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작업환경 측정 개요
- 작업환경의 실태를 파악하기 위해서 사업장 및 근로자에 대하여 사업주가 측정계획을 수립하여 시료채취, 분석, 평가하는 제도이다
- 사업장의 소음, 온도, 분진, 가스 등 근로자의 건강을 해치는 유해물질 등에 대한 노출정도를 알수 있다.
작업환경 측정의 필요성
- 작업환경 개선을 위한 기초자료 확보
- 직업병 발생 근로자의 과거 노출 수준 판단 근거로 활용
- 사업장 근로자의 건강보호
작업환경 측정대상 사업장
산업안전보건법 시행규칙 [별표 21]
작업환경측정 대상 유해인자(제186조제1항 관련) [시행 2023.09.28]
- 화학적 인자 (184종)
- 유기화합물(115종), 금속류(24종), 산 및 알카리류(17종), 가스 상태 물질류(15종), 허가대상 유해물질(12종), 금속가공유(1종)
- 물리적 인자
- 8시간 시간가중평균 80dB 이상의 소음
- 안전보건규칙 제558조에 따른 고열
- 분진
- 광물성 분진, 곡물 분진, 면 분진,목재 분진, 석면 분진, 용접 흄, 유리섬유
- MSDS 15번 항목 “작업환경 측정대상 물질” 에 표기된 물질
- 작업환경측정대상 제외 사업장
- 임시작업 (월 24시간 미만 작업)
- 단시간 작업 (1일 1시간 미만 작업)
- 허용 소비량을 초과하지 않는 작업장 (유해물질 < 작업장 부피/15)
- 습식 분진 작업장
작업환경 측정 주기
- 최초 측정 : 측정 대상이 된 날부터 30일 이내
- 정기적 측정
- 최초 측정 이후 매 6개월 마다
- 측정 결과에 따라 3개월에 1회 (발암 물질 노출 기준 초과)
- 12개월에 1회 (최근 2회 측정 결과 노출 기준 미만)
작업환경 측정 기관
- 국가 및 지방자치단체소속기관
- 의료법에 대한 종합병원
- 작업환경측정하려는 법인 등
작업환경 측정겨로가 사후 관리
- 측정결과 보고
- 시료채취 마친 날부터 30일 이내 관할지방 노동관서장에게 제출
- 측정기관이 안전보건공단에 전산자료로 제출
- 측정결과에 따른 작업환경 개선 등 조치
- 노출 기준 초과시 시설, 설비의 설치, 개선, 건강진단 등을 조치하고
- 시료채취를 마친 날로 60일 이내 개선 증명서류 제출
- 근로자의 알 권리 보장
- 작업환경 측정시 근로자 대표 입회
- 작업환경 측정 결과 게시, 근로자에게 주지
- 예비조사 단계에서 근로자 대표 참여 (투명성, 신뢰성 제고)
- 서류의 보존
- 작업환경 측정 결과표 - 5년간 보존
- 허가대상 유해물질, 특별관리 물질 - 3년간 보존
작업환경 측정 비용 지원
- 지원대상
- 산재보상보험법 적용 받은 20인 미만 사업장 중 측정 대상 유해 인자 보유 사업장
- 지원금액
- 신규 측정 사업장 : 최대 100만원
- 기존 측정 사업장 : 최대 40만원
- 신청방법
- 산업안전보건공단 홈페이지 “작업환경 측정, 확인, 신청”에서 신청
반응형
'보건관리자 > 보건' 카테고리의 다른 글
근골격계부담작업 (11) | 2024.10.23 |
---|---|
직무스트레스 관리 (14) | 2024.08.29 |
심폐소생술(CPR), '법정의무교육' 인가요? (0) | 2024.07.02 |
근골격계유해요인 조사 (0) | 2024.06.10 |
근로자 건강진단 (0) | 2024.05.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