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개요
- 건축물에서 인간이 생활을 하는데 필요한 물을 공급하기 위한 시설을 설치하는 작업을 말한다.
- 지게차등을 이용한 자재 하역, 운반시 자재의 전도. 용접작업시 화재폭발, 누전에 의한 감전, 사다리 이용시 추락 등의 사고가 발생한다.
단위작업 분류 및 순서
- 자재 반입 및 준비 작업
- 찬넬 및 바닥판 설치 작업
- 측판 및 앵글 설치
- 상판 설치 작업
- 보온 및 정리정돈
1. 자재 반입 및 준비 작업
분류 | 유해위험요인 | 감소대책 |
인적 요인 | 지게차 사용중 충돌 협착 | 지게차 사용시 전담신호수 배치, 작업반경내 출입통제, 후방감시카메라 확인 |
장비점검 미흡으로 인한 작업중 사고 | 장비종류에 따른 점검체크리스트를 작성하여 점검 | |
장비작업 전 신호수 미지정에 의한 사고 | 장비작업 전 신호수를 지정하고 신호수 교육을 실시 | |
지게차 사용중 타 공사 인접하여 작업중 사고 | 지게차 이동동선에 자재, 공사 등의 확인 점검 | |
기계적 요인 | 지게차에 과적하여 운행 중 낙하, 충돌 | 자재 운반시 낙하 및 굴림을 방지조치 및 운반로 사전 안전조치(개구부 및 요철부 제거) |
자재를 적재한 후 이동통로 미확보에 의한 근로자 이동 중 사고 | 자재 적재방향 및 보행 통로 확보 | |
하역장소에 타 공종 근로자 통행 중 충돌 | 하역장소에 근로자 통행 및 타 작업과의 간섭이 발생하지 않도록 위치 선정하여 작업 | |
지하램프 전방운전 주시 미흡으로 협착 | 램프에 항시 신호수 대기하여 상호신호 확인 | |
작업특성 요인 | 작업위치에 대한 사전조사 미흡에 따른 사고 | 자재적재 장소 및 운반 장소에 대해 사전파악 후 개구부 및 작업 간섭 공종과 협의 하여 작업 진행 |
작업환경 요인 | 자재 반입 적재 장소 미확보로 인한 사고 | 자재 적재장소를 확보하고 하역 안전작업 계획을 수립하여 작업 실시 |
2. 찬넬 및 바닥판 설치 작업
분류 | 유해위험요인 | 감소대책 |
인적 요인 | 고속절단기로 절단작업중 자재비산에 의한 사고 | 자재 형상에 따른 고정방법 준수하여 바이스로 고정한 후 작업 실시 |
고속절단기로 작업중 비산되는 날에 맞음 | 고속절단기 커버 및 보조커버의 부착상태를 확인 후 작업 | |
기계적 요인 | 가공자재 크레인 소운반 작업중 낙하 및 충돌 | 소운반 작업 전 줄걸이 점검 및 작업구간 내 출입금지 |
자재 가공장 정리정돈 미흡에 의한 전도 | 가공작업장은 수시로 정리정돈하고 통로를 구분하여 관리 | |
전기적 요인 | 고속절단기 등 공도구 반입시 점검 미흡으로 인한 감전사고 | 모든 전동공구는 사용 전 점검 실시 후 필증 부착 |
가설전선 피복 노출로 인한 감전 | 가설전선은 3p이상의 전선으로 피복이 벗겨지지 않도록 관리하고 수시로 점검 실시 | |
교류아아크 용접기 사용 중 감전 | 교류아아크 용접기 사용 전 점검 및 안전장치(자동전격방지기) 설치 | |
작업특성 요인 | 절단 가공 등 작업시 화재 위험 | 절단 작업장은 인화성 물질이 없는 장소에서 불티비산 방지장치, 소화기 비치 등 화재 위험 방지 조치 |
작업환경 요인 | 용접작업시 안구 및 호흡기 사고 | 용접작업시 보안면 및 방진마스크 착용 철저 |
3. 측판 및 앵글 설치 작업
분류 | 유해위험요인 | 감소대책 |
인적 요인 | 틀비계 상부에 과적 등에 의한 사고 | 작업발판에 적재하중(400kg/1틀)을 준수하고 수시로 발판 상태를 확인하여 이상유무 확인 |
틀비계 작업중 편심이 발생하여 비계가 균형을 잃고 전도 위험 | 이동형 틀비계 설치시 아웃트리거 설치 | |
기계적 요인 |
바닥 개구부에 근접작업중 전도 추락 | 틀비계 설치 장소 개구부 덮개 설치 |
달줄 및 달포대를 설치하지 않거나 이용하지 않고 자재나 공구를 운반도중 낙하 사고 | 달줄 및 달포대를 설치하고 이용하여 자재나 공구를 운반 | |
틀비계 작업중 불시 이동으로 추락사고 위험 |
틀비계 구름방지장치 브레이크를 설치하여 작업중 불시 이동방지 |
|
안전난간에 올라서서 작업중 추락 |
작업시 안전난간을 딛고 올라서서 작업하지 않는다 |
|
전기적 요인 | 불량 공도구 사용으로 인한 감전 |
사용 전 기계의 외함접지 설치 상태 확인 및 충전부위 절연조치 실시 |
가설전선 피복손상으로 인한 충전부 접촉으로 감전 |
가설전선 가공설치 및 손상부 절연조치 |
4. 상판 설치 작업
분류 | 유해위험요인 | 감소대책 |
인적 요인 | 조명불량에 의한 전도, 추락 | 사각지대가 없도록 작업장 내 조명 설치 |
기계적 요인 | 저수조 상부 마감 작업을 위한 이동 중 추락 | 상부로 이동할 수 있는 통로 설치 |
바닥 개구부에 근접작업중 전도 추락 | 바닥 개구부 등 사전 확인하고, 안전조치 | |
이동식 틀비계에 근로자 탑승한 채 이동 중 사고 | 상부 근로자 탑승 중 이동금지 | |
달줄 및 달포대를 설치하지 않거나 이용하지 않고 자재나 공구를 운반도중 낙하 사고 | 달줄 및 달포대를 설치하고 이용하여 자재나 공구를 운반 | |
안전난간에 올라서서 작업중 추락 | 작업시 안전난간을 딛고 올라서서 작업하지 않는다 | |
전기적 요인 | 불량 공도구 사용으로 인한 감전 | 사용 전 기계의 외함 접지 설치 상태 확인 및 충전부위 절연조치 실시 |
가설전선 피복손상으로 인한 충전부 접촉으로 감전 | 가설전선 가공설치 및 손상부 절연조치 |
5. 보온 및 정리정돈 작업
분류 | 유해위험요인 | 감소대책 |
인적 요인 | 협소한 공간 작업발판 미 설치 상태에서 작업중 추락 | 좁은 공간 A형사다리 작업시 전도방지 조치, 2인1조 이상으로 작업 |
조명 불량으로 인한 전도 | 작업장에 적합한 조명 설치 | |
기계적 요인 | 잉여자재 등 방치로 인한 전도 | 잉여자재 반출 등 주변 정리정돈 실시 |
전기적 요인 | 미 검정 전동공구 사용 중 감전 | 작업 전 공도구 점검, 접지선과 누전차단기 사용 |
가설전선 피복 노출로 인한 감전 | 가설전선 3P이상으로 접지선이 내장된 전선 사용, 사용 중 수시로 점검하여 피복의 노출 여부 확인 | |
투광등 사용 중 누전에 의한 감전 | 투광등 접지, 접속부 절연상태 파괴여부 수시로 확인 점검 실시 | |
재료적 요인 | 보온재 취급 부주의로 인한 피부, 눈, 호흡기 사고 | 보온재 취급시 흩날리지 않도록 포장한 상태에서 취급 및 보안경, 방진마스크 등 보호구 착용 |
저수조 설치 작업 재해 사례

- 재해개요
- 지하저수조(스테인레스 판넬 탱크) 내부 코팅작업을 하기 위해 저수조 상부에서 동료작업자가 스테인레스 코팅제가 담긴통(1.8L)을 마닐라로프로 결속하여 주면 끌어올리는 작업을 한 후 저수조 상부에서 후면쪽으로 이동하다가 추락하여(5.8m) 사망한 재해
- 재해원인
- 개구부 단부 안전난간 미설치
- 안전대 부착설비 미설치, 안전대 미착용
- 안전대책
- 지하저수조(스테인레스 판넬 탱크) 상부에서 작업 및 이동시 단부 개구부에 견고한 구조의 안전난간을 설치
- 작업 여건상 안전난간 설치가 곤란할 경우 안전대 부착설비 설치 및 근로자에게 안전대를 착용하도록 하는 등 추락위험 방지조치 철저
- 형태
- 추락

- 재해개요
- 지하저수조 경량철골 상부에서 수평연결재 용접작업을 진행하는 과정에서 휴식을 위해 이동식 틀비계에서 내려오던 중 실족하여 추락ㆍ사망한 재해
- 재해원인
- 이동식틀비계 설치상태 미흡
- 안전모 착용 상태 불량
- 안전대책
- 이동식 틀비계상에 승강용사다리를 견고하게 설치하여 승ㆍ하강하여 사용
- 작업자에게 안전모를 지급ㆍ착용하게 한 후 턱끈을 결속한 상태에서 작업토록 관리감독을 철저히 하여야 함
- 형태
- 추락

- 재해개요
- 지하저수조 내부 백화제거겸 방수제를 도포한 후 저수조 통행용 스테인리스 사다리를 설치하기 위해 지지용 세트앵커볼트에 사다리를 가용접하던중 방수제의 성분중 유기용제가 폭발하여 사망한 재해임.
- 재해원인
- 환기미실시
- 작업순서 및 작업방법 불량
- 안전대책
- 인화성물질의 증기에 대한 통풍 및 환기조치 철저
- 지하저수조(5.5m×4.5m×2m)가 밀폐공간임을 감안하여 액체방수 등 내부용 방수제를 사용하고, 사다리 설치후 방수 실시
- 형태
- 폭발
반응형
'안전관리자 > 위험성 평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정화조 작업 위험성 평가 (1) | 2024.06.28 |
---|---|
교량상부공 ILM 제작장 설치/해체 작업 위험성 평가 (1) | 2024.06.27 |
소화설비 설치 작업 위험성 평가 (0) | 2024.06.26 |
기계실 배관 작업 위험성 평가 (0) | 2024.06.25 |
보온 작업2 위험성 평가 (0) | 2024.06.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