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개요
- PSC거더 거치 작업은 제작장에서 제작된 PSC (Prestressed concrete) 거더를 크레인, 운반트레일러 등으로 운반한 다음 인양하여 기 시공된 교각 및 교대 위에 올려 놓는 작업을 말한다.
- 운반 작업 시 트레일러의 전복, 빔 전도, 거치 작업 시 크레인 전도, 빔 낙하, 거치작업자 추락 등의 사고가 발생한다.
단위작업 분류 및 순서
- 장비반입 및 점검
- 장비배치 및 설치
- 거더상차 작업
- 거더 운반 작업
- 거더 하역 인양 작업
- PSC 거더 인양 거치
- PSC 전도방지 작업
- PSC 안전시설 설치
1. 장비반입 및 점검 작업
분류 | 유해위험요인 | 감소대책 |
인적 요인 | 지게차 또는 페이로더 사용 중 작업자가 충돌 협착되는 사고 | 후방감시카메라, 경보음 작동, 장비 전담신호수 배치로 출입통제 조치 후 작업 |
장비작업 반경 내에 근로자가 접근함으로 인한 충돌 협착 | 통로 구획 및 이동경로 확보 | |
기계적 요인 | 인양 중 인양로프의 파단에 의한 자재의 낙하 | 작업 전 줄걸이 이상유무 확인 점검 실시 |
크레인 아웃트리거 미사용으로 자재 인양시 전도 | 크레인 사용시 아웃트리거 최대 확장 사용, 받침은 철판 등 설치하여 지반침하방지조치 후 작업 | |
장비반입전 선정 불량에 의한 사고 | 장비반입전 차량계건설기계 작업계획 및 중량물취급 작업계획을 수립하여 적정한 장비선정 반입 | |
장비 하역작업 시 낙하/추락사고 | 장비하역시 줄걸이 점검 및 하역작업 안전수칙 준수 | |
자재 적재시 고임목 및 고임목 불량으로 붕괴 | 신호 및 상호 의사사소통 철저 및 고임목 받침 철저 | |
작업특성 요인 | 장비반입시 안전장치 등 점검 미흡에 따른 사용 중 사고 | 장비 점검 체크리스트에 의한 점검 실시 |
2. 장비배치 및 설치 작업
분류 | 유해위험요인 | 감소대책 |
인적 요인 | 장비설치 작업 시 협착 | 장비설치 시 장비 이동, 아웃트리거 받침, 아웃트리거 웨이트 설치 작업 준수 |
크레인 웨이트 인양 및 설치 작업 시 낙하, 협착 | 웨이트 인양시 줄걸이 점검 및 설치시 협착사고에 주의하여 작업 | |
웨이트 등 크레인 셋팅 작업 중 크레인에서 추락 | 크레인 셋팅 작업시 정해진 통로 이동 및 불안전한 행동금지 | |
기계적 요인 | 장비설치 위치 부적합에 의한 작업중 붐의 과도한 긴장으로 인한 장비 전도 | 거더하중에 따른 붐대의 긴장 거리등을 계산하여 정확한 위치에 설치 |
장비설치 시 아웃트리거 및 지반불량에 의한 작업 중 장비 전도 | 장비설치전 지반평탄 및 다짐 실시, 아웃트리거 최대 확장 설치) | |
굴삭기로 장비설치 위치 평탄 작업 중 충돌 협착 | 후방감시카메라, 경보음 작동, 전담신호수 배치로 출입통제 조치 후 작업 | |
작업특성 요인 | 운반장비 및 크레인 등 작업장내 이동 중 충돌, 협착 | 작업장에 장비 투입시 배치 계획 등을 확인한 후 작업장내에서 최소 이동하도록 작업 지휘 |
작업환경 요인 | 작업장 주변 고압케이블 및 지장물의 파손 | 작업전 주변 지장물 등 위험요소를 파악 후 작업 |
3. PSC 거더 상차 작업
분류 | 유해위험요인 | 감소대책 |
인적 요인 |
줄걸이 상태 및 작업불량에 의한 인양물 낙하 | 작업 전 줄걸이 이상유무 확인 점검 및 폼의 형상에 따른 줄걸이 방법 선정 철저 |
작업과 관련되지 않은 사람의 출입 시에 발생되는 사고 | 작업과 관계가 없는 사람이 출입하지 않도록 홍보 및 출입통제 | |
트레일러 후진시 작업자 및 유도자와 충돌 | 신호수 위치는 트레일러 운전원의 시야내에 위치 | |
와이어 불량 및 결속위치 불량에 의한 낙하, 파단 | 결속지점 및 와이어 등 줄걸이 상태 확인 철저 | |
기계적 요인 | 거더상차 후 트레일러에 고정전 인양로프를 해체하여 거더 전도 | 트레일러에 고정 후 인양로프 해체 |
인양하여 상차 전 거더 하부에 붙어 있는 이물질 제거 작업 중 거더와 충돌 | 크레인 운전자와 작업자간 신호 준수, 줄걸이 등 확인 철저 | |
트레일러의 비탈면 불시 이동에 의한 전도, 충돌 | 운반차량 사이드브레이크 확인 및 바퀴에 쐐기목 설치 | |
거더 인양 및 상차 작업 중 지반 부등침하로 인하여 크레인 전도 | 지반평탄 다짐/지내력시험 실시후 작업, 크레인 사용시 아웃트리거 최대 확장 사용, 받침은 철판 등 설치하여 지반침하방지조치 후 작업 | |
신호수 지정 미흡으로 인한 충돌 낙하 | 전담 신호수 배치 | |
PSC 거더 상차 후 거더가 도괴되면서 작업자 협착 | PSC거더 상차후 크레인이 잡아준 상태에서 전도 방지 조치 실시 | |
작업특성 요인 | 2대의 크레인으로 작업 중 크레인의 작 동(인양속도 등) 부적합에 의한 사고 | 크레인 2대 조합하여 작업 시 작업방법, 인양속도 등에 대해 사전협의하여 작업실시 |
4. PSC 거더 운반 작업
분류 | 유해위험요인 | 감소대책 |
인적 요인 |
주행로 협소에 의해 운반 도중 작업 차량과 충돌 | 위험지역 교행 확보방안 마련 및 제한속도유지 |
기계적 요인 | 커브길 운행 중 차량 전도 | 커브길 감속운전, 볼록반사경 설치 |
주행로 요철에 의한 운행 중 적재물 도괴 | 운반 전 주행로 사전점검 및 유지 보수 | |
운반차량 타이어 펑크에 의한 도괴 | 운반차량 점검철저, PSC 거더 적재 수량계산하여 초과 적재 금지 | |
트레일러 안전기능 상실에 의한 주행 중 사고 | 점멸등, 후진경고음, 브레이크 등 안전장치 점검 | |
운반차량 운행 중 충돌 | 운반차량 운행 중 신호수 배치 |
5. PSC 거더 하역 인양 작업
분류 | 유해위험요인 | 감소대책 |
인적 요인 |
작업과 관련되지 않은 사람의 출입 시에 발생되는 사고 | 작업과 관계가 없는 사람이 출입하지 않도록 홍보 및 출입통제 |
신호수 지정 미흡으로 인한 충돌 낙하 | 전담 신호수 배치 | |
트레일러 적재함에서 인양 작업 중 단부에서 추락 | 적재함에서 작업중 무리한 행동 금지 | |
기계적 요인 | 하역하여 인양하려던 중 거더와 충돌 | 운전자와 작업자간 신호 준수, 줄걸이 등 확인 철저 |
트레일러의 비탈면 불시 이동에 의한 전도, 충돌 | 운반차량 사이드브레이크 확인/바퀴에 쐐기목 설치 | |
거더 하역 및 인양 작업중 지반 부등침하로 인하여 크레인 전도 | 지반평탄 다짐/지내력시험 실시후 작업, 크레인 사용시 아웃트리거 최대 확장 사용, 받침은 철판 등 설치하여 지반침하방지조치 후 작업 | |
와이어 불량 및 결속위치 불량에 의한 낙하, 파단 | 결속지점 및 와이어 등 줄걸이 상태 확인 철저 | |
줄걸이 작업불량에 의한 낙하 | 작업 전 줄걸이 이상유무 확인 점검 및 폼의 형상에 따른 줄걸이 방법 선정 철저 | |
PSC 거더 고정용 체인을 푸는순간 거더가 전도되어 작업자 협착 | PSC거더 고정용 체인 해체전 크레인 줄걸이 체결 상태 확인 | |
크레인 양중작업시 양중높이차이로 인한 편하중으로 양중하중초과로 인한 크레인 전도 | 작업지휘자에 의한 작업지휘 및 신호의 통일, 작업 반경내 출입금지조치 및 유도자 배치 | |
크레인 안전장치 작동 불량, 와이어로프 결손,샤클 손상등에 의한 추락, 전도, 낙하 | 크레인 사양 확인 및 작업전 정밀안전점검 실시 | |
트레일러 후진시 작업자 및 유도자와 충돌 | 신호수 위치는 트레일러 운전원의 시야내에 위치 | |
전기적 요인 | PSC거더 거치구간 가공전선로 접촉 감전, 추락 | 지장물 현황 사전 파악 이설 또는 방호조치하고 작업 시 신호수 배치 |
작업특성 요인 | 2대의 크레인으로 작업중 크레인의 작동(인양속도 등) 부적합에 의한 사고 | 크레인 2대 조합하여 작업 시 작업방법, 인양속도 등에 대해 사전협의하여 작업실시 |
6. PSC 거더 인양 거치 작업
분류 | 유해위험요인 | 감소대책 |
인적 요인 |
거더 인양 시 거더 모서리의 접촉부위 보호하여 로프 파단에 의한 낙하 | 거더 인양 전 와이어로프 손상되지 않도록 거더 모서리와 와이어로프 접촉부위에 보호패드 설치 |
PSC거더 인양 전 안전시설물 미설치하여 상부 작업 시 추락 | PSC 거더 위에 안전난간 및 통로용 발판을 거치 하기전에 지상에서 조립 설치 | |
거더 설치 부위에서 작업자 안전대 미착용으로 추락 | 거치작업자 안전대 고리를 걸고 작업 | |
거치 작업 중 거더와 충돌 추락 | 운전자와 작업자간 신호 준수, 줄걸이 등 확인 철저 | |
인양 줄걸이를 해체하기 위해 거더 위로 이동 중 추락 | 고핑에서 거더상부로 이동하는 통로 설치 | |
거더상부에서 인양 줄걸이 해체 작업 중 추락 | 거더상부에 인양전 안전대 걸이 시설 설치 및 안전대 고리를 걸고 작업 | |
기계적 요인 | 거더 인양거치 작업 중 지반 부등침하로 인하여 크레인 전도 | 지반평탄 다짐/지내력시험 실시후 작업, 크레인 사용시 아웃트리거 최대 확장 사용, 받침은 철판 등 설치하여 지반침하방지조치 후 작업 |
작업구역 내 이해관계자 외 출입 사고 | 작업구역내 이해관계자에 대해 홍보 및 출입통제 | |
줄걸이 작업불량에 의한 낙하 | 작업 전 줄걸이 이상유무 확인 점검 및 폼의 형상에 따른 줄걸이 방법 선정 철저 | |
PSC 거더 인양로프를 푸는 순간 거더가 전도되어 작업자 협착 | PSC거더를 거치하고 전도방지 조치를 한후 인양로프를 해체 | |
와이어 불량 및 결속위치 불량에 의한 낙하, 파단 | 결속지점 및 와이어 등 줄걸이 상태 확인 철저 | |
전기적 요인 | PSC거더 거치구간 가공전선로 접촉 감전, 추락 | 지장물 현황 사전 파악 이설 또는 방호조치하고 작업 시 신호수 배치 |
작업특성 요인 | 2대의 크레인으로 작업중 크레인의 작동 (인양속도 등) 부적합에 의한 사고 | 크레인 2대 조합하여 작업 시 작업방법, 인양속도 등에 대해 사전협의하여 작업실시 |
7. PSC 거더 전도방지 작업
분류 | 유해위험요인 | 감소대책 |
인적 요인 | 전도방지작업을 위해 거더 하부로 이동시설 미설치 또는 부적합 시설 사용으로 추락 | 승하강용 사다리 설치 및 고정 |
거더에서 작업 중 추락 | 작업자 안전대 고리를 걸고 작업 | |
철근조립 작업 중 발판이 아닌 곳에서 작업 중 추락 | 규격 발판 외의 것을 사용하지 않도록 교육 및 관리 | |
거더상부 이동통로 부적합으로 인한 추락 | 거더상부 이동통로 설치 및 거더에 안전대 부착용 수평 생명줄을 설치하고 안전대고리를 걸고 이동 | |
전도방지용 철근 용접작업 중 추락 | 거더 전도방지용 철근용접작업 시 안전대를 걸고 작업 | |
기계적 요인 | 인양하여 전도방지시설 설치 전 인양용 와이어로프를 해체하여 거더의 전도, 낙하 | 인양하여 거더 거치 즉시 전도방지 조치 후 인양용 와이어로프 해체 |
PSC 거더 거치후 빔 전도방지조치 소홀로 인한 PSC빔 도괴 | 코핑상부에 매립철근에 와이어로프를 긴장하여 고정하고, 크로스빔철근 용접, 삼각 프레임과 받침쐐기 등을 설치 | |
PSC 거더 용접철근의 적정개소 설치 누락으로 빔 전도, 낙하 | 거더 상부의 돌출철근에 철근(ø25)을 5m간격으로 지그재그로 용접하여, 거더 전체가 결속된 상태로 조치 | |
거더 전도방지 및 크로스빔용 철근 용접 중 낙하 | 용접작업장 하부 출입통제 조치 | |
전기적 요인 | 철근용접 작업 중 감전 | 사용전 기계의 외함접지 설치 상태 확인 및 충전부위 절연조치 실시, 안전장치 부착 사용 |
가설전선 피복손상으로 충전부 노출에 의한 감전 | 가설전선은 가공으로 배선하여 피복이 손상되지 않도록 하고 손상된 전선은 절연처리 하여 작업 | |
작업특성 요인 | 하부에 추락방지망 및 낙하물방지망 미설치 상태에서 작업 중 추락 | 작업자 안전대고리를 걸고 작업 및 하부 출입통제 철저 |
8. PSC 안전시설 설치 및 완료 작업
분류 | 유해위험요인 | 감소대책 |
인적 요인 | 작업과 관련되지 않은 사람의 출입시에 발생되는 사고 | 작업과 관계가 없는 사람이 출입하지 않도록 홍보 및 출입통제 |
추락방지망 설치 작업 중 추락 | 설치 작업자 안전대 고리를 걸고 작업, 작업 전 설치 계획에 대해 교육 | |
거더와 거더 사이를 이동하던 중 추락 | 거더와 거더를 횡단할 수 있는 통로 설치 | |
거더상부로 이동하는 통로 설치 불량으로 인한 이동 중 추락 | 교량상부 작업에 필요한 승강통로 설치 | |
추락/낙하물 방지망 연결부위 틈새 과다 발생으로 인한 추락, 낙하물 사고 | 틈새가 발생하지 않도록 설치계획을 수립하고 작업 중 준수하여 작업 | |
전기적 요인 | 절연이 불량한 공도구 사용으로 인한 감전 | 사용 전 기계의 외함 접지 설치 상태 확인 및 충전부위 절연조치 |
가설전선 피복손상으로 충전부 노출에 의한 감전 | 가설전선은 가공으로 배선하여 피복이 손상되지 않도록 하고 손상된 전선은 절연처리 하여 작업 |
PSC거더 거치 작업 재해 사례

- 재해개요
- PSC빔을 교각 상부에 거치하던 중 이동식크레인 아웃트리거가 파손되며 크레인 붐이 거치된 PSC빔에 충돌하여 크로스 빔 철근 용접중이던 피재자가 추락하여 1명이 사망하고, 1명이 부상한 재해
- 재해원인
- 이동식크레인 아우트리거 용접부 파단
- PSC 빔 거치후 가조립상태 미흡
- 안전대책
- 크레인 사용자는 자체 또는 정기검사 시 주요구조부위의 용접상태 등은 가능한 비파괴검사, 정밀육안검사를 통해 하중지지부의 안전성 확보
- PSC 빔은 전도위험이 높은 중량물 구조이므로 설계도서에 명기된 전도방지조치 (전도방지철근, PC강연선 앵카, 전도방지 경사목 설치 등) 철저
- 형태
- 충돌, 추락

- 재해개요
- 거더 단부 크로스 빔의 철근용접을 완료한 후 다음 작업 준비를 위해 이동 중이던 작업원(용접공)이 교좌장치(P3-2)에 걸려 넘어지면서 추락한 사고
- 재해원인
- 안전대 체결 기피하는 현상이 발생
- 안전대책 이행여부 지속적 관리가 미흡
- 안전대책
- 근로자 심리를 감안한 코핑 상단 안전대 부착설비 개선
- 개인보호구 미착용, 미체결 근로자 퇴출제 운영
- 형태
- 추락

- 재해개요
- P.S.C Beam과 Beam 사이에 각재 6개로 합판 야적용 발판을 설치한 후 인양된 자재를 하역 중 합판 받침용 각재발판이 부러지면서 합판더미와 함께 추락
- 재해원인
- 작업순서 및 방법 미 준수
- 관리감독 및 안전교육 미흡
- 안전대책
- 자재 적재 시에는 충분한 강도(단관파이프 이상의 강도 또는 경량알루미늄 발판 등)를 가진 자재 적재용 발판을 설치
- 형태
- 탈락, 추락

- 재해개요
- 전도방지 턴바클설치를 완료하고 전도방지용 크로스 빔 철근을 용접 중 PC빔 5본이 전도됨과 동시에 이를 감지하고 피하기 위해 P1에 작업 중이던 작업원 2명이 교각높이 6.0M 코핑상단에서 뛰어내리고 P2에 작업중이던 1명이 옆으로 피한 사고
- 재해원인
- PSC 빔 고정작업 미준수
- 작업자 개인보호구 및 안전대 미체결
- 안전대책
- 빔 거치후 쐐기설치 및 빔의 수평상태 확인
- 크레인 와이어 상태 및 인양고리 이상유무, 아웃트리거 설치상태 점검
- 형태
- 전도, 추락

- 재해개요
- PSC BEAM을 슈에 안착시킨 후 Wire를 분리하기 위해 안전벨트를 전단철근에 걸고 작업을 하던중 몸의 중심을 잃고 빔측면으로 떨어져 안전벨트에 메달린채 PSC BEAM에 부딪치면서 고관절이 골절된 재해
- 재해원인
- 크로스 빔 용접을 위한 작업상황을 점검후 전도방지용 수평각재를 밟고 이동 중 각재가 부러지면서 추락
- 안전대책
- 이동통로 설치
- 특별안전교육 실시 및 관리감독 철저
- 형태
- 추락, 충돌

- 재해개요
- PSC빔의 전도방지조치를 위해 와이어로프를 들고 빔 상단에 올라가 와이어로프를 고정하고, PSC빔(높이2M)의 중간부(높이1M)에서 뛰어내리던중 코핑바닥에 있던 PSC빔전도방지 쐐기목(각재20CM)을 오른발 뒤꿈치로 밟으면서 뒤꿈치 골절상을입은 사고
- 재해원인
- 이동통로 미설치
- 근로자의 불안전한 행동
- 안전대책
- PSC빔 승강설비(이동식사다리)설치운영
- 근로자 안전작업 수칙 준수 및 안전교육 실시
- 형태
- 부딪힘, 충돌
반응형
'안전관리자 > 위험성 평가'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강교 설치 작업 위험성 평가 (1) | 2024.06.16 |
---|---|
PSC교량 슬라브 작업 위험성 평가 (1) | 2024.06.15 |
PSC거더 제작 작업 위험성 평가 (1) | 2024.06.15 |
교량점검로 설치 작업 위험성 평가 (1) | 2024.06.15 |
교각 및 코핑 철근 작업 위험성 평가 (0) | 2024.06.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