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최근 급속도로 확산되는 산불 양상에 대응하기 위해 정부가 주민 대피체계 강화에 나섰으며, 관련 표준매뉴얼 개정과 기관별 후속조치가 본격적으로 시행되고 있음.
정부는 최근 급속도로 확산되는 초고속 산불에 대응하기 위해, 2025년 5월 7일 ‘주민 대피체계 개선방안 점검회의’를 개최하였음.
이번 회의는 지난달 마련된 초고속 산불 대비 대피체계 방안이 실제 현장에서 실효성 있게 작동할 수 있도록 기관별 후속조치 계획을 점검하고 공유하기 위한 자리였음.
🟩 주요 조치사항
- 산림청
- 초고속 산불의 정의 및 전개 특성, 국민 행동요령 등을 산불재난 표준매뉴얼에 반영 예정임.
- 보건복지부
- 산불 취약지역 내 요양원 및 사회복지시설 현황을 전수조사 중임.
- 기존의 화재 중심 점검체계를 산불 대응 체계까지 확대하여 개선 예정임.
- 지자체 대응
- 경북, 경남, 울산 등 산불 빈발지역 지자체는 정부 가이드라인을 바탕으로 지역 맞춤형 대피체계를 정비할 계획임.
🟨 실제 대응사례 공유
- 강원 인제군
: 산불 확산 예상 지역 주민까지 선제 대피 조치 완료. - 양양군
: 장애인 생활시설 입소자 124명을 강풍에 따른 초고속 확산 가능성을 감안해 사전 대피 조치함. - 대구 함지산
: 노인복지시설 입소 어르신들을 대구 의료원 등 안전시설로 긴급 이동 후, 인근 지역 주민들에게 신속한 안내 시행함.
🟥 정부 입장
정부는 “초고속 산불로 인한 인명 피해를 줄이기 위해, 각 기관은 주민 대피체계 관련 후속조치를 철저히 이행해야 한다”고 강조함.
지자체의 적극적인 협조와 대응력 확보가 관건이며, 매뉴얼 개정 및 취약시설 관리 체계 개선을 통해 현장 중심의 안전 확보를 추진 중임.
반응형
'안전보건 News' 카테고리의 다른 글
건설업 중대재해 예방 위한 정부 집중 점검…추락·물체에 맞음 사고 예방 총력 (0) | 2025.05.14 |
---|---|
일환경건강센터, MSDS 경고표지 스티커 무상 배포…화학물질 사고 예방 기대 (2) | 2025.05.12 |
5월, 어린이 안전사고 최다 발생…가정의 달엔 더욱 조심해야 함 (2) | 2025.05.07 |
2025년 위험성평가 우수사례 발표대회 참가기업 모집… 본선 진출 시 감독·점검 1년 유예 (1) | 2025.05.05 |
2024년 산업재해 사고사망자 827명…노무제공자 증가 주목 (0) | 2025.05.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