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안전보건 News

5월, 어린이 안전사고 최다 발생…가정의 달엔 더욱 조심해야 함

by 안전관리자kim 2025. 5. 7.
반응형

최근 3년간 어린이 안전사고 분석 : 가정의 달 5월, 사고 최다 발생 시기

최근 3년간 13세 이하 어린이의 안전사고가 10만 건 이상 발생했으며, 이 중에서도 가정의 달인 5월에 사고가 가장 많이 발생한 것으로 나타남. 특히 낙상과 추락 사고가 가장 많은 비율을 차지하며, 사고의 80%는 예방이 가능하므로 성인의 적극적인 보호가 필요함.

 


✅ 어린이 안전사고, 3년간 10만 건 이상 발생함

소방청이 집계한 통계에 따르면, 최근 3년(2022~2024년) 동안 13세 이하 어린이를 대상으로 발생한 안전사고는 총 109,502건으로 나타났음. 이를 연평균으로 환산하면 매년 약 36,500건이 넘는 사고가 꾸준히 발생하고 있는 셈임.

 

 

 

✅ 가장 위험한 달은 5월… 가족 나들이 시기와 맞물림

월별 분석 결과, 가정의 달인 5월에만 11,637건(10.4%)의 사고가 발생하여 연중 가장 높은 비율을 기록했음.

6월, 7월, 10월도 비교적 높은 수치를 보여 야외활동이 증가하는 시기일수록 사고 위험이 높아지는 경향을 보였음.

이는 놀이시설 이용, 공원 나들이 등 가족 중심 활동이 활발해지는 시기와 맞물려 어린이의 활동 반경이 넓어지기 때문으로 분석됨.

 

 

 

✅ 사고 원인은 ‘낙상·추락’이 1위

안전사고의 유형별 분포는 다음과 같음

  • 낙상 및 추락사고 : 41,275건 (37.7%)
  • 교통사고 : 24,494건 (22.4%)
  • 열상(베임 등) : 11,989건 (10.9%)

특히, 낙상과 추락은 유아기 아동들에게 가장 흔하게 발생하는 사고로, 침대·소파에서의 미끄러짐, 높은 곳에서의 떨어짐 등 대부분 가정 내에서 발생하는 경우가 많음. 이에 따라 가정 내 추락 방지용 안전 가드 설치 및 가구 배치 점검이 필수적임.

 

 

 

✅ 자전거 사고가 교통사고의 1/3 차지

교통사고 중 자전거와 관련된 사고가 8,677건(35.4%)으로 가장 많은 비율을 차지하였음. 이어 차량 동승 중 사고가 7,625건(31.1%), 보행 중 사고가 5,526건(22.6%)으로 나타남.

이러한 결과는 자전거 이용 시 안전 장비 착용, 보호자 동반 주행, 자전거 도로 준수 등 교통안전 교육의 필요성을 시사함.

 

 

 

✅ 연령별로는 12~13세, 1세 이하에서 사고 집중

연령대별로는 초등 고학년인 12~13세가 22,061건(20.1%)으로 가장 많았고, 반대로 1세 이하 영유아도 20,421건(18.6%)으로 매우 높은 수치를 기록함. 이는 두 연령대가 활동량이 많거나 보호가 상대적으로 미흡할 수 있는 시기임을 의미함.

 

 

 

✅ 사고 발생 장소, 절반은 ‘가정’에서

장소별 사고 분석에서는 가정에서 발생한 사고가 전체의 43.0%를 차지함. 도로 및 도로 외 교통 관련 장소도 25.8%(28,306건)를 차지하여, 실내외를 불문하고 생활 속 모든 공간에서 안전사고가 발생할 수 있음을 보여줌.

특히 0~1세의 경우 대부분 가정에서 사고가 발생하므로, 침대 가드, 문틀 보호대, 미끄럼 방지 매트 등 생활안전용품을 적극적으로 활용할 필요가 있음.

 

 

 

✅ 시간대는 오후 4~6시 가장 위험

시간대별로는 오후 4~6시 사이가 21,208건(19.4%), 이어서 6~8시 사이가 19,907건(18.2%)으로 집계됨. 이는 하교 시간대 및 저녁 활동 시간과 맞물려 부모의 관심이 일시적으로 줄어드는 시간대에 사고 위험이 높아진다는 점을 시사함.

 

 

 

✅ 사고의 80%는 예방 가능… 어른들의 역할 중요

소방청은 “어린이 사고의 80%는 예방이 가능하다”는 점을 강조하며, 어린이날을 앞두고 다음과 같은 기본 수칙 준수를 당부하고 있음

  • 도로 및 차량 주변에서 놀지 않도록 교육
  • 자전거 이용 시 헬멧과 보호장구 착용
  • 어린이용 안전벨트, 카시트 사용
  • 가정 내 추락 방지 장치 마련
  • 부모의 지속적인 관찰과 안전 교육

어린이 안전은 일회성 관리가 아닌 일상에서의 지속적인 관심과 예방 중심 관리가 핵심임.

 

 

 


 

 

가정의 달을 맞이하여 가족 나들이와 야외활동이 많아지는 지금, 어린이 사고 예방을 위한 생활 속 안전 점검이 더욱 중요함.

특히 활동량이 많아지는 시기일수록 가정, 교통, 놀이시설 등 모든 공간에서의 안전 관리가 필요함.

사고의 대부분은 어른들의 작은 주의로 예방 가능하므로, 가정과 사회가 함께 안전 환경을 만들어야 함.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