
- 법제처의 「행정규칙 속 어려운 용어 정비계획」에 따라 일부 용어를 순화하고 오기를 수정함.
- 정비 대상 용어 및 변경 내용
- 폭로 → 노출
- 흡음 → 흡음(吸音)
- 송기 → 송기(送氣)
- 수진 → 진단 실시
- 아크용접 → 아크용접(arc welding)
- 정비 대상 용어 및 변경 내용
- 용어를 명확하게 정리하여 근로자 및 관계자의 이해도를 높이고 행정 효율성을 향상시킴.
반응형
'안전관리자 > 고용노동부 예산 및 법령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조문별 개정이유서(산업안전보건법 시행규칙 일부개정령안_2025.04.09) (0) | 2025.04.09 |
---|---|
산업재해예방시설자금 융자금 지원사업 및 클린사업장 조성지원사업 운영규정(제2025-17호) 일부개정 (0) | 2025.04.03 |
2025년 6월 1일부터 온열질환 예방, 사업주 의무 법제화 시행 (0) | 2025.03.28 |
유해·위험작업의 취업 제한에 관한 규칙 일부개정령(고용노동부령 제433호) (0) | 2025.02.22 |
산업안전보건법 시행규칙 일부개정령안 입법예고 요약 (2025-02-12) (0) | 2025.02.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