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개요
- 습기가 많은곳, 근본적으로 방수가 어려운 지하층에 물이 잘 빠지는 배수판을 설치하여 표면으로 물이 스며나오지 않게 하는 작업을 말한다.
- 자재운반시 장비와의 충돌, 지하에서 작업중 조명불량으로 개구부로 추락, 전기시설 및 전동공구 누전에 의한 감전사고등이 발생한다.
단위작업 분류 및 순서
- 자재반입 및 작업준비
- 바탕처리 및 조인트
- 배수판 설치 작업
- 콘크리트 타설 작업
- 작업 후 정리정돈 작업
1. 자재반입 및 작업준비
분류 | 유해위험요인 | 감소대책 |
인적 요인 | 지게차로 시멘트 하역중 충돌 | 지게차 사용 전 점검 (후방경보기, 후방카메라 등 안전장치 점검) |
하부받침목 설치 작업중 손가락 협착 | 받침목 설치 완료 후 자재 적재 | |
자재하역 시 시야 미확보로 충돌 및 협착 | 장비를 이용한 자재하역 시 유도원 배치 | |
기계적 요인 |
자재 과다 야적으로 인한 사고 | 자재 야적시 1.5m이상 적재금지 |
지게차의 급회전/과속 운전으로 적재 중이던 벽돌 낙하 | 지게차 과속운전 금지, 신호수 배치 | |
전기적 요인 | 공도구 사전점검 미흡으로 감전 | 공도구의 성능 및 방호장치를 확인, 필요 시 수리 |
공도구접지 탈락으로 감전 | 공도구의 접지 및 절연상태 사전 확인 | |
작업환경 요인 | 정리정돈 미흡으로 전도 | 자재 정리정돈 및 작업공간 확보 |
2. 바탕처리 및 조인트 작업
분류 | 유해위험요인 | 감소대책 |
인적 요인 | 파취 / 할석 작업시 비산 안구손상 | 보안경 착용 철저 |
기계적 요인 | 공도구, 투광등 사용시 누전에 의한 감전 | 공도구 사용전 접지 및 피복절연상태 확인, 누전차단기 상태 확인 |
청소작업시 분진에 의한 호흡기 질환 | 방진마스크 착용 | |
개인보호구 미착용에 의한 낙하, 충돌시 사고 | 안전모 등 개인보호구 착용 철저 | |
파탕면 그라인딩 작업시 날 접촉 | 그라인더 보호덮개 설치 | |
전기적요인 | 절연이 불량한 공도구 사용으로 인한 감전 | 사용전 전동기계기구 사전점검 필증부착후 사용, 기계의 외함 접지 설치 상태 확인 및 충전부위 절연조치 |
가설전선 피복 노출에 의한 감전 | 가설전선은 가공으로 배선하여 피복이 손상되지 않도록 하고 손상된 전선은 절연처리 하여 작업 | |
재료적 요인 | 재료 불량에 의한 사고 | 방수액 재료 확인 점검 철저 |
작업특성 요인 | 작업계획 미수립 작업중 사고 | 작업계획 작성/검토/승인/ 교육후 작업 실시 |
작업환경 요인 | 조명 부적합으로 인한 충돌, 전도 | 작업장 조명 설치 |
3. 백수판 설치 작업
분류 | 유해위험요인 | 감소대책 |
인적요인 |
장시간 쭈그림 작업으로 관절손상, 경련 | 적절한 휴식 및 스트레칭 실시 |
배수판 절단 작업시 손절단, 비산 | 그라인더 방호덮개, 안전장갑 착용, 방진마스크 착용 | |
개구부 주변 작업중 추락 | 개구부 덮개 설치 및 안전난간대 설치 확인 후 작업 | |
기계적 요인 | 작업구간 높이 협소로 충돌, 전도 | 작업구간에 대한 사전 확인 후 작업 |
전기적요인 | 절연이 불량한 공도구 사용으로 인한 감전 | 사용전 전동기계기구 사전점검 필증부착후 사용, 기계의 외함 접지 설치 상태 확인 및 충전부위 절연조치 |
가설전선 피복 노출에 의한 감전 | 가설전선은 가공으로 배선하여 피복이 손상되지 않도록 하고 손상된 전선은 절연처리하여 작업 | |
재료적 요인 | 재료 불량에 의한 사고 | 방수액 재료 확인 점검 철저 |
작업특성 요인 | 작업계획 미수립 작업중 사고 | 작업계획 작성/검토/승인/ 교육후 작업 실시 |
작업환경 요인 | 조명 부적합으로 인한 충돌, 전도 | 작업장 조명 설치 |
4. 콘크리트 타설 작업
분류 | 유해위험요인 | 감소대책 |
인적 요인 | 작업중 미끄러져 전도 | 안전장화 착용 |
장갑미사용으로 인한 피부질환 | 고무장갑 착용 후 작업 | |
안전난간대 해체후 생명줄 미설치상태에서 작업중 추락 | 생명줄 설치 및 안전벨트 착용 및 고리체결 | |
기계적 요인 | 콘크리트 운반 트럭과 펌프카 사이에 협착 | 충돌방지 조치 및 신호수 배치 |
조명불량에 의한 충돌, 전도, 추락 | 작업에 적합한 조명 설치 | |
전기적요인 | 절연이 불량한 공도구 사용으로 인한 감전 | 사용전 전동기계기구 사전점검 필증부착후 사용, 기계의 외함 접지 설치 상태 확인 및 충전부위 절연조치 |
가설전선 피복 노출에 의한 감전 | 가설전선은 가공으로 배선하여 피복이 손상되지 않도록 하고 손상된 전선은 절연처리 하여 작업 | |
작업특성 요인 | 작업계획 미수립 작업중 사고 | 작업계획 작성/검토/승인/ 교육후 작업 실시 |
작업환경 요인 | 시멘트액이 피부에 접촉 피부 질환 | 작업시 복장은 피부가 노출되지 않도록 하고 방수가 되는 보호구 등 착용 |
5. 정리정돈 작업
분류 | 유해위험요인 | 감소대책 |
인적 요인 | 개구부 주변 정리작업시 안전대 미착용으로 인한 추락 | 개구부 주변 작업시 안전대 고리 체결 |
청소작업시 방진마스크 및 보안경 미착용으로 인한 사고 | 작업시 방진마스크 및 보안경 착용 | |
기계적 요인 | 작업선 방치로 전도 | 작업종료 후 전동공구 및 전선정리 |
작업잔재 방치로 전도 | 자재방치 금지 및 정리정돈 실시 | |
작업잔재로 인해 안전통로 미확보 전도 | 작업 후 정리정돈 안전통로 확보 | |
위험물(폐용기) 방치로 화재 | 작업 후 분리수거 철저 | |
전기적요인 | 절연이 불량한 공도구 사용으로 인한 감전 | 사용전 전동기계기구 사전점검 필증부착후 사용, 기계의 외함 접지 설치 상태 확인 및 충전부위 절연조치 |
가설 전선 피복 노출에 의한 감전 | 가설전선은 가공으로 배선하여 피복이 손상되지 않도록 하고 손상된 전선은 절연처리 하여 작업 |
배수판 방수 작업 재해 사례

- 재해개요
- 펌프카 보조기사가 경사진 지반을 따라 후진하던 레미콘 차량 후미와 펌프카 호퍼하부 압송배관 사이에 협착되어 사망
- 재해원인
- 신호수 및 유도자 미배치
- 경사면 정차시 안전조치 미흡
- 안전대책
- 차량계 하역운반기계 운행시 유도자 배치
- 레미콘 차량등 차량계 하역운반기계를 사용하여 작업을하는 때에는 운행시 근로자에게 위험이 미치지 않도록 유도자를 배치하고 일정한 신호방법을 정하여 신호
- 차량계 하역운반기계 운행전 정비 및 경사면 정차시 안전조치
- 형태
- 협착

- 재해개요
- 지하 1층의 바닥 및 집수정에 고인 물을 지상으로 양수하기 위하여 가설 전선 설치작업중 감전되어 사망한 재해
- 재해원인
- 누전차단기 불량
- 습윤장소 부적합한 전기기기 사용
- 불안전한 작업방법
- 안전대책
- 분전반에 설치된 누전차단기는 사용전에 작동여부를 수시로 점검하여 항시 정상 작동될 수 있도록 조치
- 습윤한 장소에서 사용하는 꽂음접속기는 방수형 등 당해 장소에 적합한 것을 사용, 전용의 접지선이 연결되어 있는 가설전선을 사용
- 전기기계·기구 취급시 전원을 차단한 정전상태에서 작업을 하고 전원을 마지막에 투입토록 함
- 형태
- 감전

- 재해개요
- 지하1층 펌핑(Pumping)작업을 위해 드라이창으로 연결된 배수용 호스의 배출상태를 확인하던 중 메인분전반에서 인출된 콘센트에 접촉ㆍ감전하여 사망한 재해
- 재해원인
- 방수형콘센트 미사용
- 절연보호구 미착용
- 안전대책
- 습윤한 장소에는 절연효과가 큰 방수형 콘센트 등을 사용
- 해당 근로자가 젖은 손으로 취급하지 않도록 절연용 보호구(절연장갑, 절연화 등)를 착용한 상태에서 작업하여야 함
- 형태
- 감전
반응형
'안전관리자 > 위험성 평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철탑 헬기 작업 위험성 평가 (1) | 2024.06.13 |
---|---|
철탑 조립 작업 위험성 평가 (0) | 2024.06.13 |
우레탄방수 작업 위험성 평가 (1) | 2024.06.12 |
아스팔트방수 작업 위험성 평가 (0) | 2024.06.12 |
액체방수 작업 위험성 평가 (0) | 2024.06.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