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개요
- 가설플랜트(B/P)란 건설공사에서 사용되는 콘크리트 및 숏크리트를 생산하기 위한 골재 저장, 계량장치 및 혼합장치를 가진 Batch Plant 설비 등을 말한다.
- 가설플랜트에서는 골재 운반장비 반출입 및 플랜트 운전 중에 협착, 충돌 등의 재해, 설치작업시 중량물 낙하, 추락, 감전 사고가 발생한다.
단위작업 분류 및 순서
- 가설플랜트 설비 자재 반입 작업
- 플랜트 유닛 조립
- 시멘트 사일로 설치
- 지붕설치 작업
- 플랜트 운영
- B/P 해체 반출
1. 가설플랜트 설비 자재 반입 작업
분류 | 유해위험요인 | 감소대책 |
인적 요인 | 줄걸이 체결 작업을 위해 높은 부재 위로 이동중 추락 | 부피가 크고 높은 부재의 줄걸이 작업시 안전통로를 설치하고 작업 |
운반트럭 적재함에 임의로 올라가서 작업중 추락 | 차량 적재함 운전자 외 탑승 작업금지 | |
크레인으로 하역 작업 중 자재하부에 발 협착 | 낙하물 방지목 사용(높이10cm이상) | |
기계적 요인 | 차량 적재 고정용 로프를 푸는 중 낙하 | 차량 적재시 하중이 한쪽 으로 치우치지 않게 적재 |
지게차로 자재 하역 중 후방에 근로자 접근충돌 | 1. 후방접근 금지 조치 2. 후진 전 후방 확인실시 |
|
자재 하역 중 인양로프가 끊어져 자재가 낙하 | 인양로프는 손상되거나 변형, 부식되지 않은 것 사용 | |
공장에서 묶은 자재의 일부분에 로프를 체결하여 인양 중 체결되지 않은 부위에 자재가 낙하 |
1. 줄걸이 작업자 선정 교육 2. 줄걸이 확인 후 인양 |
|
전기적 요인 | 고압선로 주변 크레인 작업중 선로 접촉 감전 | 고압선로에 방호관 설치, 감시자 배치, 이격거리 준수 |
작업특성 요인 | 자재하역시 조립순서를 계획하지 않고 장비를 적재하여 후속 작업중 협착, 전도 등 사고 | 자재반입전 장비설치 계획을 수립하고 자재 및 장비 적재 순서와 방법을 미리계획하여 작업 |
작업환경 요인 | 철재 중량물 취급 작업중 협착 | 중량물 취급 작업에 대한 안전수칙 등 교육 후 작업 |
2. 플랜트 유닛 조립 작업
분류 | 유해위험요인 | 감소대책 |
인적 요인 | 플랜트 유닛 조립 중 무리한 작업으로 인하여 크레인 전도 사고 및 상부 근로자 추락 | 플랜트 유닛 조립 작업시에는 시공순서에 맞게 작업하며 상부에서 작업하는 근로자는 고소작업에 맞는 보호구를 착용 |
상부 이동통로 미설치 상태에서 승하강 중 추락 | 설치 작업전 승강통로 사전 설치 | |
크레인으로 하역작업중 자재하부에 발을 넣어 협착 | 받침목 사용(높이10cm이상) | |
부재 등 철골 고정 중 협착 | 철골 등 부재 고정시 크레인 운전자와 작업자간의 신호 연락체계확립 후 작업실시 | |
플랜트 각 부재 상부 이동중 수직사다리에서 추락 | 수직사다리에 수직로프, 안전블록 설치 후 안전대를 걸고 이동 | |
기계적 요인 | 중량물 운반 설치 작업중 충돌 | 중량물 취급 운반시 유도로프를 설치하고 신호수를 배치하여 작업 |
인양중 하부 근로자와 충돌 | 인양시 신호수 배치, 작업반경내 출입통제 조치 | |
인양로프의 파단으로 플랜트 부재 낙하 | 인양 작업전 인양로프의 상태 점검 실시 | |
전기적 요인 | 고속절단사용으로 인한 감전 | 사용전 기계의 외함접지 설치 상태 확인 및 충전부위 절연조치 실시 |
가설전선 피복 노출에 의한 감전 | 가설전선은 가공으로 배선하여 피복이 손상되지 않도록 하고 손상된 전선은 절연처리 하고 작업 | |
작업특성 요인 | 철재 중량물 취급 작업중 협착 | 중량물 취급 작업에 대한 안전수칙 등 교육 후 작업 |
협소한 작업공간 및 불량한 작업환경으로 인하여 충돌 및 전도 | 작업시작 전 충분한 작업공간을 확보하며 지반 약화시 양질의 토사 및 버력으로 치환하여 지지력을 확보한 후 작업 |
3. 시멘트 사일로 설치 작업
분류 | 유해위험요인 | 감소대책 |
인적 요인 | 사일로를 철골에 고정 중 협착 | 사일로 고정시 크레인 운전자와 작업자간의 신호 연락체계 확립 후 작업실시 |
운반트럭 적재함에 근로자 임의로 올라가서 작업중 추락 | 차량 적재함 운전자 외 탑승 작업금지 | |
크레인으로 하역작업중 자재하부에 발을 넣어 협착 | 받침목 사용(높이10cm이상) | |
사일로 상부 이동중 수직사다리에서 추락 | 사일로 수직사다리에 수직로프 , 안전블록 설치 후 안전대를 걸고 이동 | |
기계적 요인 | 인양로프의 파단으로 사일로 낙하 | 사일로 인양 작업전 인양로프의 상태 점검 실시 |
지게차로 자재 하역 중 후방에 근로자 접근충돌 | 1. 후방접근 금지 조치 2. 후진 전 후방 확인실시 |
|
사일로 인양중 하부 근로자와 충돌 | 사일로 인양시 신호수 배치, 작업반경내 출입통제 조치 | |
중량물 운반 설치 작업중 충돌 | 중량물 취급 운반시 유도로프를 설치하고 신호수를 배치하여 작업 | |
트러스 및 지붕판넬 설치 작업중 벽체의 전도 | 적업전 점검 및 보강조치시설 설치 | |
전기적 요인 | 고속절단사용으로 인한 감전 | 사용전 기계의 외함접지 설치 상태 확인 및 충전부위 절연조치 실시 |
가설전선 피복 노출에 의한 감전 | 가설전선은 가공으로 배선하여 피복이 손상되지 않도록 하고 손상된 전선은 절연처리 하고 작업 | |
작업특성 요인 | 철재 중량물 취급 작업중 협착 | 중량물 취급 작업에 대한 안전수칙 등 교육 후 작업 |
사일로 상부에 안전난간 미설치로 상부 점검 및 설치 작업중 추락 | 사일로 설치전 상부에 안전난간 설치 후 사일로 설치 |
4. 지붕설치 작업
분류 | 유해위험요인 | 감소대책 |
인적 요인 | 트러스 설치 후 인양로프를 해체하던 중 트러스에서 추락 | 1. 줄걸이 작업자 선정 교육 2. 줄걸이 확인 후 인양 |
운반트럭 적재함에 근로자 임의로 올라가서 작업중 추락 | 차량 적재함 운전자 외 탑승 작업금지 | |
크레인으로 하역작업중 자재하부에 발을 넣어 협착 | 받침목 사용(높이10cm이상) | |
트러스 설치 작업중 사다리에서 추락 | 우마 또는 틀비계 등으로 작업발판을 설치 후 작업 | |
기계적 요인 | 트러스 인양 설치중 로프가 끊어져 자재가 낙하 | 인양로프는 손상되거나 변형, 부식되지 않은 것 사용 |
지게차로 자재 하역 중 후방에 근로자 접근충돌 | 1. 후방접근 금지 조치 2. 후진 전 후방 확인실시 |
|
중량물 운반 설치 작업중 충돌 | 중량물 취급 운반시 유도로프를 설치하고 신호수를 배치하여 작업 | |
지붕판넬 인양시 낙하 및 충돌 | 지붕판넬 인양 설치계획 수립 확인 및 이행 | |
트러스 및 지붕판넬 설치 작업중 벽체의 전도 | 적업전 점검 및 보강조치시설 설치 | |
전기적 요인 | 고속절단사용으로 인한 감전 | 사용전 기계의 외함접지 설치 상태 확인 및 충전부위 절연조치 실시 |
가설전선 피복 노출에 의한 감전 | 가설전선은 가공으로 배선하여 피복이 손상되지 않도록 하고 손상된 전선은 절연처리 하고 작업 | |
작업특성 요인 | 철재 중량물 취급 작업중 협착 | 중량물 취급 작업에 대한 안전수칙 등 교육 후 작업 |
작업환경 요인 | 작업장 주변 주민의 작업장 출입 및 통행 중 사고 | 안전통로 확보, 작업장 주변 출입금지 구역 설정 및 견고한 방호벽 설치 |
5. 플랜트 운영 작업
분류 | 유해위험요인 | 감소대책 |
인적 요인 | 호퍼에 낀 골재를 제거하려다 호퍼 내부로 실족 | 골재 호퍼 상부에 스크린형 덮개 설치, 골재 제거시 보조기구 사용 |
혼합기로 승강하다 실족하여 추락 | 수직 승강로에 구명줄 설치 및 방호울 설치 | |
조명 등 설치 운영 불량에 따른 전도 추락 | 작업장에 알맞은 조명 설치 | |
벨트 컨베이어 점검 통로 이동 중 벨트 컨베이어에 협착 및 정비 중 회전부에 협착 | 벨트 컨베이어 비상정지스위치, 회전부 방호장치 설치, 운전중 정비, 보수 금지 | |
기계적 요인 | 페이로더로 골재 운반 중 후방의 근로자와 충돌 | 장비 작업반경내 근로자 통행 금지 및 장비 작업 동선 밖으로 근로자 보행통로 선정 |
제작장내 관계자외 출입으로 인한 사고 | 작업구역내 작업자외 출입통제 | |
콘크리트 배출구 청소 작업중 상부 콘크리트 낙하 | 콘크리트 배출구 주변 콘크리트 등 부착물 사전 제거 확인후 하부 작업투입 | |
각종통로 운영시 통로 입구에 자재적재로 인한 작업자 전도 | 통로부위 자재 등 적재 금지 | |
작업장내 각종 회전체에 덮개 설치 미흡으로 인한 사고 | 작업장내 회전체에 울, 덮개 등 방호장치 설치 | |
작업장 통로설치 불량으로 인한 이동중 전락 | 작업장 이동통로 설치 철저 | |
전기적 요인 | 불량공도구 사용으로 인한 감전 | 사용전 기계의 외함접지 설치 상태 확인 및 충전부위 절연조치 실시 |
가설전선 피복 노출에 의한 감전 | 가설전선은 가공으로 배선하여 피복이 손상되지 않도록 하고 손상된 전선은 절연처리 하고 작업 | |
작업특성 요인 | 철재 중량물 취급 작업중 협착 | 중량물 취급 작업에 대한 안전수칙 등 교육 후 작업 |
작업환경 요인 | 강풍시 제작장 지붕이 날아감 | 강풍시 제작장 지붕을 접어놓을 수 있는 구조로 철고 제작 |
6. B/P 해체 반출 작업
분류 | 유해위험요인 | 감소대책 |
인적 요인 | 작업구역내 이해관계자 외 출입 사고 | 작업구역내 이해관계자에 대해 홍보 및 출입통제 |
카고크레인 등 양중기 조작중 조작미숙에 의한 오작동 발생 | 크레인 운전원 자격유무 확인 후 작업투입 | |
철골해체 작업중 헤체순서 미준수로 인한 철골 붕괴 및 추락 | 철골해체 작업전 해체순서에 대한 안전교육 및 순서 준수하여 작업 실시, 작업시 2중 안전고리 사용 작업 | |
지붕으로 오르던 중 추락 | 지붕으로 이동시 승강시설 설치 후 이동, 가능한 지붕으로 이동하는 것 지양 고소작업차 등 이용하여 해체 | |
기계적 요인 | 산소절단기 사용 작업중 불꽃비산으로 화재 | 산소절단기 사용작업시 하부 인화성 물질 제거 및 불티비산방지 조치 후 작업 |
중량물 인양 작업중 슬링벨트 파단으로 낙하 | 인양용로프의 사용전 점검 및 작업중 수시 점 | |
해체 자체 인양 중 자재 낙하 | 인양시 2줄걸이로 견고하게 결속하고 무게중심을 맞추어 수직 인양 | |
크레인 아웃트리거 미사용으로 자재 인양시 전도 | 크레인 사용시 아웃트리거 최대 확장 사용, 받침은 철판 등 설치하여 지반침하방지조치 후 작업 | |
해체 작업중 하부 개구부 등에 빠짐 | 상부 해체 작업전 하부 구조물 등 바닥 평탄작업 실시 | |
전기적 요인 | 불량공도구 사용으로 인한 감전 | 사용전 기계의 외함접지 설치 상태 확인 및 충전부위 절연조치 실시 |
가설전선 피복 노출에 의한 감전 | 가설전선은 가공으로 배선하여 피복이 손상되지 않도록 하고 손상된 전선은 절연처리 하고 작업 | |
작업특성 요인 | 철재 중량물 취급 작업중 협착 | 중량물 취급 작업에 대한 안전수칙 등 교육 후 작업 |
작업환경 요인 | 해체작업시 고압가스 사용시 화재, 폭발 | 고압가스 사용시 하부 인호성 물질 제거, 불꽃비산방지 장치 설치, 소화기 비치 |
가설플랜트(B.P) 작업 재해 사례

- 재해개요
- 도로공사 현장내 뱃치 플랜트(Batch Plant, B/P)에서 당일 작업 종료후 피재자가 믹서기 내부 콘크리트 잔재 제거 작업중 B/P 운전원의 오조작 으로 믹서기가 회전하여 협착 사망한 재해
- 재해원인
- 믹서기 오작동 방지장치 미흡
- 운전원의 판단 착오
- 안전대책
-
믹서기 내부에 작업자가 투입된 상태에서 오조작에 의한 믹서기 작동을 방지하기 위해 믹서기 출입구에 스위치를 부착하여 출입구가 열린 상태 에서 믹서기의 작동을 방지할 수 있도록 추가적인 안전장치 확보
- 위험 기계·설비 조작원 및 관련 작업자에 대한 적정 근무시간 준수, 신체이상 관찰 등 작업근로자에 대한 사업주의 역할이 요구됨. 위험 기계·설비작업자에 대한 정기적인 안전교육 실시
-
- 형태
- 협착

- 재해개요
- 건물 지붕 보수 작업중 지붕재로 사용된 선라이트가 파손되면서 지상1층 바닥으로 추락하여 2명 사망, 1명 부상한 재해
- 재해원인
- 추락방지 조치 미흡
- 안전대책
- 슬레이트, 선라이트 등 강도가 약한 재료로 덮은 지붕위에서 작업을 할 때에는 발이 빠지는 등 근로자가 위험해질 우려가 있는 경우는 폭 30cm이상의 발판을 설치하거나 안전방망을 치는 등 위험을 방지하기 위한 조치를 하여야 함
- 형태
- 추락

- 재해개요
- 골재 이송용인 벨트 컨베이어의 풀리(드럼)에 끼인 이물질을 발견하고, 벨트의 상부에 설치된 이동식 방호울을 제거한 후 삽을 이용하여 이물질을 제거하던 중, 삽과 함께 벨트와 풀리 사이로 말려들어가 협착되어 사망한 재해
- 재해원인
- 회전부 덮개 미설치
- 정비작업시 운전정지 미실시
- 안전대책
-
컨베이어 등 기계의 원동기․회전축․풀리 등 근로자에게 위험을 미칠 우려가 있는 부위에는 덮개․울 등을 설치하여야 함
- 컨베이어 등 기계의 정비․청소․급유․검사․수리 등의 보수유지 작업을 함에 있어서 근로자에게 위험을 미칠 우려가 있을 때에는 기계의 운전을 정지시키고, 작동하지 않도록 잠금장치 등을 설치
-
- 형태
- 협착

- 재해개요
- 이동식크레인을 이용하여 철골 기둥세우기 작업중 철골부재가 슬링벨트로부터 이탈되어 전도되면서 철골부재에 피재자가 맞아 사망한 재해
- 재해원인
- 작업방법 불량
- 작업계획서 미작성
- 안전대책
- 중량물을 인양할 경우에는 인양부재로부터 줄걸이의 이탈을 예방하기 위하여 중량물의 형상 등을 고려하여 안전한 줄걸이 방법을 선정하여 관리
- 중량물을 취급하는 작업을 하는 때에는 중량물의 종류 및 형상, 취급방법 및 순서, 작업장소의 넓이 및 지형 등에 대한 작업계획을 작성하고 당해 근로자에게 주지
- 형태
- 도괴

- 재해개요
- 사일로(SILO)의 점검용 철재계단(길이 6.6m, 중량 400kg)을 설치하던 중 가 거치된 철재계단을 지지하고 있던 C형강의 용접부위가 파단되면서 철재계단과 함께 약 12m아래로 추락하여 사망한 재해임.
- 재해원인
- 가용접 작업 철저
- 작업발판 등 작업대 설치 미흡
- 안전대책
- 철골 조립작업시에는 설계서 및 시방서 기준에 따라 접합부의 볼트체결 및 가거치용 C형강에 전단파괴가 발생하지 않도록 용접작업을 철저히 하여야 함
- 작업발판 등의 설치가 곤란한 때에는 탑승설비 등을 사용하여 작업을 진행토록 하여야 함
- 형태
- 추락

- 재해개요
- 트럭 적재함의 자재(합판 묶음, 약0.7ton)를 지게차를 사용하여 내리던 중 포크에 걸려서 끌려오던 자재더미가 적재함에서 낙하하며 피재자를 덮쳐 사망한 재해
- 재해원인
- 시야미확보
- 유도자 미배치 및 작업반경내 접근
- 안전대책
- 지게차를 사용하여 자재하역작업을 하는 때에는 운전자의 시야가 확보되도록 적재물의 높이를 조절
- 유도자에 의하여 사각지대를 최소화하여야 함
- 형태
- 낙하

- 재해개요
- 철골구조 상부에서 10m 길이의 찬넬 2개를 이동식크레인으로 인양 및 거치한 상태에서 한 쪽 섬유벨트의 샤클을 해체한 후 반대편에 체결된 샤클을 해체하려고 이동하던 중 실족하여 약 6m 아래 콘크리트 바닥으로 추락ㆍ사망한 재
- 재해원인
- 위험방지 조치 소홀
- 안전대부착설비 미설치,안전대 미착용
- 안전대책
- 철골구조 상부에서 철골 조립작업 등을 진행하는 때에는 하부에 안전방망을 설치
- 안전대 부착설비 설치 후 작업자로 하여금 안전대를 착용하고 부착설비에 걸어 작업토록 하여야 함
- 형태
- 추락

- 재해개요
- 카고크레인에 부착된 cage에 탑승하여 공장동 외측 C-형강 등을 절단하던중 외부에 돌출된 철물과 카고크레인 cage가 부딪치면서 cage가 크레인에서 이탈하여 추락하여(7m) 사망한 재해임
- 재해원인
- 볼트체결 불량 및 강도 미흡
- 안전대부착설비 미설치 및 안전대 미착용
- 이탈방지 장치 미부착
- 안전대책
- 이동식크레인에 탑승설비를 이용하여 근로자를 탑승시킨후 작업을하는 경우에는 크레인에 부착된 탑승설비의 제작사양 및 사용방법 등을 사전에 숙지하고, 탑승설비가 크레인에서 이탈하지 않도록 설치하는 이탈방지장치(고정핀등) 부착후 사용
- 형태
- 탈락, 추락
반응형
'안전관리자 > 위험성 평가'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개구부 작업 위험성 평가 (1) | 2024.06.05 |
---|---|
가설플랜트(크라샤) 작업 위험성 평가 (0) | 2024.06.05 |
굴착 단부 작업 위험성 평가 (0) | 2024.06.05 |
통풍설비(DUCT)설치 작업 위험성 평가 (1) | 2024.06.04 |
배관 작업 위험성 평가 (0) | 2024.06.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