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개요
- 덕트란 공기정화장치에서 공기를 이송시키는 통로를 말한다. 덕트의 모양은 원형이나 사각형을 사용하며, 재질은 함석, 아연도금강판, 플라스틱류 등을 사용한다.
- 덕트의 날카로운 부분에 창상, 고소작업대에서 추락 및 전도, 사다리에서 전도 등의 사고가 발생한다.
단위작업 분류 및 순서
- 자재 반입 및 운반 작업
- 덕트 가공 작업
- 덕트 보온 작업
- 행거 설치
- 덕트 설치
- 덕트 마감 작업
- 기구 설치 작업
- 정리정돈 작업
1. 자재 반입 및 운반 작업
분류 | 유해위험요인 | 감소대책 |
인적 요인 | 지게차 사용 중 충돌 협착 | 지게차 사용시 전담신호수 배치, 작업반경내 출입통제, 후방감시카메라 확인 |
장비점검 미흡으로 인한 작업중 사고 | 장비종류에 따른 점검체크리스트를 작성하여 점검 | |
장비작업 전 신호수 미지정에 의한 사고 | 장비작업 전 신호수를 지정하고 신호수 교육을 실시 | |
기계적 요인 | 지게차에 과적하여 운행 중 낙하, 충돌 | 자재 운반시 낙하 및 구름방지조치 및 운반로 사전 안전조치(개구부 및 요철부 제거) |
자재를 적재한 후 이동통로 미확보에 의한 근로자 이동 중 사고 | 자재 적재방향 및 보행 통로 확보 | |
크레인 등으로 자재 양중시 고층 단부에서 자재를 받는 작업중 추락 | 크레인 등 장비를 사용하여 양중시 신호수 배치, 장비의 안전설치, 슬라브 단부 등에서 자재를 받을시 유도로프를 이용하고, 작업자는 안전대 착용 | |
하역장소에 타 공종 근로자 통행 중 충돌 | 하역장소에 근로자 통행 및 타 작업과의 간섭이 발생하지 않도록 위치 선정하여 작업 | |
자재 운반시 개구부로 추락 | 자재 운반전 운반로 확인 및 개구부 덮개 설치 | |
작업특성 요인 | 작업위치에 대한 사전조사 미흡에 따른 사고 | 자재적재 장소 및 운반 장소에 대해 사전파악 후 개구 및 작업 간섭 공종과 협의 하여 작업 진행 |
자재의 특성상 날카로운 모서리에 베임 등 창상 | 하역 또는 운반작업시 공자에서 보양해온 것을 제거하지 말고 운반 | |
작업환경 요인 | 자재 반입 적재 장소 미확보로 인한 사고 | 자재 적재장소를 확보하고 하역 안전작업 계획을 수립하여 작업 실시 |
2. 덕트 가공 작업
분류 | 유해위험요인 | 감소대책 |
인적 요인 | Shop장 설치기준 미준수로 인한 사고 | Shop장내 인화성 물질 격리, 소화기 비치철저 Shop장내 자재적재 및 가공공간, 이동통로 구획 구분하여 정리 |
조명 불량 및 정리정돈 불량에 의한 전도 | 작업장내 조명 설치 및 정리정돈 철저 | |
기계적 요인 | 앵글 및 보강 PIPE, 전산볼트 절단 작업시 고속절단기 날 접촉 | 고속절단기 커버 등 방호장치 점검, 고속절단기 안전작업수칙 준수하여 작업하도록 교육 및 확인 |
드릴로 홀 가공 시 드릴에 창상 | 드릴 작업 안전수칙 준수 | |
가공 홀 도장 미흡으로 부식, 변형 사고 | 가공 홀은 프라이머로 도장 | |
타공 부위 마감처리 미흡에 따른 사용 중 사고 | 타공 부위는 코킹으로 마감 처리 | |
장변 기준으로 1m이상인 덕트 내부 보강 미흡으로 덕트 변형에 의한 사고 | 덕트내부 보강 철저 | |
전기적 요인 | 불량 공도구 사용으로 인한 감전 | 사용전 기계의 외함 접지 설치 상태 확인 및 충전부위 절연조치 실시 |
가설전선 피복손상에 의한 충천부 접촉으로 감전 | 옥상 작업전 옥상 상부로 이동할 수 있는 통로 설치 | |
작업특성 요인 | 부피가 커 가공 적재 시 높게 쌓아 적재 후 필요한 덕트 사용 중 쌓아놓는 덕트 붕괴 | 덕트는 쌓아 두지 않도록 하고 세워둠 시공계획에 의거 즉시 시공 |
3. 덕트 보온 작업
분류 | 유해위험요인 | 감소대책 |
인적 요인 | 자재 인양 운반 작업중 낙하 | 줄걸이 상태 및 인양 작업계획 수립하여 작업 |
기계적 요인 | 덕트면 이물질 제거시 알콜사용 중 화재 | 주변 화기사용금지 및 소화기 배치 |
칼 사용 부주위로 인한 창상 | 칼 사용시 안전수칙 준수하여 작업 | |
정리정돈 불량에 의한 전도 | 정리정돈 및 조명 설치 | |
전기적 요인 | 미 검정 전동공구 사용 중 감전 | 작업전 공도구 점검, 접지선과 누전차단기 사용 |
가설전선 피복손상에 의한 충천부 접촉으로 감전 | 이동용 전선 등 사용 전 점검 | |
작업환경 요인 | 턱트 크기에 맞춰 자르고 남은 보온재 처리 미흡으로 피부, 호흡기 등 질환 | 보온재 취급시 방진마스크 착용 및 잔여 보온재 분리수거 후 즉시 처리 |
4. 행거 설치 작업
분류 | 유해위험요인 | 감소대책 |
인적 요인 | T/L이용하여 승강중 협착 | T/L 과상승방지장치 설치 및 작동확인 |
행가설치 작업중 추락, 이동 중 전도 | T/L 이용하여 작업시 안전대를 걸고 작업 및 하강후 이동, 이동로 확인 철저 | |
기계적 요인 | 고속절단기로 전산볼트 절단 및 연마시 날 비산 및 접촉사고 | 연마는 연마석을 이용하여 연마하고 고속절단기 커버 설치 |
고속절단기 작업중 회전하는 날에 접촉 | 날접촉 방지 커버 설치 등 고속절단기 사용 안전수칙 준수 | |
앙카설치 후 강도 미확인으로 덕트 설치시 덕트 낙하, 추락 | 앙카 작업후 강도확인 후 작업 | |
작업대 위에서 작업중 공구 등 낙하 | 작업대 작업시 공구 달줄 설치 사용 | |
정리정돈 불량에 의한 전도 | 정리정돈 및 조명 설치 | |
전기적 요인 | 미 검정 전동공구 사용 중 감전 | 작업전 공도구 점검, 접지선과 누전차단기 사용 |
가설전선 피복손상에 의한 충천부 접촉으로 감전 | 이동용 전선 등 사용 전 점검 | |
작업특성 요인 | 용접작업 및 고속 절단기 작업중 불꽃이 비산하여 화재발생 | 화기취급 작업장 인화성물질 제거, 불꽃비산방지막 설치, 불티감시자 배치, 소화기 비치 등 화재예방조치 |
작업환경 요인 | 앙카드릴로 구멍을 뚫을 때 분진이 눈에 들어감 | 앙카드릴 작업시 보안경, 방진마스크 착용 |
5. 덕트 설치 작업
분류 | 유해위험요인 | 감소대책 |
인적 요인 | 덕트를 알코올, 물로 세척시 화재 | 작업시 주위 인화물질 완전제거 및 작업장 주변 소화기 비치 |
작업이 완료된 덕트 개구부 막기 등 보양시 창상 | 비닐 랩으로 보양시 안전장갑 착용 | |
기계적 요인 | 보온이 끝난 덕트 T/L이용하여 행가에 설치시 덕트 낙하 | T/L에 덕트 상차 후 승강 및 이동시 급격한 운전금지, 숙련된 운전원 운전 |
T/L로 덕트 인양 중 협착 | T/L 과상승방지장치 설치 및 작동여부 수시 확인 | |
T/L 조작 미숙으로 인한 충돌 | T/L 운전자는 사전에 검증된 자를 지정하여 작업 | |
덕트를 볼트와 C-BAR를 이용하여 체결 작업시 추락 | 설치된 덕트 플랜지 안쪽부분에 로프를 설치하고 안전고리를 체결한 후 작업 확인 | |
전기적 요인 | 전동공구 누전에 의한 감전 | 전동공구 작업 전 사전 점검 후 필증 부착 사용 |
가설전선 피복손상에 의한 충천부 접촉으로 감전 | 이동용 전선 등 사용 전 점검 | |
작업특성 요인 | T/L 2대를 이용하여 덕트 인양 설치작업중 조작 미숙으로 인한 덕트 낙하 | T/L 2대를 이용하여 인양 설치 작업시 신호를 통일하고 준수하여 작업 |
6. 덕트 마감 작업
분류 | 유해위험요인 | 감소대책 |
인적 요인 | 덕트 연결부위 아티론 보온재 마감 작업시 덕트 상부에 올라가 작업중 추락 | 안전고리를 반드시 체결 후 작업 |
보온이 끝난 연결부 은박테이프 부착시 추락 | 안전대 고리를 걸고 작업 | |
기계적 요인 | 테이블리프트 작업시 협착 | 테이블리프트 작업시 과상승방지장치 등 안전장치 작동유무 수시 확인 철저 |
전기적 요인 | 전동공구 누전에 의한 감전 | 전동공구 작업 전 사전 점검 후 필증 부착 사용 |
이동용 전선 피복 노출 등 불량으로 인한 감전 | 이동용 전선 등 사용 전 점검 |
7. 기구 설치 작업
분류 | 유해위험요인 | 감소대책 |
인적 요인 | T/L 상부작업시 난간대를 발판대용으로 사용 중 추락위험 | 작업 전 교육철저 및 공종 계획에 따른 안전작업순서 숙지 |
기계적 요인 | 개구부 주변작업중 개구부로 추락, 낙하 | 작업부위 주변 개구부 덮개 등 설치 상태 확인 |
T/L 상승 도중배관에 협착위험 | 과상승방지봉(50cm) 부착 및 숙련공에 의한 운전 | |
고소작업구간 상부 작업시 안전대 미착용으로 인한 추락위험 | 추락방지용 생명줄 설치 및 안전대 고리 사용 철저 | |
볼팅작업시 낙하물방지 조치 미비로 인한 낙하물 사고 | 하부 낙하물 방지 및 작업반경내 근로자 접근금지 조치 | |
전기적 요인 | 전동공구 누전에 의한 감전 | 전동공구 작업 전 사전 점검 후 필증 부착 사용 |
이동용 전선 피복 손상에 의한 접촉으로 감전 | 이동용 전선 등 사용 전 점검 |
8. 정리정돈 작업
분류 | 유해위험요인 | 감소대책 |
인적 요인 | 고소부위에서 잔재물을 무단 투기하여 하부 근로자가 맞음 | 가설재 해체, 현장 정리정돈 계획을 수립하여 작업, 상부에서 하부로 던지거나 하는 불안전한 행동 금지 |
안전대 미착용 상태에서 가설재 철거 작업중 추락 | 가설비계, 승강설비, 작업발판 등 가설재 해체 작업시 안전대 고리를 걸고 작업 | |
청소 및 정리정돈 작업시 보안경 및 방진마스크 등 보호구 착용 미흡으로 인한 건강상 장해 발생 | 정리정돈 및 청소 작업시 먼지, 원재료 취급에 적합한 복장보호구 착용 후 작업 | |
기계적 요인 | 사용하고 남은 폐자재를 현장에 방치하여 이동중 전도 | 폐자재(보온재, 찬넬, 앵글, 전산볼트등)를 분리하여 처리 |
폐기물을 분리하지 않고 적재 | 폐기물은 지정된 장소에 분리 및 처리 | |
비계 등 가시설 자재를 장비로 운반하던 중 낙하 | 단관파이프 든 가설재는 규격별로 묶어서 낙하가 발생하지 않도록하여 운반, 운반용 줄걸이 사전 점검, 핀 및 클램프 등 부잦재 운반은 마대 또는 BOX에 적재하여 정리정돈 실시 | |
전기적 요인 | 작업장에 사용하는 조명시설(투광등 등) 누전에 의한 감전 | 투광등의 누전여부 등 사용전 점검을 하고 사용하여야 함 |
사용하는 전선의 피복손상으로 충전부 접촉 감전 | 가설전선 사용 전, 중 점검실시 및 가공 배선 설치 | |
재료적 요인 | DUCT 재료의 날카로운 잉여자재 취급중 창상 | DUCT 재단 후 날카로운 잉여자재 취급시 보호장갑 등 착용 |
작업특성 요인 | 폐기물로 생각하고 한꺼번에 취급중 날카롭거나 건강상 유해 물질이 피부에 접촉되는 사고 | 정리정돈 작업시 방진복장, 안전장갑, 방진마스크, 보안경 등을 착용하고 성상에 따라 분리하여 작업 |
작업환경 요인 | 정리정돈시 비산먼지에 의한 호흡기 안구 사고 | 비산먼지 억제할 수 있는 방법으로 정리정돈 및 청소 실시 |
덕트 보온재 그라스울 취급 중 피부질환 발생 | 방진복장 착용후 작업 |
덕트 설치 작업 재해 사례

- 재해개요
- 1층 슬래브 거푸집 정리작업을 진행하는 과정에서 제연덕트 개구부를 덮고 있던 합판 거푸집을 옮기려던 중 몸의 중심을 잃고 바닥 개구부를 통해 약 2.7m아래 콘크리트 바닥으로 추락ㆍ사망한 재해
- 재해원인
- 개구부 설치 방법 미흡
- 개구부 표지판 미설치
- 안전대책
- 바닥 (수평)개구부에 덮개를 설치하는 때에는 임의로 제거하지 못하도록 견고하게 설치ㆍ고정
- 개구부 덮개임을 알 수 있도록 표지판을 부착하여야 함
- 형태
- 추락

- 재해개요
- 피재자가 천정크레인 주행 궤도 보도발판 위에서 덕트 보온 작업을 하던 중 운행하던 천정크레인과 덕트사이에 협착되어 사망한 재해
- 재해원인
- 크레인 전원차단 미흡
- 신호수 미배치
- 안전대책
- 천정크레인 주행궤도상에서 작업을 하는 때에는 크레인 운전을 정지
- 신호수를 배치하여 작업구간으로의 운행 및 작업상황을 감시하는 등의 조치를 하여야 함
- 형태
- 협착

- 재해개요
- 이동하던 중 지상1층 바닥의 설비덕트용 개구부(0.4m×2.56m)에 빠지면서 약4.6m 아래 지하1층 콘크리트 바닥으로 추락하여 사망한 재해임
- 재해원인
- 덮개설치 불량
- 어두운 곳 개구부 식별표지 미설치
- 안전대책
- 높이가 2m이상의 바닥 수평개구부에는 안전난간, 울 및 손잡이 등으로 방호조치를 하거나, 충분한 강도를 가진 구조의 덮개를 뒤집히거나 떨어지지 않도록 설치
- 어두운 장소에서도 식별이 가능하도록 개구부임을 표시하여야 함
- 형태
- 추락

- 재해개요
- 고소작업대를 이동시키던 중 합판을 덮어 놓은 맨홀에 바퀴가 빠지면서 고소작업대가 전도되어 Con'c 바닥으로 추락하여 사망한 재해
- 재해원인
- 이동시 하강미흡
- 개구부 덮개 미설치
- 신호수 미배치
- 안전대책
- 고소작업대를 이동하는 때에는 작업대를 가장 낮게 하강하여 이동
- 개구부는 견고한 재질로 덮개 설치
- 신호수 배치
- 형태
- 전도

- 재해개요
- 이동식비계에서 발판재와 안전난간을 해체하고 수직재(주틀)를 해체하던 중 몸의 중심을 잃고 추락하여(7m) 사망한 재해
- 재해원인
- 작업발판 불량
- 안전대 미사용
- 안전대책
- 작업방법 개선
- 고소작업 장소에서 추락위험을 사전에 방지하기 위하여 고소작업대차를 사용하는 등 작업방법 개선
- 개인보호구 착용 철저
- 고소작업 장소에서 작업시에는 안전대를 지급하고, 이를 착용하도록 관리감독 철저
- 작업방법 개선
- 형태
- 추락

- 재해개요
- 벽체에 설치된 개구부(높이 약 5m의 덕트 연결구) 밖으로 몸을 내밀고, 벽체외부에 설치된 싸이클론(먼지집진장치)과 내부로 연결된 덕트설비를 산소절단기로 절단하던 중, 싸이클론이 기울어지면서 피재자를 가격하여 사망한 재해
- 재해원인
- 중량물 해체작업계획 수립 미흡
- 안전대책
- 공장내 기계설비 등의 중량물 해체작업을 진행할 경우
- 중량물의 종류 및 형상
- 취급방법 및 순서
- 작업장소의 넓이 및 공간의 특성 등을 고려한 작업계획을 작성, 준수하여 불안전한 상태의 설비를 해체함에 따른 재해를 예방하여야 함
- 공장내 기계설비 등의 중량물 해체작업을 진행할 경우
- 형태
- 도괴, 비래
반응형
'안전관리자 > 위험성 평가'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기계실 배관 작업 위험성 평가 (0) | 2024.06.25 |
---|---|
보온 작업2 위험성 평가 (0) | 2024.06.25 |
설비 배관 설치 작업 위험성 평가 (0) | 2024.06.25 |
엘리베이터 설치 작업 위험성 평가 (0) | 2024.06.25 |
에스컬레이터 설치 작업 위험성 평가 (0) | 2024.06.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