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개요
- 거푸집 인양을 타워크레인과 같은 인양 장비의 지원 없이, 자체의 유압시스템을 사용하여 거푸집, 비계, 동바리 및 작업 발판을 함께 인양할 수 있는 거푸집 자동 인양 시스템 (Auto Climbing System)을 말한다.
- 폼 해체 및 인양 중 폼의 탈락으로 인한 근로자 동반 추락, 낙하물에 의한 사고 및 폼과 구조물 사이의 개구부로 추락사고가 발생한다.
단위작업 분류 및 순서
- 자재 반입 및 하역적재 작업
- 지상 조립 및 가공 작업
- 슈, 브라켓 설치
- 발판 인양 및 설치
- ACS 상부 거푸집 설치
- 앙카 설치/해체 및 프파일 고정
- 벽체 지지볼트 해체
- ACS 상승
- 벽체 지지볼트 고정
- ACS 해체 및 반출
1. 자재 반입 및 하역적재 작업

분류 | 유해위험요인 | 감소대책 |
인적 요인 | 지게차로 자재 하역 중 후방에 근로자 접근충돌 | 1. 후방접근 금지 조치 2. 후진 전 후방 확인실시 |
운반트럭 적재함에 임의로 올라가서 작업중 추락 | 차량 적재함 운전자 외 탑승 작업금지 | |
공장에서 묶은 자재의 일부분에 로프를 체결하여 인양 중 체결되지 않은 부위에 자재가 낙하 |
1. 줄걸이 작업자 선정 교육 2. 줄걸이 확인 후 인양 |
|
타워크레인으로 하역작업중 자재하부에 발 협착 | 받침목 사용(높이10cm이상) | |
기계적 요인 | 차량적재 고정용 로프를 푸는 중 낙하 | 차량 적재시 하중이 한쪽으로 치우치지 않게 적재 |
자재 하역 중 인양로프가 끊어져 자재가 낙하 | 인양로프는 손상되거나 변형, 부식되지 않은 것 사용 | |
전기적 요인 | 전동공구로 사용 중 누전으로 감전 | 전동공구 사용 전, 중 수시 점검 및 점검 필증 부착 |
사용하는 전선의 피복 노출로 충전부 접촉 감전위험 | 가설전선 사용 전, 중 점검실시 및 가공 배선 설치 | |
재료적 요인 | 운반차량 적재함에 승/하강 중 뛰어내리는 등 불안전한 행동사고 | 승/하강용 통로 설치 |
지상에 적치된 자재를 인력으로 운반 중 자세불량으로 요통 | 기계운반을 원칙으로 하고 인력운반시 적정인원 배치 | |
작업특성 요인 | 협소한 자재적재 공간으로 인한 자재 적재 근로자 작업중 협착 | 자재적치 계획 수립 |
작업환경 요인 | 운반차량 진출입 작업중 외부차량과 충돌 | 도로구획 및 통제조치 |
크레인으로 자재인양 중 크레인이 전도 | 1. 지반의 충분한 다짐 및 편평도 유지, 받침목설치 2. 아웃트리거 설치 가능한 작업장 폭 확보 및 인양자재의 충분한 인양능력의 크레인 선정 3. 크레인의 인양작업이 용이한 위치선정 4. 붐의 규정된 경사각내에서 인양작업실시 |
2. 지상 조립 및 가공 작업

분류 | 유해위험요인 | 감소대책 |
인적 요인 | 고속절단기로 절단 중 비산칩 발생 안면부 상해 | 고속절단기 커버설치 및 근로자 보안경 착용 |
기계적 요인 | 지상 가공한 부재 정리 중 협착 | 받침목 사용(높이10cm이상), 부재 전도방지 조치 |
조립한 ACS 부재를 크레인으로 인양 정리 중 충돌 | 줄 걸이 작업시 유도로프 사용 및 작업중 접근통제 및 신호수 배치 | |
전기적 요인 | 전동공구로 자재 가공 및 조립 중 누전으로 감전 | 전동공구 사용 전, 중 수시 점검 및 점검 필증 부착 |
사용하는 전선의 피복 노출로 충전부 접촉 감전위험 | 가설전선 사용 전, 중 점검실시 및 가공 배선 설치 | |
재료적 요인 | 변형된 부재를 확인하지 않고 조립하는 사고 | 자재검수 철저 변형자재 반출 및 제거로 사용금지 |
고압가스 사용 부주의로 인한 화재, 폭발 사고 | 사용교육, 점검, 안전장치 및 MSDS 표지 관리철저 | |
작업특성 요인 | 지상조립을 위해 이동 중 자재에 발이 걸려 넘어짐 | 조립장 통로구분 및 통로에 자재 적치 금지 |
부재 인력운반 중 혼자 무리하게 들다가 허리 다침 | 무거운 부재 인력운반 금지 장비 사용 작업 | |
조립도 미작성으로 조립과정 일부 부재 누락시공 | 구조검토 실시, 조립도 작성 | |
작업환경 요인 | 지상조립 중인 자재 위를 지나가던 중 걸려 넘어짐 | 조립중인 자재 위 이동 시 확인 철저 등 교육 실시 |
지상조립 작업장내로 차량 등 장비진입 중 근로자 충돌 | 작업장 구획 정리 타 장비 등 차량 접근통제 조치 |
3. 슈, 브라켓 설치 작업

분류 | 유해위험요인 | 감소대책 |
인적 요인 | 사다리를 이용하여 슈설치 작업중 추락 | 슈 설치시 이동식 작업대를 설치하여 작업 |
브라켓 설치 작업중 사다리에서 추락 | 브라켓 설치시 이동식 작업대를 설치하여 작업 | |
기계적 요인 | 브라켓 인양 설치 중 브라켓에 충돌 | 브라켓 운반시 유도로프 사용 등으로 무리하게 운반하지 않도록 관리감독 |
슈설치 작업중 슈의 낙하 | 슈 설치 작업은 3인 1조로 작업 | |
전기적 요인 | 전동공구로 자재 가공 및 조립 중 누전으로 감전 | 전동공구 사용 전, 중 수시 점검 및 점검 필증 부착 |
사용하는 전선의 피복 노출로 충전부 접촉 감전위험 | 가설전선 사용 전, 중 점검실시 및 가공 배선 설치 | |
재료적 요인 | 변형된 부재를 확인하지 않고 조립하는 사고 | 자재검수 철저 변형자재 반출 및 제거로 사용금지 |
작업특성 요인 | 부재 인력운반 중 혼자 무리하게 들다가 허리 다침 | 무거운 부재 인력운반 금지 장비 사용 작업 |
작업발판을 설치하지 않고 사다리 등 이용 중 추락 | 이동식 작업대 등 작업이 용이한 작업발판을 설치하고 작업 | |
작업환경 요인 | 크레인을 이용하여 인양 설치 중 신호 불일치 협착충돌 | 인양 설치 등 작업전 신호체계 통일 및 신호수 배치 |
4. 발판 인양 및 설치 작업

분류 | 유해위험요인 | 감소대책 |
인적 요인 | 포스트 난간대 설치 작업중 추락 | 포스트 난간대 설치 작업시 안전대 걸이시설 사전확보 및 걸고 작업 |
포스트 난간대 설치시 자재와 구조물 등 사이에 협착 | 중량물 취급시 손가락 등이 협착에 주의하여 작업 | |
발판의 개구부 발생 실족 및 낙하물 사고 발생 | 발판의 개구부 발생부위 개구부 덮개 설치 | |
발판의 폭이 좁아서 작업중 협착 및 충돌사고 위험 | 발판폭 넓고 견고하게 설치 추락, 협착, 충돌에방 | |
기계적 요인 | 인양 작업중 슬링벨트 파단으로 빔 낙하 | 슬링벨트 사전 점검 및 사용중 수시 점검 실시 |
빔 운반 설치작업중 빔과 충돌위험 | 연락체계 확립, 유도로프 설치하여 작업 실시 | |
포스트 설치시 자재의 낙하 | 포스트 설치시 자재의 낙하방지 임시고정 조치 | |
전기적 요인 | 전동공구로 사용 중 누전으로 감전 | 전동공구 사용 전, 중 수시 점검 및 점검 필증 부착 |
사용하는 전선의 피복 노출로 충전부 접촉 감전위험 | 가설전선 사용 전, 중 점검실시 및 가공 배선 설치 | |
재료적 요인 | 앙카설치 위치에 cone을 제대로 묻지 않아 매립앙카 체결 불량으로 인한 폼의 낙하 등 사고위험 | 매립 앙카의 설치 전 도면에 의한 정확한 정밀 시공 |
슈 고정용 볼트를 규격에 맞지 않는 볼트 등 체결위험 | ACS 슈고정 전용 볼트를 사용하여 폼의 안전성 확보 | |
작업특성 요인 | ACS 외측 단부 작업중 추락 | 단부 작업시 안전대를 걸고 작업 |
ACS 발판위에 도구 등 잔재물 낙하 | ACS 발판 끝에 발끝막이판 설치 | |
작업환경 요인 | ACS 인양설치 작업중 강풍에 의한 사고 | 최대풍속 10m/sec 이상시 ACS인양 작업중지 |
5. ACS 상부 거푸집 설치 작업

분류 | 유해위험요인 | 감소대책 |
인적 요인 | 거푸집 설치 작업중 추락 | 작업시 작업발판 설치 및 안전대를 걸고 작업 |
발판의 개구부 발생 실족 및 낙하물 사고 발생 | 발판의 개구부 발생부위 개구부 덮개 설치 | |
기계적 요인 | 거푸집 설치시 구조체와 거푸집 사이 공간으로 작업 부산물 낙하 | 낙하위험물 사전제거 및 하부 출입 통제조치 |
전기적 요인 | 전동공구로 사용 중 누전으로 감전 | 전동공구 사용 전, 중 수시 점검 및 점검 필증 부착 |
사용하는 전선의 피복 노출로 충전부 접촉 감전위험 | 가설전선 사용 전, 중 점검실시 및 가공 배선 설치 | |
작업특성 요인 | ACS 외측 단부 작업중 추락 | 단부 작업시 안전대를 걸고 작업 |
ACS 발판위에 도구 등 잔재물 낙하 | ACS 발판 끝에 발끝막이판 설치 | |
작업환경 요인 | ACS 인양설치 작업중 강풍에 의한 사고 | 최대풍속 10m/sec 이상시 ACS인양 작업중지 |
6. 앙카 설치/해체 및 프로파일 고정 작업

분류 | 유해위험요인 | 감소대책 |
인적 요인 | Anchor를 잘못 매립하여 profile이 shoe를 통과 할 수 없어 profile 낙하 | Anchor 매립을 정확히 하도록 검사를 철저히 한다 suspension wedge가 항상 체결되어 있도록 관리 |
최하부에서 해체된 앙카를 최상부에 설치하지 않아 폼의 고정불량으로 낙하 | 최하부에서 해체된 앙카를 반드시 최상부에 설치한다 | |
기계적 요인 |
규정을 준수하지 않고 작업하여 profile이 shoe를 때려 concrete에 crack이 발생. | 수십 개의 profile을 한번에 올리되 다음 층의 shoe바로 아래 10cm 까지만 올린 후 shoe의 통과는 1개씩 삽입, 통과하도록 작업 |
최소 양생강도에 도달하기 전 climbing profile을 인양하던 중 콘크리트 파열로 인한 폼 낙하 | 설계도서 상의 콘크리트 양생기간 준수 및 콘크리트 압축강도 사전 확인하여 조건 충족시 작업실시 | |
작업특성 요인 | Core 내측 ACS Form 작업발판으로 이동하던 중 몸의 중심을 잃고 실족하여 추락 | 타이볼트 및 앵글핀 해체작업에 필요한 동선 사전 확인 및 Core 구조체 벽면개구부 등에는 안전방망을 수직으로 설치한다. |
볼트 해체를 위해 이동 중 전도 | 정해진 통로로 이동조치 및 통로 장애물 제거준수 |
7. 벽체지지 볼트 해체 작업

분류 | 유해위험요인 | 감소대책 |
인적 요인 | Platform 인양 시 safety pin을 제거 후 인양 하지 않거나 아예 사용을 하지 않아 폼의 낙하사고 발생 | 폼 인양시 반드시 핀을 제가한 후 인양하고 인양완료 후 안전핀을 반드시 체결 |
기계적 요인 | platform을 인양 시 벽면으로부터 최소 3cm를 띄운 후 인양하지 않아 벽체지지볼트가 벽면을 긁어 벽제 지지볼트가 profile에서 떨어지는 사고 | 폼 인양작업시 벽체지지대를 벽면 구조체로부터 3cm이상 떨어지게하여 인양하고 이를 준수하도록 관리감독자 배치 |
suspension pin을 망실하고 대신 철근으로 대체 사용하여 철근의 파단으로 폼 낙하 | Platform의 모든 하중을 받고 있는 아주 중요한 suspension pin은 규정된 것 사용 | |
중량의 폼을 지지하고 있는 발코니 턱의 보강을 하지 않아 턱이 깨짐으로 낙하사고 | 상승 작업전 발코니 턱에 파이프서포트를 이용하여 하부를 보강하고 턱이 깨지거나 부서지는 현상을 방지 | |
재료적 요인 | 슬라브의 해체 강도 미확인 및 강도 불량 해체 조립 작업중 ACS 낙하 | 해체, 설치 전 콘크리트 압축강도 확인 (50kg/cm2이상) |
8. ACS 상승 작업

분류 | 유해위험요인 | 감소대책 |
인적 요인 | 상승 작업이 완료된 발코니 부위에 안전난간대 미설치로 근로자 추락 | 상승작업전 발코니 부위에 안전난간대를 미리 설치하여 작업자의 추락 등 사고 예방 |
기계적 요인 | 폼 상승시 신호 및 연락체계 부적합으로 상승되던 폼의 낙하 | 폼 상승 작업시 연락체계(신호방법, 수단)를 확정, 통일 시키고 작업 실시 |
상승작업시 작업인원 부족으로 건물의 돌출부위 등에 폼이 상승 중 부딪혀 폼의 낙하사고 | 폼상승 작업시 조작원 1명 건물 각 코너 등 감시자 4명 이상을 배치하여 폼의 상승을 감시하여 돌출물 등에 폼이 충돌하는 사고 예방 | |
재료적 요인 | 최소 양생강도에 도달하기 전 climbing profile을 인양하던 중 콘크리트 파열로 인한 폼 낙하사고 | 콘크리트의 규정강도(100 kg/m2)를 준수하여 해체 인양작업 |
9. 벽체 지지볼트 고정 작업

분류 | 유해위험요인 | 감소대책 |
인적 요인 | 상승작업 완료 후에 유압계통을 원상복귀 하지않고 작업중 근로자가 잘못 건드려 폼의 낙하 | 상승작업이 완료된 즉시 유압계통을 상승 작업전 상태로 원상복귀하고 관련 전원을 차단한다. |
기계적 요인 | 상승작업 완료 후에 벽체 지지볼트를 체결하지 않아 폼의 유동으로 폼이 낙하할 위험 | 상승작업이 완료된 즉시 벽체 지지볼트를 설치하여 폼의 유동을 방지하고 작업을 마무리 한다 |
상승작업이 완료된 후 실린더 방향을 전환시키지 않아 폼의 낙하 | 상승작업이 완료된 즉시 상승을 위해 하부로 내려져 있던 실린더의 방향을 위로 다시 전환하고 핀을 체결하여 폼의 낙하를 방지 | |
전기적 요인 | 사용하는 전선의 피복 노출로 충전부 접촉 감전위험 | 가설전선 사용 전, 중 점검실시 및 가공 배선 설치 |
재료적 요인 | 유압장비 관리 소홀로 작동불능으로 인한 사고 발생 | 유압장비는 항상 청결을 유지하고 성능을 발휘할 수 있도록 관리 철저 |
작업환경 요인 | 하부 고정 볼트가 발판에서 낙하 | 발판 끝에 높이 10cm이상 발끝막이판 설치 |
하부 고정 작업중 통로 아닌 곳으로 이동 중 추락 | ACS 발판 이동시 정해진 통로를 이용하여 이동 |
10. ACS 해체 및 반출 작업

분류 | 유해위험요인 | 감소대책 |
인적 요인 | 지상에 해체된 폼을 해체하는 도중 추락사고위험 | 지상에 적치된 폼의 해체시 작업발판확인 및 안전대 걸고 작업 |
해체도중 폼의 낙하와 동반하여 근로자 추락 | 해체 작업전 특별안전교육 실시, 숙련공이 해체작업 실시토록 관리감독 철저 | |
타워크레인 조작 미숙으로 오작동 발생 | 타워크레인 운전자 교육 및 신호체계 확립 | |
기계적 요인 | 반출차량에 적재함에 적재 중 차량 적재함에서 추락 | 차량 적재시 하중이 한쪽으로 치우치지 않게 적재 |
지상 해체도중 폼의 전도로 근로자 추락 및 전도되는 폼에 근로자 깔림 사고 위험 | 폼을 지상에 적치 시 폼이 전도되지 않도록 평탄한 장소에 적치 및 폼 해체 주변구획구분 및 접근을 금지 | |
인양 중 인양로프의 파단에 의한 낙하 | 인양로프 사용 전 점검 및 수시 점검 실시 | |
지게차로 상차작업중 후진하는 지게차에 충돌 | 1. 후방접근 금지 조치 2. 후진 전 후방 확인실시 |
|
전기적 요인 | 전동공구로 절단 및 볼트 해체 중 누전으로 감전 | 전동공구 사용 전, 중 수시 점검 및 점검필증 부착 |
사용하는 전선의 피복 노출로 충전부 접촉 감전위험 | 가설전선 사용 전, 중 점검실시 및 가공 배선 설치 | |
재료적 요인 | 고압가스절단기로 ACS 해체 중 화재 | 고압가스 기구 점검 및 소화기 비치 후 작업 실시 |
해체된 ACS 적치시 세워 놓아 바람 등에 전도 협착 | 해체된 ACS은 바닥에 눞혀서 적치 | |
작업특성 요인 | ACS해체 작업장 하부에 근로자출입 중 낙하물 사고 | ACS 상부, 작업발판에 낙하물 사전 제거 및 확인 |
인력으로 중량물 취급 작업중 요통 | 인력작업을 지양하고 인력작업시 2인1조 이상 작업 | |
작업환경 요인 | 해체 인양하여 운반 중 돌풍에 의한 ACS 낙하 | 악천 후 시 작업중지 (풍속 10m/sec 이상시) |
반출차량 적재함 작업중 상차중인 자재에 충돌 | 지게차 등 상차 작업장 근로자 접근 금지 조치 |
ACS 작업 재해 사례

- 재해개요
- 엘리베이터 피트 내부 ACS폼을 지상 8층에서 9층으로 유압장치를 이용하여 인양하던 중 ACS폼을 지지하던 앵커볼트(4개)가 콘크리트 벽체로부터 붕괴ㆍ이탈되면서 ACS폼이 지상1층으로 낙하하여 ACS폼 내부에서 유압장치를 조정하던 피재자가 사망한 재해
- 재해원인
- 작업절차 미준수
- 안전대책
- ACS Form을 인양하는 때에는 작업절차서에 따라 ACS Form 상부의 갱폼이 기울어지지 않도록 갱폼을 중앙 마스트에 로프 등으로 고정시키고 주요 구조 부재인 Anchor볼트는 작업절차서에 의해 앵커볼트 고정콘에 정착하여 설치하여야 함
- 형태
- 낙하

- 재해개요
- 폼 상승을 위한 보조작업중 A.C.S 폼을 지지하고 있던 벽체 Anchor 부분이 파손되면서 A.C.S 폼과 함께 추락
- 재해원인
- 콘크리트양생기간 미준수 탈형
- 안전대책
- A.C.S 폼 상승 시에는 설계도서 상의 콘크리트 양생기간 준수 및 콘크리트 압축강도 사전 확인 등의 조치를 하여야 하며, 폼 지지용 Anchor 보강
- 형태
- 탈락, 추락

- 재해개요
- 62~64층 사이에 설치된 외벽거푸집이 떨어지면서 작업발판에서 작업하던 인부 3명이 지하 1층 바닥으로 함께 추락·사망
- 재해원인
- 작업순서 및 방법 미준수
- 관리감독 및 안전교육 미흡
- 안전대책
- ACS폼 해체 작업시 타워로 고정을 철저히 하기까지 고정용 볼트가 체결되었는지 확인한 후에 작업
- 형태
- 낙하, 추락

- 재해개요
- 사장교 주탑상부 ACS폼 내부에서 추가 작업발판 설치를 위해 피재자가 기존 작업발판 상에 거치해 놓았던 목재를 밟고 이동하던중 목재가 부러지면서 추락하여(20m) 사망한 재해
- 재해원인
- 작업발판 재료선정 미흡
- 작업전 점검 미흡
- 안전대책
- 추락의 위험이 있는 장소에 가설통로 설치시 통로용 작업발판(강재와 알루미늄 합금)을 견고한 구조로 설치하고, 부득이 목재 등으로 설치할 경우에는 피로 파괴 등에 대비하여 수시로 점검 철저
- 형태
- 추락

- 재해개요
- Core 구조체 외측 ACS작업발판 단부의 안전난간을 밟고 Core 벽면개구부를 통해 Core 내측 ACS Form 작업발판으로 이동하던 중 몸의 중심을 잃고 실족하여 Core Shaft 내부 약 52m 아래 지하 1층 타워크레인 하부 작업발판(메탈라스)으로 추락ㆍ사망한 재해
- 재해원인
- 지정된 통로 이용 미흡
- 벽면개구부 추락방지 조치 미흡
- 안전대책
- 추락위험이 높은 고층 빌딩에서 근로자가 작업장소로 이동하는 때에는 지정된 안전통로로 이동토록 관리감독을 철저히 하여야 함
- Core 구조체 벽면개구부 등에는 안전방망을 수직으로 설치하는 등 추락방호조치를 철저히 하여야 함
- 형태
- 추락
반응형
'안전관리자 > 위험성 평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철골 건립 작업2 위험성 평가 (1) | 2024.06.11 |
---|---|
Slip Form 작업 위험성 평가 (0) | 2024.06.11 |
갱폼 작업 위험성 평가 (0) | 2024.06.10 |
철탑 삭도 작업 위험성 평가 (0) | 2024.06.10 |
철탑 크레인설치 작업 위험성 평가 (0) | 2024.06.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