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안전관리자/질의사항

소화기 점검표 부착 의무 및 점검 주기, 방법 총정리

by 안전관리자kim 2025. 4. 30.
반응형

소화기 점검표 부착 의무 및 점검 주기, 방법 총정리

소화기 점검과 관련하여 자주 묻는 질문을 정리하였습니다.
특히 "소화기 점검표를 꼭 부착해야 하는지", "점검 주기는 어떻게 되는지", "분말소화기는 반드시 흔들어야 하는지"에 대한 정확한 답변을 담았습니다.
건설 및 제조업 현장에서 실무적으로 꼭 알아야 할 소화기 점검 기준을 자세히 안내드리겠습니다.


Q1. 소화기에 점검표를 꼭 부착해야 하나요?

소화기 점검표 부착에 대한 의무는 「소방시설 설치 및 관리에 관한 법률」,「소화기구 및 자동소화장치의 화재안전성능기준」, 「소화기구 및 자동소화장치의 화재안전기술기준」어디에서도 법적으로 규정하고 있지 않습니다.

 

따라서 소화기에 점검표를 부착하지 않더라도 법 위반 사항이 되지 않음.
하지만 관리상 점검내역을 기록하고자 부착하는 것은 권장되는 사항임.

 

✅ 정리

  • 의무사항 아님
  • 관리 목적으로 부착 가능함
  • 부착하지 않아도 법적 문제 없음

 

Q2. 소방시설을 월 1회 점검해도 법적으로 문제가 없나요?

모든 소방시설은 월 1회 점검한다고 해서 법 위반이 되지는 않습니다.
다만 법적 최소 점검 기준은 다음과 같음.

  • 자체점검
    • 작동점검 또는 종합정밀점검연 1회 이상 실시해야 함.
    • 근거 :「소방시설 설치 및 관리에 관한 법률 시행규칙」 별표 3.
  • 공공기관 추가의무
    • 공공기관은 외관점검을 월 1회 이상 실시해야 하며,
    • 그 점검결과를 2년간 자체 보관해야 함.

✅ 정리

  • 일반 사업장은 연 1회 이상 자체점검 필요
  • 공공기관은 외관점검 월 1회 + 결과 2년간 보관
  • 월 1회 점검 자체는 법 위반 아님 (오히려 권장됨)

 

Q3. 분말소화기는 점검할 때 꼭 뒤집거나 흔들어야 하나요?

분말소화기는 점검할 때 반드시 뒤집거나 흔들어야 하는 것은 아닙니다.

현행 규정(「소화기의 형식승인 및 제품검사의 기술기준」)에 따르면,

  • 소화기 내부 분말약제는 방습가공누출방지 처리가 되어있어,
  • 정상적인 보관 상태에서는 별도로 흔들지 않아도 성능이 유지되도록 제작되어 있음.

소화기 점검 시에는 다음 사항을 확인하는 것이 중요함.

  • 외관 변형 여부
  • 부식 발생 여부
  • 압력계(게이지) 정상 여부

✅ 정리

  • 반드시 뒤집거나 흔들 필요 없음
  • 외관 및 압력 상태 점검이 중요함
  • 필요시 가볍게 흔들어보는 정도는 무방함

 

 

소화기 점검에 있어 점검표 부착은 법적 의무가 아니며, 점검주기는 연 1회 이상 자체점검을 실시해야 하고, 분말소화기는 반드시 흔들 필요 없이 외관과 압력상태 점검에 집중하면 됩니다.
실제 현장에서는 법정 기준을 준수하되, 현장 실정에 맞게 추가 관리를 시행하는 것이 바람직함.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