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개요
- WIRE ROPE를 이용한 자재운반 수단으로서 공중에 궤도줄(주삭)을 매달고 그 줄에 CARRIAGE를 부착하여 또 다른 줄(예삭)을 당김으로써 화물을 공중 이동 시키는 운송체계, 앙카 설치 중 매몰, POST 설치 시 추락, 자재운반 시 낙하, 중량물 취급에 따른 사고가 발생한다.
단위작업 분류 및 순서
- 하부 ANCHOR 터파기
- ANCHOR 매설 및 CON'C 타설
- POST 조립 및 설치 작업(하부)
- 지선 WIRE 및 주삭 WIRE 설치
- 상부기지 가삭 설치 및 자재운반
- 상부기 ANCHOR 터파기 및 설치
- 상부기지 POST 설치
- 상부기지 지선 WIRE 및 주삭 WIRE 설치
- WINCH 운반 및 설치
- 시운전 및 점검
1. 하부 ANCHOR 터파기 작업
분류 | 유해위험요인 | 감소대책 |
인적 요인 | 작업방법 및 내용 미확인으로 인한 안전사고 발생 | 작업내용에 따른 위험성을 평가하고 TBM시 전달 |
전동톱 사용시 불안전한 행동으로 신체 접촉 | 전동톱 등 기계기구 사용시 안전작업 수칙 준수 | |
장비작업 중 주변 근로자를 확인하지 못해 장비와 충돌, 협착 | 신호수 배치 신호에 의한 작업실시 | |
기계적 요인 | 벌목작업 부위 작업 중 단부로 전락 | 작업범위를 확인, 지형확인 |
벌목장비 운전원의 운전미숙에 의한 충돌 | 벌목장비 운전원의 자격 유무 등 확인 | |
백호우 등 장비의 정비 불량에 의한 사고 | 작업 전 점검을 실시하고 기록 | |
벌목 작업시 쓰러지는 나무에 깔림 | 벌목 작업시 로프 등으로 전도되는 방향 유도 | |
굴삭기로 표면제거 중 덤프트럭이 후진하면서 굴삭기와 충돌 | 유도자 배치, 작업반경내 출입금지, 후사경 및 후진경보기, 후방카메라 설치 | |
굴삭기로 표토제거 작업 중 굴삭기 버켓 탈락 | 굴삭기 버켓 안전핀 체결상태 확인 | |
굴삭기로 급경사 법면 정리 중 부석 낙하 및 전도 | 구배계획수립시 적정높이 / 경사 설정하여 작업 | |
하부 ANCHOR 터파기 법면 상부에서 하부로 추락위험 | 법면 상부 안전난간 설치, 이동용 사다리 설치 및 안전구역 설정/출입통제 | |
하부 ANCHOR 터파기 작업 중 지반붕괴위험 | 지반붕괴방지용 가설 흙막이 설치, 굴착면 상부 토사의 적치 금지(상재하중 증가 토사붕괴) | |
전기적 요인 | 불량공도구 사용으로 인한 감전 | 사용전 기계의 외함접지 설치 상태 확인 및 충전부위 절연조치 실시 |
작업특성 요인 | 차량계 건설기계작업계획서 작성 미흡에 의한 사고 | 차량계건설기계 작업계획서 작성/검토/승인 후 근로자에게 교육 실시 |
작업환경 요인 | 벌목작업 중 벌, 뱀 등에 의해 다침 | 복장보호구 착용 철저 |
2. ANCHOR 매설 및 CON'C 타설 작업
분류 | 유해위험요인 | 감소대책 |
인적 요인 | 크레인 작업 중 신호불일치로 협착 | 크레인 작업 시 신호체계를 확립하고 신호수 배치 |
터파기 법면상부에서 추락위험 | 안전구역 설정/출입통제 | |
기계적 요인 | 중량물 운반작업 시 협착 및 낙하위험 | 중량물 운반작업 시 인력작업 금지,자재 하역작업 시 장비사용 하역실시 |
하부 ANCHOR 터파기 법면 상부에서 하부로 추락위험 | 법면 상부 안전난간 설치, 이동용 사다리 설치 및 안전구역 설정/출입통제 | |
하부 ANCHOR 터파기 작업 중 지반붕괴위험 | 지반붕괴방지용 가설 흙막이 설치, 굴착면 상부 토사의 적치 금지(상재하중 증가 토사붕괴) | |
하부 작업 중 법면 상부 부석 낙하위험 | ANCHOR 운반 시 하부 작업자 출입통제 및 체인블럭/장비를 활용한 ANCHOR 설치수행 | |
전기적 요인 | 전동공구로 자재 가공 및 조립 중 누전으로 감전 | 전동공구 사용 전, 중 수시 점검 및 점검 필증 부착 |
사용하는 전선의 피복 노출로 충전부 접촉 감전위험 | 가설전선 사용 전, 중 점검실시 및 가공 배선 설치 | |
재료적 요인 | CON'C 타설 미흡으로 ANCHOR 강도 저하 | 규정에 의한 굴착깊이 및 CON'C 타설, 양생기간 준수 후 되메우기 |
작업특성 요인 | 차량계건설기계작업계획서 작성 미흡에 의한 사고 | 차량계건설기계 작업계획서 작성/검토/승인 후 근로자에게 교육 실시 |
작업환경 요인 | 우기철 작업 중 토사붕괴 | 우기로 인한 사고에 대비한 작업계획 수립 적용 |
3. POST 조립 및 설치 작업(하부)
분류 | 유해위험요인 | 감소대책 |
인적 요인 | 크레인 작업 중 신호불일치로 협착 | 크레인 작업 시 신호체계를 확립하고 신호수 배치 |
터파기 법면상부에서 추락위험 | 안전구역 설정/출입통제 | |
기계적 요인 | POST기초부 용접 작업 중 토사붕괴 | 지반붕괴방지용 가설 흙막이 설치, 굴착면 상부 토사의 적치 금지(상재하중 증가 토사붕괴 |
POST 전도 위험 | POST 설치용 기초 CON'C 타설 후 양생기간 준수 철저 | |
POST 이동 시 협착사고 | POST 운반 시 지정신호수 활용 및 소부재로 운반 조립시행 | |
POST BOLT 결속 및 조임 불량에 의한 사고 | BOLT 체결 시 조임상태 확인 철저 | |
POST 수직설치 시 전도사고 | POST 수직 설치 시 4방향 지선설치 및 지선에 체결된 지지물 강도확인 | |
달기보조 기구류 불량으로 낙하 | 달기보조 기구(와이어, 샤클) 사전점검 | |
전기적 요인 | 용접기 등 전동공구로 사용 중 누전으로 감전 | 용접기 등 전동공구 사용 전, 중 수시 점검 및 점검 필증 부착 |
사용하는 전선의 피복 노출로 충전부 접촉 감전위험 | 가설전선 사용 전, 중 점검실시 및 가공 배선 설치 | |
재료적 요인 | POST 전도 위험 | POST 설치용 기초 CON'C 타설 후 양생기간 준수 철저 |
지선 WIRE 파단으로 인한 POST 전도사고 | POST 작업 시 지선 각각의 긴장도를 확인하고, 각 지선별 인원을 배치하여 지선 WIRE 파손으로 인한 사고예방 | |
작업특성 요인 | 중량물 및 차량계건설기계 작업계획 미수립 상태에서 작업 중 사고 | 중량물 및 차량계건설기계 작업계획서 수립/검토/승인 후 작업, 작업 전 근로자에게 계획 등 교육 실시 |
작업환경 요인 | 악천후 시 작업 중 사고 | 악천후 시 작업 중지 |
4. 지선 및 주삭 WIRE 설치 작업
분류 | 유해위험요인 | 감소대책 |
인적 요인 | 안전밸트 미착용 상태에서 작업 중 추락 | 작업 시 2개걸이 안전밸트 착용 철저 |
POST에 생명줄 미설치 및 안전대 미착용으로 추락 | POST 승 / 하강시 생명줄 사용철저 | |
기계적 요인 | 지선 WIRE 파단으로 인한 POST 전도사고 | 지선 WIRE에 장력계를 설치하여 안전하중을 감안한 긴선작업 수행 |
주삭 WIRE 과 긴장상태로 WIRE 파단 및 ANCHOR 인발로 인한 전도사고 | 주삭 WIRE 작업 시 장력계 확인 및 상.하부 ANCHOR 위치에 신호수를 배치하여 ANCHOR의 변형 여부 및 연결용 결속물의 변형 유무 확인 | |
상부 WIRE 체결작업 시 추락 위험 | 상부 승하강용 수직생명줄 설치 및 안전보호구 착용 | |
전기적 요인 | 전동공구로 사용 중 누전으로 감전 | 전동공구 사용 전, 중 수시 점검 및 점검 필증 부착 |
사용하는 전선의 피복 노출로 충전부 접촉 감전위험 | 가설전선 사용 전, 중 점검실시 및 가공 배선 설치 | |
재료적 요인 | 지선 WIRE 파단으로 인한 POST 전도사고 | POST 작업 시 지선 각각의 긴장도를 확인하고, 각 지선별 인원을 배치하여 지선 WIRE 파손으로 인한 사고 예방 |
작업환경 요인 | 악천후 시 작업 중 사고 | 악천후 시 작업 중지 |
5. 상부기지 가삭 설치 및 자재 운반 작업
분류 | 유해위험요인 | 감소대책 |
인적 요인 | 안전밸트 미착용 상태에서 작업 중 추락 | 가삭고정용 와이어 체결 작업 시 안전밸트 착용 철저 |
자재운반 구간 하부 출입에 의한 낙하물, 충돌 사고 | 자재운반 구간 하부 출입 금지조치 | |
기계적 요인 | 상부 자재운반용 가삭의 강도 미달로 인한 자재운반작업 중 낙하 및 지주목의 부러짐 | 가삭 고정용 나무 선정 시 직경 20CM 이상의 참나무 선정 및 PIPE 보강설치, 가삭 고정용 지주목 고정 및 보강용 지선WIRE ROPE 설치 |
자재운반 중 낙하 | 자재운반 시 양중하중 500KG 이내 운반 및 운반용 WIRE ROPE 점검 | |
WINCH 주변 작업시 협착위험 | WINCH 조작구간 주변 정리정돈 및 운전원외 조작금지 | |
WINCH 와이어 로프 파단에 의한 사고 | WINCH 조작 전 와이어로프 및 안전장치 점검 철저 | |
전기적 요인 | 전동공구로 사용 중 누전으로 감전 | 전동공구 사용 전, 중 수시 점검 및 점검 필증 부착 |
사용하는 전선의 피복 노출로 충전부 접촉 감전위험 | 가설전선 사용 전, 중 점검실시 및 가공 배선 설치 | |
재료적 요인 | 와이어/섬유로프의 파단, 샤클의 마모에 의한 낙하 | 부적격한 와이어/섬유로프 사용금지, 달기로프 사용 기준 준수, 샤클 규격품 사용 |
작업특성 요인 | 중량물 및 차량계건설기계 작업계획 미수립 상태에서 작업 중 사고 | 중량물 및 차량계건설기계 작업계획서 수립/검토/승인 후 작업, 작업 전 근로자에게 계획 등 교육 실시 |
작업환경 요인 | 악천후 시 작업 중 사고 | 악천후 시 작업 중지 |
6. 상부기지 ANCHOR 터파기 및 설치 작업
분류 | 유해위험요인 | 감소대책 |
인적 요인 | 작업방법 및 내용 미확인으로 인한 안전사고 발생 | 작업내용에 따른 위험성을 평가하고 TBM시 전달 |
전동톱 사용시 불안전한 행동으로 신체 접촉 | 전동톱 등 기계기구 사용시 안전작업 수칙 준수 | |
장비작업 중 주변 근로자를 확인하지 못해 장비와 충돌, 협착 | 신호수 배치 신호에 의한 작업실시 | |
기계적 요인 | 벌목작업 부위 작업 중 단부로 전락 | 작업범위를 확인, 지형확인 |
백호 등 장비의 정비 불량에 의한 사고 | 작업 전 점검을 실시하고 기록 | |
벌목 작업 시 쓰러지는 나무에 깔림 | 벌목작업 시 로프 등으로 전도되는 방향 유도 | |
굴삭기로 표토제거 작업 중 굴삭기 버켓 탈락, 굴삭기와 충돌 | 굴삭기 버켓 안전핀 체결상태 확인, 후사경 및 후진경보기, 후방카메라 설치 | |
굴삭기로 급경사 법면 정리 중 부석 낙하 및 전도 | 구배계획 수립시 적정높이 / 경사 설정하여 작업 | |
하부 ANCHOR 터파기 법면 상부에서 하부로 추락위험 | 법면 상부 안전난간 설치, 이동용 사다리 설치 및 안전구역 설정/출입통제 | |
하부 ANCHOR 터파기 작업 중 지반붕괴위험 | 지반붕괴방지용 가설 흙막이 설치, 굴착면 상부 토사의 적치 금지 (상재하중 증가 토사붕괴) | |
하부 작업 중 법면 상부 부석 낙하위험 | ANCHOR 운반 시 하부 작업자 출입통제 및 체인블럭/장비를 활용한 ANCHOR 설치수행 | |
전기적 요인 | 불량공도구 사용으로 인한 감전 | 사용전 기계의 외함접지 설치 상태 확인 및 충전부위 절연조치 실시 |
재료적 요인 | CON'C 타설 미흡으로 ANCHOR 강도 저하 | 규정에 의한 굴착깊이 및 CON'C 타설, 양생기간 준수 후 되메우기 |
작업특성 요인 | 차량계 건설기계작업계획서 작성 미흡에 의한 사고 | 차량계건설기계 작업계획서 작성/검토/승인 후 근로자에게 교육 실시 |
작업환경 요인 | 우기철 작업 중 토사붕괴 | 우기로 인한 사고에 대비한 작업계획 수립 적용 |
7. 상부기지 POST 설치 작업
분류 | 유해위험요인 | 감소대책 |
인적 요인 | 크레인 작업 중 신호불일치로 협착 | 크레인 작업 시 신호체계를 확립하고 신호수 배치 |
터파기 법면 상부에서 추락위험 | 안전구역 설정/출입통제 | |
기계적 요인 |
POST기초부 용접 작업 중 토사붕괴 | 지반붕괴방지용 가설 흙막이 설치, 굴착면 상부 토사의 적치 금지(상재하중 증가 토사붕괴 |
POST 전도 위험 | POST 설치용 기초 CON'C 타설 후 양생기간 준수 철저 | |
POST 이동시 협착사고 | POST 운반 시 지정신호수 활용 및 소부재로 운반 조립시행 | |
POST BOLT 결속 및 조임 불량에 의한 사고 | BOLT 체결시 조임상태 확인 철저 | |
POST 수직설치시 전도사고 | POST 수직 설치시 4방향 지선설치 및 지선에 체결된 지지물 강도확인 | |
달기보조 기구류 불량으로 낙하 | 달기보조 기구 (와이어, 샤클) 사전점검 | |
전기적 요인 | 용접기 등 전동공구로 사용 중 누전으로 감전 | 용접기 등 전동공구 사용 전, 중 수시 점검 및 점검 필증 부착 |
사용하는 전선의 피복 노출로 충전부 접촉 감전위험 | 가설전선 사용 전, 중 점검실시 및 가공 배선 설치 | |
재료적 요인 | POST 전도 위험 | POST 설치용 기초 CON'C 타설 후 양생기간 준수 철저 |
지선 WIRE 파단으로 인한 POST 전도사고 | POST 작업 시 지선 각각의 긴장도를 확인하고, 각 지선별 인원을 배치하여 지선 WIRE 파손으로 인한 사고예방 | |
작업특성 요인 | 중량물 및 차량계건설기계 작업계획 미수립 상태에서 작업 중 사고 | 중량물 및 차량계건설기계 작업계획서 수립/검토/승인 후 작업, 작업 전 근로자에게 계획 등 교육 실시 |
작업환경 요인 | 악천후 시 작업 중 사고 | 악천후 시 작업 중지 |
8. 상부기지 지선 및 주삭 WIRE 설치 작업
분류 | 유해위험요인 | 감소대책 |
인적 요인 | 안전밸트 미착용 상태에서 작업 중 추락 | 작업 시 2개걸이 안전밸트 착용 철저 |
POST에 생명줄 미설치 및 안전대 미착용으로 추락 | POST 승 / 하강 시 생명줄 사용철저 | |
기계적 요인 |
지선 WIRE 파단으로 인한 POST 전도사고 | 지선 WIRE에 장력계를 설치하여 안전하중을 감안한 긴선작업 수행 |
주삭 WIRE 과 긴장상태로 WIRE 파단 및 ANCHOR 인발로 인한 전도사고 | 주삭 WIRE 작업 시 장력계 확인 및 상, 하부 ANCHOR 위치에 신호수를 배치하여 ANCHOR의 변형 여부 및 연결용 결속물의 변형 유무 확인 | |
상부 WIRE 체결작업 시 추락 위험 | 상부 승하강용 수직생명줄 설치 및 안전보호구 착용 | |
전기적 요인 | 전동공구로 사용 중 누전으로 감전 | 전동공구 사용 전, 중 수시 점검 및 점검 필증 부착 |
사용하는 전선의 피복 노출로 충전부 접촉 감전위험 | 가설전선 사용 전, 중 점검실시 및 가공 배선 설치 | |
재료적 요인 | 지선 WIRE 파단으로 인한 POST 전도사고 | POST 작업 시 지선 각각의 긴장도를 확인하고, 각 지선별 인원을 배치하여 지선 WIRE 파손으로 인한 사고예방 |
작업환경 요인 | 악천후 시 작업 중 사고 | 악천후 시 작업 중지 |
9. WINCH 운반 및 설치 작업
분류 | 유해위험요인 | 감소대책 |
인적 요인 | 윈치 운반로 하부 출입에 의한 낙하물 사고 | 윈치 운반로 하부에 출입을 금지 |
기계적 요인 |
운반중 낙하위험 | 와이어로프 사전 점검 및 사용중 수시 점검 실시 |
운반 설치작업 중 충돌위험 | 연락체계 확립, 유도로프 설치하여 작업 실시 | |
달기보조 기구류 불량으로 낙하 | 달기보조 기구 (와이어, 샤클) 사전점검 | |
WINCH 설치 위치의 지반 상태확인 미흡으로 인한 전도사고 | WINCH 설치 전 지반정리 작업 및 필요 시 CON'C 타설하여 작업 수행 | |
WINCH 고정용 지지물확인(작업 중 WINCH 이탈사고 | WINCH 고정은 지형별로 담당자가 반드시 확인하고 지지물로 사용할 것 | |
전기적 요인 | 전동공구로 사용 중 누전으로 감전 | 전동공구 사용 전, 중 수시 점검 및 점검 필증 부착 |
사용하는 전선의 피복 노출로 충전부 접촉 감전위험 | 가설전선 사용 전, 중 점검실시 및 가공 배선 설치 | |
재료적 요인 | 윈치의 작동불량에 의한 작업 중지 등 사고발생 | 윈치 상부기지로 운반 전 작동상태점검 |
작업특성 요인 | 중량물 및 차량계건설기계 작업계획 미수립 상태에서 작업 중 사고 | 중량물 및 차량계건설기계 작업계획서 수립/검토/승인 후 작업, 작업 전 근로자에게 계획 등 교육 실시 |
작업환경 요인 | 악천후 시 작업 중 사고 | 악천후 시 작업 중지 |
10. 시운전 및 점검 확인 작업
분류 | 유해위험요인 | 감소대책 |
인적 요인 | 작동확인 시 작업자 접근으로 인한 사고 | 시운전 작업 중 삭도 선하부 접근통제, 외부인의 접근가능 구간 신호수 배치 |
시운전 확인 미흡에 의한 사고 | 시운전 실시 및 이상유무 확인 | |
전담운전자 외 조작에 의한 사고 | CONTROL BOX 시건장치 철저 | |
기계적 요인 |
예삭 WIRE ROPE의 손상 | 윈치 드럼의 WIRE ROPE 감김 상태 확인 및 시운전 후 예삭 WIRE ROPE 재조정 작업 실시 |
CONTROL BOX 시건장치 미설치로 인한 사고 | CONTROL BOX 시건장치 철저 | |
지선의 이상유무로 인한 사고 | 작업종료 전/후 지선의 이상유무로 인한 사고 | |
전기적 요인 | 전동공구로 사용 중 누전으로 감전 | 전동공구 사용 전, 중 수시 점검 및 점검 필증 부착 |
사용하는 전선의 피복 노출로 충전부 접촉 감전위험 | 가설전선 사용 전, 중 점검실시 및 가공 배선 설치 | |
작업특성 요인 | 중량물 및 차량계건설기계 작업계획 미수립 상태에서 작업 중 사고 | 중량물 및 차량계건설기계 작업계획서 수립/검토/승인 후 작업, 작업 전 근로자에게 계획 등 교육 실시 |
작업환경 요인 | 악천후 시 작업 중 사고 | 악천후 시 작업 중이지 |
철탑 삭도 작업 재해 사례

- 재해개요
- 피재자가 하수관로(∅600mm) 매설작업을 위해 굴착부위 저면(3.5~4.2m)에서 레벨 측정 중 굴착된 사면의 일부(약 10㎥)가 붕괴되면서 매몰되어 사망한 재해
- 재해원인
- 안식각 미준수
- 안전대책
- 안식각 준수하여 작업하고 흙막이 지보공을 설치하여 작업
- 형태
- 붕괴

- 재해개요
- 지선전주에 승주하여 지선을 절단하는 순간, 지선 전주가 도괴되면서 지선전주와 함께 지면으로 추락․사망한 재해
- 재해원인
- 지지력 확보 미흡
- 작업방법 불량
- 안전대책
- 지선전주를 해체작업 전에 지반의 충분한 지지력 확보여부를 검토한 후 전주에 승주
- 고소작업대차등을 이용하여 지선 절단작업을 하는 등의 작업방법으로 진행하여야 함
- 형태
- 추락

- 재해개요
- 굴삭기를 사용하여 도수관로 접합작업을 진행하는 과정에서 배관공인 도수관 내부를 들여다보던 중 도수관을 밀려던 굴삭기 버켓과 도수관 사이에 두부가 협착되어 사망한 재해
- 재해원인
- 작업계획 미수립
- 근로자 안전교육 미실시
- 안전대책
- 작업계획 수립 후 근로자에게 내용을 주지시킨 후 작업, 유도자 배치하여 작업
- 형태
- 충돌, 협착

- 재해개요
- 사고경위 송전철탑 신설현장에서 근로자 5명이 철탑기초 거푸집설치 작업중, 터파기 사면의 토석(2㎥)의 붕괴로 근로자 1명이 매몰 사망 재해
- 재해원인
- 흙막이 지보공 미설치
- 안전구배 미준수
- 안전대책
- 깊이 1.5M 이상 굴착시에는 흙막이 지보공을 설치
- 부득이한 경우 안전구배 준수,굴착면 내 우수 유입방지 조치 굴착면 선단 토석 적재금지
- 형태
- 붕괴

- 재해개요
- 레미콘차량의 슈트에서 백호우 버킷에 콘크리트를 담아 운반, 타설작업 중 버킷이 전석기초부위에 거푸집 조립 및 운반작업을 하였던 피재자의 흉부를 가격하여 사망한 재해
- 재해원인
- 용도외 사용
- 작업반경내 출입금지조치 미흡
- 안전대책
- 전석기초 콘크리트 타설작업 등을 하는 때에는 백호우 버킷으로 운반하는 등 주용도외로 사용하여서는 아니되고 콘크리트 펌프카로 타설작업을 진행하여야 함
- 백호우 등 차량계건설기계를 사용하여 작업하는 때에는 근로자 출입을 통제하거나 유도자를 배치하여야 함
- 형태
- 충돌

- 재해개요
- 석재 양중 용도로 설치된 윈치(Winch)에 리모콘 및 전원선을 연결하기 위하여 안전난간의 중간대를 밟고 올라서던 중, 앞으로 미끄러지면서 약 9m 아래 지상바닥으로 추락ㆍ사망한 재해
- 재해원인
- 작업자의 작업범위 미고려
- 안전대 걸이용 부착설비 미설치
- 안전대책
- 아파트 외벽 석공사를 위해 자재인양용 윈치(Winch)를 외부 비계상에 설치하는 때에는 작업자의 안전작업범위를 고려하여 적정높이ㆍ위치에 설치
- 작업여건상 안전난간의 방호범위를 벗어나는 작업을 하는 때에는 안전대 착용 후 부착설비에 걸어 작업하여야 함
- 형태
- 추락

- 재해개요
- 연돌에 설치된 윈치를 이용하여 올라가던 중 윈치시브에 이물질이 끼어 와이어로프에 과다한 장력발생 파단되어 추락 사망한 재해
- 재해원인
- 과부하장치등 안전장치 작동 불능
- 점검 미흡
- 안전대책
- 성능검정에 합격한 과부하방지장치,비상정지장치 설치, 윈치등에 부득이 탑승할 경우 안전대 부착설비 설치 등 추락방지조치 철저, 조작자 비상대응 교육 철저
- 점검철저로 구동부가 원할하게 작동되도록 함
- 형태
- 파단, 추락

- 재해개요
- 케이블을 카고크레인을 사용하여 인양하던 중 높이 약 3m의 위치에서 와이어로프가 파단되면서 잉여케이블이 피재자의 두부를 가격하여 사망한 재해
- 재해원인
- 와이어로프 사용기준 미준수
- 작업반경내 출입금지 미조치
- 안전대책
- 권상용 와이어로프는 한 꼬임(strand)에서 끊어진 소선(pillar)의 수가 10%이상인 것은 폐기하는 등 와이어로프 사용기준을 준수
- 크레인 작업반경 내에는 근로자 출입통제조치를 철저히 하여야 함
- 형태
- 낙하

- 재해개요
- 피재자가 현장 진입로의 옹벽 기초에 배근할 용도인 철근을 절단하기 위하여 휴대용 유압 철근절단기(220V 1,9Kw)를 조작하던 중 누전으로 인하여 감전되어 사망한 재해
- 재해원인
- 미접지
- 누전차단기 미설치
- 안전대책
- 이동식 전기기계․기구를 사용하는 때에는 외함→ 3심 코드(접지선 내장) → 접지형 플러그․콘센트 → 분전반 접지유도 → 대지접지(접지저항 100전Ω이하) 순으로 접지회로를 구성하여야 함
- 150V를 초과하는 곳에서 사용하는 이동식 전기기계․기구에는 정격감도전류가 30㎃이하이고 작동시간 0.03초이하인 누전차단기가 경유되도록 하여야 함
- 형태
- 감전

- 재해개요
- 원형 전기톱을 이용하여 목재판넬 을 절단하던중 원형전기톱이 누전되어 감전 사망한 재해
- 재해원인
- 접지 미실시
- 누전차단기 미설치
- 안전대책
- 이동용 전기기계기구인 원형 전기톱에 3종 접지(접지저항 100Ω이하)를 실시 하여 누전시 누설전류에 의한 감전 예방
- 이동용 전기기계기구인 원형 전기톱에 누전차단기(정격감도전류가 30mA 이하 이고, 작동시간이 0.03초 이내)를 설치하여 누전시 누설전류에 의한 감전 예방
- 형태
- 감전

- 재해개요
- 형틀목공인 피재자가 전동드릴로 벽체거푸집에 구멍을 뚫고 철선 끼우는 작업을 진행하던 중, 전동드릴내 피복손상에 의한 누전으로 감전되어 사망한 재해
- 재해원인
- 접지미흡
- 누전차단기 미설치
- 안전대책
- 이동형 또는 휴대형 전동기계․기구를 사용하는 때에는 접지형 콘센트 및 플러그 등으로 접지경로를 확보하여 접지를 실시
- 당해 전로의 정격에 적합하고 감도가 양호한 누전차단기를 설치하여 정상작동유무를 수시로 점검하여야 함
- 형태
- 감전
반응형
'안전관리자 > 위험성 평가' 카테고리의 다른 글
ACS 작업 위험성 평가 (1) | 2024.06.11 |
---|---|
갱폼 작업 위험성 평가 (0) | 2024.06.10 |
철탑 크레인설치 작업 위험성 평가 (0) | 2024.06.10 |
LNG Tank 설치 작업 위험성 평가 (1) | 2024.06.10 |
철탑 역T형 기초 작업 위험성 평가 (1) | 2024.06.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