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개요
- 철탑을 세우기 위한 크레인을 설치하는 작업을 말한다.
- 설치작업 중 중량물 취급에 따른 충돌, 낙하, 고소작업에 따른 추락, 크레인의 도괴 등 사고가 발생한다.
단위작업 분류 및 순서
- 기초 BASE 설치 작업
- 마스트 및 케리어용 레일설치 작업
- 상부 작업용 발판 설치
- 유압실린더 및 프레임 설치
- Main 마스트 설치
- 철탑 크레인 지선 고정
- 선회부 프레임 조립
- 겐트리 조립 작업
- 붐 설치 작업
- 크레인 본체 고정 및 설치 완료
- 크레인 인상 작업
- 크레인 접지 및 크레인 작동 확인 작업
1. 기초 BASE 설치 작업
분류 | 유해위험요인 | 감소대책 |
인적 요인 | 장비 반입절차 등을 이행하지 않고 작업 중 장비자체 결함 등에 의한 사고 발생 | 작업착수 전 작업허가서 제출 및 검토를 통해 작업 전 허가서와 부합되는 준비상태를 확한 후 작업실시 |
지게차로 자재 하역 중 후방에 근로자 접근충돌 | 후방접근 금지 조치, 후진 전 후방 확인실시, 후진경보기, 후사경, 후방카메라 등 확인 후 이동 | |
운반트럭 적재함에 임의로 올라가서 작업 중 추락 | 차량 적재함 운전자 외 탑승 작업금지 | |
하역작업시 주변통제 미실시로 충돌 | 하역작업시 유도자 배치 및 출입통제 조치 | |
기계적 요인 | 지반 평탄작업불량 및 성토지반 설치 시 크레인 전도 | 철탑크레인 기초BASE 지반 평탄작업 및 원 지반상태 CHECK |
중량물 부재 운반 및 작업 시 철탑크레인 전도 위험 | 지반 평탄작업 후 받침목 및 철판 설치 | |
기초 BASE 설치 지반침하로 마스트 설치 시 전도위험 | 지반의 상태 및 평탄성 점검 | |
기초 BASE 지반조성 작업 중 사면의 붕괴 | 법면 상부 설치시 사면의 안전성 검토, 설치 전 위치 확인 | |
베이스 고정 불량에 의한 사고 | 베이스 고정 방법 및 상태 점검 | |
자재 하역 중 인양로프가 끊어져 자재가 낙하 | 인양로프는 손상되거나 변형, 부식되지 않은 것 사용 | |
크레인의 아웃트리거 미사용으로 자재 인양 시 크레인 전도 | 크레인 아웃트리거 최대로 확장, 받침은 철판 등 설치하여 국부적인 지반 침하방지 조치 | |
전기적 요인 | 고압선로 주변 크레인 작업 중 선로 접촉 감전 | 고압선로 주변 작업을 지양하고 작업 시 감시자 배치 고압선로 방호관 설치 |
작업특성 요인 | 줄걸이 작업 확인 미흡으로 인한 결속되지 않은 부자재 낙하 | 여러 뭉치가 하나의 밴드로 묶여서 온 것은 전체를 하나로 묶어서 줄걸이 작업 실시 |
작업환경 요인 | 운반차량 진출입 작업 중 외부차량과 충돌 | 자재 반입차량의 진출입시 신호수 배치 및 도로구획 정리 |
2. 마스트, 케리어용 레일 설치 작업
분류 | 유해위험요인 | 감소대책 |
인적 요인 | 크레인 작업 중 신호불일치로 협착 | 크레인 작업시 신호체계를 확립하고 신호수 배치 |
지상조립 중인 자재 위를 지나가던 중 걸려 넘어짐 | 조립중인 자재 위 이동시 확인 철저 등 교육 실시 | |
작업 중 마스트에서 추락 | 작업원 개인보호구 착용상태 CHECK | |
장비 반입절차 등을 이행하지 않고 작업 중 장비자체 결함 등에 의한 사고 발생 | 작업착수 전 작업허가서 제출 및 검토를 통해 작업 전 허가서와 부합되는 준비상태를 확한 후 작업실시 | |
지게차로 자재 하역 중 후방에 근로자 접근충돌 | 후방접근 금지 조치, 후진 전 후방 확인실시, 후진경보기, 후사경, 후방카메라 등 확인 후 이동 | |
기계적 요인 |
중량물 취급시 낙하 충돌 | 크레인 이용하여 거푸집 등 운반시 유도로프 설치 |
볼트체결 미흡에 따른 사고 | 마스트 조립 후 볼트체결 상태 점검 | |
마스트 전도 위험 | 마스트 전도 위험성 CHECK | |
BASE 고정불량으로 마스트 전도 | BASE 고정상태 및 지반상태 점검 후 작업 | |
중량물 운반시 와이어로프 파단으로 낙하 | 중량물 운반용 WIRE ROPE 상태 점검 | |
작업 중 마스트에서 추락 | 작업원 개인보호구 착용상태 CHECK | |
크레인의 아웃트리거 미사용으로 자재 인양 시 크레인 전도 | 크레인 아웃트리거 최대로 확장, 받침은 철판 등 설치하여 국부적인 지반 침하방지 조치 | |
전기적 요인 | 전동공구로 자재 가공 및 조립 중 누전으로 감전 | 전동공구 사용 전, 중 수시 점검 및 점검 필증 부착 |
사용하는 전선의 피복 노출로 충전부 접촉 감전위험 | 가설전선 사용 전, 중 점검실시 및 가공 배선 설치 | |
작업특성 요인 | 지상조립을 위해 이동 중 자재에 발이 걸려 넘어진 | 조립장 통로구분 및 통로에 자재 적치 금지 |
중량물 취급작업계획 및 차량계건설기계 작업계획 미수립에 의한 사고 | 중량물 취급작업계획 및 차량계건설기계 작업계획 수립 작성 >> 검토 >> 승인후 작업, 작업 전 근로자 교육 실시 |
3. 상부 작업용 발판 설치 작업
분류 | 유해위험요인 | 감소대책 |
인적 요인 | 달기로프 해체시 보호구 미착용으로 추락위험 | 3종 및 안전벨트 사용 및 지상에서 수직 구명줄 설치 |
안전밸트 미착용 상태에서 작업 중 추락 | 철골 작업 시 2개걸이 안전밸트 착용 철저 | |
기계적 요인 |
설치 작업 중 발판 낙하 | 와이어로프 사전 점검 및 사용 중 수시 점검 실시 |
운반 설치작업 중 발판과 충돌위험 | 연락 체계 확립, 유도로프 설치하여 작업 실시 | |
달기보조 기구류 불량으로 낙하 | 달기보조 기구 (와이어, 샤클) 사전점검 | |
지반 및 아웃트리거 설치 불량, 장비전도 | 사전지반조사 및 아웃트리거 설치 확인 | |
지반침하로 전도 | 지반의 상태 및 평탄성 점검 | |
전기적 요인 | 전동공구로 사용 중 누전으로 감전 | 전동공구 사용 전, 중 수시 점검 및 점검 필증 부착 |
사용하는 전선의 피복 노출로 충전부 접촉 감전위험 | 가설전선 사용 전, 중 점검실시 및 가공 배선 설치 | |
작업특성 요인 | 발판을 확실하게 고정하지 않은 상태에서 줄걸이용 로프 해체로 인해 발판과 함께 추락 | 발판 설치 작업 시 작업자 교육 철저 |
중량물 취급작업계획 및 차량계건설기계 작업계획 미수립에 의한 사고 | 중량물 취급작업계획 및 차량계건설기계 작업계획 수립 작성 >> 검토 >> 승인후 작업, 작업 전 근로자 교육 실시 | |
작업환경 요인 | 악천후 시 작업 중 사고 | 악천후 시 작업중지 |
4. 유압실린더 및 프레임 설치 작업
분류 | 유해위험요인 | 감소대책 |
인적 요인 | 달기로프 해체 시 보호구 미착용으로 추락위험 | 3종 및 안전벨트 사용 및 지상에서 수직 구명줄 설치 |
안전밸트 미착용 상태에서 작업 중 추락 | 철골 작업 시 2개걸이 안전밸트 착용 철저 | |
기계적 요인 | 설치 작업 중 유압실린더/프레임 낙하 | 와이어로프 사전 점검 및 사용중 수시 점검 실시 |
유압실린더/프레임 운반 설치작업 중 충돌위험 | 연락체계 확립, 유도로프 설치하여 작업 실시 | |
달기보조 기구류 불량으로 낙하 | 달기보조 기구 (와이어, 샤클) 사전점검 | |
지반 및 아웃트리거 설치 불량, 장비전도 | 사전지반조사 및 아웃트리거 설치 확인 | |
보조 CRANE 사용시 전도위험 | 보조 CRANE 사용시 전도위험 CHECK | |
전기적 요인 | 전동공구로 사용 중 누전으로 감전 | 전동공구 사용 전, 중 수시 점검 및 점검 필증 부착 |
사용하는 전선의 피복 노출로 충전부 접촉 감전위험 | 가설전선 사용 전, 중 점검실시 및 가공 배선 설치 | |
작업특성 요인 | 중량물 취급작업계획 및 차량계건설기계 작업계획 미수립에 의한 사고 | 중량물 취급작업계획 및 차량계건설기계 작업계획 수립 작성 >> 검토 >> 승인후 작업, 작업 전 근로자 교육 실시 |
작업환경 요인 | 악천후 시 작업 중 사고 | 악천후 시 작업중지 |
5. Main 마스트 설치 작업
분류 | 유해위험요인 | 감소대책 |
인적 요인 | 장비 반입절차 등을 이행하지 않고 작업 중 장비자체 결함 등에 의한 사고 발생 | 작업착수 전 작업허가서 제출 및 검토를 통해 작업 전 허가서와 부합되는 준비상태를 확한 후 작업실시 |
지게차로 자재 하역 중 후방에 근로자 접근충돌 | 후방접근 금지 조치, 후진 전 후방 확인실시, 후진경보기, 후사경, 후방카메라 등 확인 후 이동 | |
운반트럭 적재함에 임의로 올라가서 작업 중 추락 | 차량 적재함 운전자 외 탑승 작업금지 | |
하역작업시 주변통제 미실시로 충돌 | 하역작업시 유도자 배치 및 출입통제 조치 | |
기계적 요인 | 마스트 전도위험 | BASE 침하상태 및 지반의 변형유무 확인 |
마스트 핀 볼트의 체결불량으로 도괴위험 | 마스트 핀 볼트의 체결상태 확인 | |
크레인 과부하 및 권과방지 안전장치 미작동으로 인한 전도 | 크레인 작업 전 안전장치 작동상태 확인 미작동 장비 수리 후 작업 실시 | |
자재 하역 중 인양로프가 끊어져 자재가 낙하 | 인양로프는 손상되거나 변형, 부식되지 않은 것 사용 | |
크레인의 아웃트리거 미사용으로 자재 인양시 크레인 전도 | 크레인 아웃트리거 최대로 확장, 받침은 철판 등 설치하여 국부적인 지반 침하방지 조치 | |
전기적 요인 | 고압선로 주변 크레인 작업 중 선로 접촉 감전 | 고압선로 주변 작업을 지양하고 작업 시 감시자 배치 고압선로 방호관 설치 |
재료적 요인 | 마스트 핀 볼트의 규격불량으로 도괴위험 | 마스트 핀 볼트 체결전 볼트의 규격 등 상태 확인 |
마스트 인상 중 도괴위험 | 마스트 인상 전 결함유무 확인 | |
작업특성 요인 | 중량물 취급작업계획 및 차량계건설기계 작업계획 미수립에 의한 사고 | 중량물 취급작업계획 및 차량계건설기계 작업계획 수립 작성 >> 검토 >> 승인후 작업, 작업 전 근로자 교육 실시 |
작업환경 요인 | 악천후 시 작업 중 사고 | 악천후 시 작업중지 |
6. 철탑 크레인 지선 고정 작업
분류 | 유해위험요인 | 감소대책 |
인적 요인 | 크레인 작업 중 신호불일치로 협착 | 크레인 작업시 신호체계를 확립하고 신호수 배치 |
지선 설치 부위를 지나가던 중 걸려 넘어짐 | 지선설치 하부 근로자가 인식토록 표시 및 지선보호용 울 등 설치 | |
기계적 요인 |
철탑크레인 전도위험 | 철탑크레인 설치 후 본체 지선 WIRE ROPE 고정상태 CHECK |
와이어로프의 파단 | 지선 와이어로프 18MM 사용 및 클립 체결상태 확인 철저 | |
지선 고정용 앙카 및 고정철물의 흔들림으로 전도 | 지선 고정용 앙카 및 고정철물 상태 확인 | |
지선 설치시 편하중에 의한 전도 위험 | 지선 설치 순서 확인 | |
전기적 요인 | 전동공구로 자재 가공 및 조립 중 누전으로 감전 | 전동공구 사용 전, 중 수시 점검 및 점검 필증 부착 |
사용하는 전선의 피복 노출로 충전부 접촉 감전위험 | 가설전선 사용 전, 중 점검실시 및 가공 배선 설치 | |
재료적 요인 | 와이어로프의 손상 | 경사지선용 WIRE ROPE 손상유무 및 규정 강도 사전 확인 |
작업특성 요인 | 지선을 크레인 설치후 고소부위에 올라가서 작업 중 추락 | 지선설치계획을 검토 후 지상에서 마스트에 연결후 마스트 인양 |
7. 선회부 프레임 조립 작업
분류 | 유해위험요인 | 감소대책 |
인적 요인 | 안전밸트 미착용 상태에서 작업 중 추락 | 선회부 프레임 조립 작업 시 2개걸이 안전밸트 착용 철저 |
양중 작업구간내에서 작업 중 낙하물 사고 | 선회부 프레임 조립 작업구간 작업자 접근금지 | |
기계적 요인 | 선회부 조립 시 낙하, 추락 | 선회부 프레임 지상에서 사전조립후 양중 |
양중용 WIRE ROPE 손상 낙하 | 양중용 WIRE ROPE 손상 유무 사전 확인 | |
인양 설치작업 중 충돌위험 | 연락체계 확립, 유도로프 설치하여 작업 실시 | |
달기보조 기구류 불량으로 낙하 | 달기보조 기구 (와이어, 샤클) 사전점검 | |
지반 및 아웃트리거 설치 불량, 장비전도 | 사전지반조사 및 아웃트리거 설치 확인 | |
전기적 요인 | 전동공구로 사용 중 누전으로 감전 | 전동공구 사용 전, 중 수시 점검 및 점검 필증 부착 |
사용하는 전선의 피복 노출로 충전부 접촉 감전위험 | 가설전선 사용 전, 중 점검실시 및 가공 배선 설치 | |
작업특성 요인 | 중량물 취급작업계획 및 차량계건설기계 작업계획 미수립에 의한 사고 | 중량물 취급작업계획 및 차량계건설기계 작업계획 수립 작성 >> 검토 >> 승인 후 작업, 작업 전 근로자 교육 실시 |
작업환경 요인 | 악천후 시 작업 중 사고 | 악천후 시 작업중지 |
8. 겐트리 조립 작업
분류 | 유해위험요인 | 감소대책 |
인적 요인 | 안전밸트 미착용 상태에서 작업 중 추락 | 겐트리 조립 작업시 2개걸이 안전밸트 착용 철저 |
양중 작업구간 내에서 작업 중 낙하물 사고 | 겐트리 조립 작업구간 작업자 접근금지 | |
기계적 요인 |
설치 작업 중 인양물의 낙하 | 와이어로프 사전 점검 및 사용 중 수시 점검 실시 |
인양 운반 설치작업 중 충돌위험 | 연락체계 확립, 유도로프 설치하여 작업 실시 | |
달기보조 기구류 불량으로 낙하 | 달기보조 기구 (와이어, 샤클) 사전점검 | |
지반 및 아웃트리거 설치 불량, 장비전도 | 사전지반조사 및 아웃트리거 설치 확인 | |
운전중 프레임 도괴 | 프레임과 볼트 체결 완료 전 장비 운전금지 | |
전기적 요인 | 전동공구로 사용 중 누전으로 감전 | 전동공구 사용 전, 중 수시 점검 및 점검 필증 부착 |
사용하는 전선의 피복 노출로 충전부 접촉 감전위험 | 가설전선 사용 전, 중 점검실시 및 가공 배선 설치 | |
작업특성 요인 | 중량물 및 차량계건설기계 작업계획 미수립 상태에서 작업 중 사고 | 중량물 및 차량계건설기계 작업계획서 수립/검토/승인 후 작업, 작업 전 근로자에게 계획 등 교육 실시 |
작업환경 요인 | 악천후 시 작업 중 사고 | 악천후 시 작업중지 |
9. 붐 설치 작업
분류 | 유해위험요인 | 감소대책 |
인적 요인 | 장비 작업자와 장비 운전자의 연락 불량에 의한 충돌 | 신호수와 장비 운전원 신호체계 확인 |
안전밸트 미착용 상태에서 작업 중 추락 | BOOM 연결 작업 시 2개걸이 안전밸트 착용 철저 | |
양중 작업구간내에서 작업 중 낙하물 사고 | BOOM 연결 조립 작업구간 작업자 접근금지 | |
하역작업 시 주변통제 미실시로 충돌 | 하역작업 시 유도자 배치 및 출입통제 조치 | |
기계적 요인 | 양중용 WIRE ROPE 손상에 의한 붐 낙하 | 양중용 WIRE ROPE 손상 유무 사전 확인 |
붐 설치 하부 출입 금지 등 조치 미흡으로 인한 사고 | 양중 작업구간 하부 작업자 접근금지조치 및 감시자 배치 | |
지상에서 MAIN BOOM 조립 작업 시 협착 | 지상에서 MAIN BOOM 조립 시 받침목 등 설치 확인 철저 | |
BOOM 양중 시 한쪽으로 기울어지는 사고 | BOOM 양중 시 무게중심 확인, 2점 지지 양중 | |
BOOM 연결 작업 중 크레인 붐의 작동으로 인한 작업자 추락 | BOOM 연결 완료 전까지 조작금지(전원차단) | |
크레인 과부하 및 권과방지 안전장치 미작동으로 인한 전도 | 크레인 작업 전 안전장치 작동상태 확인 미작동 장비 수리 후 작업 실시 | |
자재 하역 중 인양로프가 끊어져 자재가 낙하 | 인양로프는 손상되거나 변형, 부식되지 않은 것 사용 | |
크레인의 아웃트리거 미사용으로 자재 인양시 크레인 전도 | 크레인 아웃트리거 최대로 확장, 받침은 철판 등 설치하여 국부적인 지반 침하방지 조치 | |
전기적 요인 | 전동공구로 사용 중 누전으로 감전 | 전동공구 사용 전, 중 수시 점검 및 점검 필증 부착 |
사용하는 전선의 피복 노출로 충전부 접촉 감전위험 | 가설전선 사용 전, 중 점검실시 및 가공 배선 설치 | |
작업특성 요인 | 중량물 및 차량계건설기계 작업계획 미수립 상태에서 작업 중 사고 | 중량물 및 차량계건설기계 작업계획서 수립/검토/승인 후 작업, 작업 전 근로자에게 계획 등 교육 실시 |
작업환경 요인 | 악천후 시 작업 중 사고 | 악천후 시 작업중지 |
10. 크레인 본체 고정 완료 작업
분류 | 유해위험요인 | 감소대책 |
인적 요인 | 안전밸트 미착용 상태에서 작업 중 추락 | 작업 시 2개걸이 안전밸트 착용 철저 |
양중 작업구간내에서 작업 중 낙하물 사고 | 작업구간 작업자 접근금지 조치 하부 감시자 배치 | |
기계적 요인 | 크레인 인상설치 중 도괴 | 자립높이 인상 전 본체 설치완료 후 지선고정상태 CHECK, 자립높이 인상 전 본체 고정상태 확인 |
안전시설물 불안전한 설치로 철골과의 결속부 탈락 | 난간대등 적정자재 사용 및 설치 전 파손 여부 확인/로프결속 및 와이어 로프 클립체결기준 준수(미숙련공 안전시설물 설치금지) | |
전기적 요인 | 전동공구로 자재 가공 및 조립 중 누전으로 감전 | 전동공구 사용 전, 중 수시 점검 및 점검 필증 부착 |
사용하는 전선의 피복 노출로 충전부 접촉 감전위험 | 가설전선 사용 전, 중 점검실시 및 가공 배선 설치 | |
재료적 요인 | 안전사다리 안전성 미확인으로 인한 작업 중 추락 및 낙하 | 마스타 이동용 Ladder 공장제작 납품 |
작업특성 요인 | 조립도 미작성으로 조립과정 일부 부재 누락시공 | 본체 고정 후 검토 실시 |
중량물 및 차량계건설기계 작업계획 미수립 상태에서 작업 중 사고 | 중량물 및 차량계건설기계 작업계획서 수립/검토/승인 후 작업, 작업 전 근로자에게 계획 등 교육 실시 | |
작업환경 요인 | 악천후 시 작업 중 사고 | 악천후 시 작업중지 |
11. 크레인 인상 작업
분류 | 유해위험요인 | 감소대책 |
인적 요인 | 달기로프 해체 시 보호구 미착용으로 추락위험 | 3종 및 안전벨트 사용 및 지상에서 수직 구명줄 설치 |
안전밸트 미착용 상태에서 작업 중 추락 | 철골 작업 시 2개걸이 안전밸트 착용 철저 | |
master 이동 시 전도로 인한 협착사고 | crane master 연장작업 시 crane은 수직으로 고정하고, master 연장작업 시 절대로 crane 조작금지 | |
기계적 요인 | 설치 작업 중 빔 낙하 | 철탑크레인 설치완료 후 마스트 인상작업 전 유압장치 작동상태 점검 |
시운전 등 점검을 하지 않고 작업 중 크레인 도괴 | 시운전 실시 전 마스트 볼트 체결상태 확인 | |
달기보조 기구류 불량으로 낙하 | 달기보조 기구 (와이어, 샤클) 사전점검 | |
크레인 설치 지반 상태이상으로 인한 크레인 도괴 | 설치 완료 후 지반 상태 및 BASE 상태 확인 | |
자립고 이상으로 인상 작업 중 크레인 도괴 | 마스트 인상시 자립고 이상 설치 금지 | |
전기적 요인 | 전동공구로 사용 중 누전으로 감전 | 전동공구 사용 전, 중 수시 점검 및 점검 필증 부착 |
사용하는 전선의 피복 노출로 충전부 접촉 감전위험 | 가설전선 사용 전, 중 점검실시 및 가공 배선 설치 | |
재료적 요인 | 마스트 연결핀 규격불량에 의한 마스트 도괴 | 마스트 연결핀 규격 적합 여부 및 손상유무 사전 CHECK |
마스트의 변형에 의한 좌굴 | master의 변형 및 손상 유무를 철저히 확인하고 설치 | |
작업특성 요인 | 중량물 및 차량계건설기계 작업계획 미수립 상태에서 작업 중 사고 | 중량물 및 차량계건설기계 작업계획서 수립/검토/승인 후 작업, 작업 전 근로자에게 계획 등 교육 실시 |
작업환경 요인 | 악천후 시 작업 중 사고 | 악천후 시 작업중지 |
12. 크레인 접지 및 작동 확인 작업
분류 | 유해위험요인 | 감소대책 |
인적 요인 | 크레인 작동확인시 작업자 접근으로 인한 사고 | 초기동작시 작업자는 크레인 반경 내 접근을 금지 crane 조작자도 철탑 crane 작업 반경 밖에서 test 작업을 수행 |
시운전 확인 미흡에 의한 사고 | 시운전 실시 및 이상유무 확인 | |
크레인 전담운전자 외 조작에 의한 사고 | CONTROL BOX 시건장치 철저 | |
기계적 요인 | 낙뢰에 의한 사고 | CRANE 밎 발전기 등은 철탑 기초부 POST에 접지를 실시 |
CONTROL BOX 시건장치 미설치로 인한 사고 | CONTROL BOX 시건장치 철저 | |
지선의 이상유무로 인한 사고 | 작업종료 전/후 지선의 이상유무로 인한 사고 | |
전기적 요인 | 전동공구로 사용 중 누전으로 감전 | 전동공구 사용 전, 중 수시 점검 및 점검 필증 부착 |
사용하는 전선의 피복 노출로 충전부 접촉 감전위험 | 가설전선 사용 전, 중 점검실시 및 가공 배선 설치 | |
작업특성 요인 | 중량물 및 차량계건설기계 작업계획 미수립 상태에서 작업 중 사고 | 중량물 및 차량계건설기계 작업계획서 수립/검토/승인 후 작업, 작업 전 근로자에게 계획 등 교육 실시 |
작업환경 요인 | 악천후 시 작업 중 사고 | 악천후 시 작업중지 |
철탑 크레인설치 작업 재해 사례

- 재해개요
- 타워크레인 설치 작업 中 크레인 상부 선회장치가 부러지면서 바닥에서 거푸집을 설치하던 근로자 1명이 사망, 동료 근로자 2명이 부상하고, 크레인 설치작업 중이던 근로자 2명이 부상한 사고
- 재해원인
- 설치 전 주요구조부 자체검사 미흡
- 안전대책
- 타워 설치 전 주요구조부에 대한 자체검사 철저
- 타워 설치작업 시 하부 작업금지
- 형태
- 전도

- 재해개요
- 타워크레인에 설치된 가설전등을 클라이밍 케이지에 부착된 작업발판 상에서 해체하던 중 작업발판 고정금구(브라켓)의 용접부위가 파단되면서 추락하여(54m) 사망한 재해
- 재해원인
- 크레인 작업 시 안전조치 미실시
- 작업발판 설치 불량
- 안전대책
- 크레인을 사용하여 작업을 하는 때에는 재료의 결함유무 또는 기구 및 공구의 기능을 점검하고 불량품을 제거하는 등 안전조치 실시
- 높이가 2m 이상인 작업장소에서의 작업발판은 지지물이 하중에 의하여 파괴될 우려가 없도록 설치
- 형태
- 탈락, 추락

- 재해개요
- 마스트제거 작업을 준비하던중 고임목 하부지반이 침하되면서 고임목이 부러져 케이지 상부에서 작업 중이던 작업자 3명과 함께 전도된 사고
- 재해원인
- 전도에 의한 위험방지조치 미실시
- 다짐상태가 불량한 지반위에 부적절한 고임목 사용
- 전도에 의한 위험방지조치 미실시
- 안전대책
- 전도에 의한 위험방지조치 실시
- 중량물을 취급할 수 있도록 충분한 지내력 확보
- 중량물에 알맞은 고임목 사용
- 전도에 의한 위험방지조치 실시
- 형태
- 전도

- 재해개요
- 마스트 텔레스코핑 작업 중 유압실린더를 수축시키는 중 실린더 하부 고리가 파손/절단되어 PUSHING-UP CROSS BEAM이 낙하되면서 콘크리트 바닥에 튕겨져 목재가공작업을 하던 근로자 두부를 강타하여 사망한 재해
- 재해원인
- 설치 전 점검 미흡
- 작업반경내 출입금지 조치 미실시
- 안전대책
- 설치 전 점검 철저
- 작업반경내 출입금지 조치 철저
- 형태
- 낙하

- 재해개요
- 연장작업을 완료하고 텔레스코핏 케이지를 내리는 작업도중 이탈되어 낙하 벽체지지대에 충돌하여 멈추고 작업 중이던 근로자 2명이 지상으로 추락하여 사망한 재해
- 재해원인
- 클라이밍 트레버스 슈가 마스트웨브위에 안착시킨 상태가 사전에 확인되지 않음
- 안전대책
- 텔레스코핑 케이지 하강작업 시 작업절차 준수
- 가동전 확인 철저
- 형태
- 추락

- 재해개요
- 타워크레인 마스트에서 텔레스코핑 케이지 작업발판을 해체하고 이동하던 중 실족하여 바닥으로 추락 사망한 재해
- 재해원인
- 추락방호조치 미흡
- 악천후 시 작업 강행
- 안전대책
- 타워크레인을 해체하는 경우 근로자가 마스트 상에서 내/외부로의 이동 시 추락을 방지하기 위해 안전방망을 설치하거나 안전대을 걸어 사용할 수 있는 안전대 부착설비 설치 후 안전대를 걸고 작업 또는 이동토록 하여야 함
- 타워크레인 해체 작업 시 비, 눈 그 밖에 기상상태의 불안정으로 날씨가 몹시 나쁜 경우에는 작업을 중지하여야 함
- 형태
- 추락

- 재해개요
- 텔레스코픽케이지 상부에서 케이지와 턴테이블 연결핀 분리작업 중 텔레스코픽케이지가 약 50m 하부로 낙하하면서, 케이지상부에서 작업하던 피재자 3명이 케이지와 함께 추락ㆍ사망하고 하부에 있던 피재자 1명은 비산파편에 의해 부상한 재해
- 재해원인
- 작업방법 미흡
- 작업반경내 출입금지 조치 미실시
- 안전대책
- 텔레스코픽케이지 및 턴테이블의 연결핀 분리작업 시에는 유압실린더의 조작레버를 이용한 지브의 수평조작을 금지하여야 하고, 실린더 슈를 러그에 정확히 체결시킨 상태에서 적정중량의 균형추를 트로리 후크부에 건 후 트로리를 전ㆍ후로 이동 시키면서 지브 수평 작업을 실시하여야 함
- 타워크레인 인상 등 작업 시 하부 출입금지조치
- 형태
- 낙하

- 재해개요
- 지상 1층의 형틀자재를 지상 6층으로 운반하기 위하여 약 25m 인상 및 시계방향으로 약 15° 회전을 하자 타워크레인의 흔들림이 발생하여 정지 후 조정작업 중 마스트 4-5단 사이의 연결볼트가 파단되면서 인접한 철도로 전도하여 피재자가 사망
- 재해원인
- 타워크레인 점검 미흡
- 유자격자 점검 미흡
- 안전대책
- 타워크레인을 사용하는 작업을 진행하는 때에는 사전에 마스트 연결볼트의 노후ㆍ결함 유무, 운전석 조정장치의 이상유무, 사용 기구ㆍ공구의 이상유무를 확인하여 이상징후 시 즉시 수리ㆍ교체 하여야 함
- 유자격자로 하여금 정기검사 및 자체검사를 법정주기 안에 철저히 시행하여야 함
- 형태
- 전도

- 재해개요
- 타워크레인 마스트 연장작업 중, 균형을 잃어 타워크레인 상부구조가 도괴되면서 지상에서 이동 중이던 피재자는 메인지브에 협착되어 사망하고 운전원 및 타워크레인 설치작업자 2명은 부상당한 재해
- 재해원인
- 작업방법 미흡
- 안전대책
- 타워크레인의 최상부 마스트와 텐테이블은 반드시 연결볼트로 체결하고, 턴테이블 하부구조와 텔레스코핑 케이지상부는 연결핀으로 체결한 후 작업을 위한 마스트의 인양, 이동 및 상승작업을 실시하여야 함
- 형태
- 도괴, 추락
반응형
'안전관리자 > 위험성 평가'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갱폼 작업 위험성 평가 (0) | 2024.06.10 |
---|---|
철탑 삭도 작업 위험성 평가 (0) | 2024.06.10 |
LNG Tank 설치 작업 위험성 평가 (1) | 2024.06.10 |
철탑 역T형 기초 작업 위험성 평가 (1) | 2024.06.10 |
철탑 진입로 설치 작업 위험성 평가 (2) | 2024.06.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