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안전관리자/위험성 평가

터널 라이닝콘크리트 작업 위험성 평가

by 안전관리자kim 2024. 7. 12.
반응형

 

개요

 

  • 터널 라이닝 콘크리트 작업은 철근콘크리트 구조물에서 철근 배근과 라이닝단부쪽 거푸집 설치 작업을 완료하고 거푸집에 콘크리트를 부어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을 만드는 작업을 말한다.
  • 라이닝 폼 작업대 위에서 추락 및 터널내 타설 하였던 숏크리트 낙하위험이 주로 발생한다.

 

단위작업 분류 및 순서

 

  1. 라이닝폼 셋팅 작업
  2. 콘크리트 운반 작업
  3. 콘크리트 타설 작업
  4. 콘크리트 양생 작업
  5. 라이닝폼 탈형 작업
  6. 라이닝폼 이동
  7. 라이닝폼 해체 작업

 

1. 라이닝폼 셋팅 작업

 

라이닝폼 셋팅 작업

 

분류 유해위험요인 감소대책
인적 요인 라이닝폼 셋팅 작업중 상부 발판에서 추락 상부발판에 안전난간 설치, 안전대 고리를 걸고 작업
작업중 불시에 작업대의 흔들림 및 이동으로 상부작업자 전도, 추락 작업대 바퀴에 쐐기 등을 설치하여 작업중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조치
대차 이동시 레일깔기/설치 작업중 끼임사고 레일 설치 지반을 균등하게 하고 받침목으로 균등한 높이로 설치
거푸집 JACK 조정 작업 시 철골에 머리 부딪힘 거푸집 JACK 작업부위 철골에 쿠션재 설치 및 조명 설치
라이닝셋팅을 위해 상부로 이동시 추락 상부로 이동하는 통로를 이용하여 이동
기계적 요인 라이닝폼 연결부 등 구조적 변형에 의한 사고 라이닝폼 이동전 보강재 설치 후 이동, 이동 설치전 연결점, 작업발판 등 확인 점검
대차 셋팅 작업 시 타작업차량 통행중 부딪힘 라이닝폼 셋팅시 작업차량 이동을 금하고, 이동시 천천히 이동, 라이닝폼에 충돌방지 장치 설치
재료적 요인 대차 이동시 보강 미흡으로 구조에 변형 발생 이동 중 충격에 의한 구조적 변형예상부위에 받침 등 조치 후 이동
전기적 요인 조명, 전기기계 설비 등의 누전에 의한 감전 작업전 전기기계기구, 조명설비 등의 누전여부를 전기취급 전문가가 확인 후 작업 실시
라이닝폼에 사용되는 전원의 누전에 의한 감전 사용전원 누전차단기, 접지설치 , 전선은 가공으로 배선하고 피복상태 수시점검 실시
작업환경 요인 터널내부 분진 및 가스에 의한 호흡기 질환 등 사고 주기적인 작업환경 측정 및 개선, 작업중 보안경 및 방진마스크 착용, 안전작업방법 준수

 

 

2. 콘크리트 운반 작업

 

콘크리트 운반 작업

 

분류 유해위험요인 감소대책
인적 요인 레미콘 운반트럭 후진시 신호수 미배치로 근로자와 충돌 및 협착 레미콘 운반트럭 후진시 신호수 배치 및 장비 주변 근로자 접근 금지 조치
안전모 등 개인보호구 미착용으로 작업중 부딪히거나 찔림 콘크리트 반입 운반시 안전모 등 개인보호구 착용 철저 및 위반시 경고조치
펌프카 장비 사용방법 미숙지에 의한 오작동 사고 지정된 운전원만 사용토록 관리감독 조치
콘크리트 펌프카 유압장치 점검중 붐이 낙하 협착 펌프카 유압장치 수리중 붐의 낙하방지를 위한 안전조치 실시
운반차량 작업반경 내 근로자 출입에 의한 충돌 유도원은 빨간색 안전모를 착용시켜 신호작업을 실시하며 작업반경내에는 근로자 출입금지 조치
기계적 요인 갱내 고속운행 중 충돌 등 사고 갱내 운행속도 준수
유도원의 신호를 무시하고 운행중 충돌 갱내 신호 및 유도원의 지시에 따라 운행
전기적 요인 조명, 전기기계 설비 등의 누전에 의한 감전 작업전 전기기계기구, 조명설비 등의 누전여부를 전기취급 전문가가 확인 후 작업 실시
작업특성 요인 터널내부 조명불량에 의한 충돌 갱내 조명설치 철저
작업환경 요인 터널 내부 분진 및 가스에 의한 호흡기 질환 등 사고 터널 내부의 급배기 설비 가동 및 작업환경 측정 실시(작업환경 개선)
레미콘 차량이 갱내에서 대기하여 매연에 의한 사고 타설차량을 제외하고 가능하면 갱외에서 대기 후 반입되도록 작업관리

 

 

3. 콘크리트 타설 작업

 

콘크리트 타설 작업

 

분류 유해위험요인 감소대책
인적 요인 콘크리트 타설시 보안경 등 보호구 미착용으로 인한 안구손상 피부질환 발생 작업전 보안경 등 개인보호구 확인
콘크리트 펌프카 유압장치 점검중 붐이 낙하 협착 펌프카 유압장치 수리중 붐의 낙하방지를 위한 안전조치 실시
작업대 상부에서 콘크리트 타설 작업중 하부로 추락 작업발판 단부에 안전난간 설치 및 작업자 안전대고리를 걸고 작업
기계적 요인 라이닝 거푸집 단부 거푸집 연결부 탈락 및 손상에 의한 붕괴 작업전 연결부 상태 등 안전확인
콘크리트 호스, 파이프 연결부 결속불량에 의한 파단사고 콘크리트 호스, 파이프 연결부 상태 확인철저
콘크리트 타설시 하중이 집중되는 부위 보강 미흡으로 타설중 폼의 구조적 변형 발생 구조적으로 취약한 부위에 보강재 버팀 설치
전기적 요인 조명, 전기기계 설비, 양수기 등의 누전에 의한 감전 작업전 전기기계기구, 조명비, 양수기 등의 누전여부를 전기취급 전문가가 확인 후 작업 실시
콘크리트 타설시 라이닝폼 바이브레터의 누전에 의한 접촉 감전 바이브레터 사전에 작동여부 및 누전여부 확인 점검
작업환경 요인 터널내부 분진 및 가스에 의한 호흡기 질환 등 사고 터널 내부의 급배기 설비 가동 및 작업환경 측정 실시(작업환경 개선)
레미콘 차량이 갱내에서 대기하여 매연에 의한 사고 타설차량을 제외하고 가능하면 갱외에서 대기 후 반입되도록 작업관리

 

 

4. 콘크리트 양생 작업

 

콘크리트 양생 작업

 

분류 유해위험요인 감소대책
인적 요인 호흡용 보호구 등 개인보호구 미착용으로 양생장소 출입중  질식 콘크리트 양생장소 출입시 호흡용 보호구 착용하며 갈탄 난로 사용시 산소,가스농도 측정 충분한 환기 실시
기계적 요인 부적격 열풍기 및 보일러 설치로 인하여 화재 및 감전재해 발생 노후화된 열풍기 및 보일러 사용 금지 하며 전기 기계기구에 접지, 누전차단기를 연결하며 사전 점검 조치후 합격제품만 사용조치
콘크리트 양생시 방화시설  미배치로 인하여 화재 발생시 초기진압 실패 라이닝 콘크리트 양생시 소화기 및 방화사 등 방화시설을 설치
작업 시 조명 불량에 의한 전도 조명기구를 작업위치에 설치 충분한 조도 확보
전기적 요인 조명, 전기기계 설비 등의 누전에 의한 감전 작업전 전기기계기구, 조명설비 등의 누전여부를 전기취급 전문가가 확인 후 작업 실시
작업특성 요인 양생작업중 점검등 작업 시 질식 등 사고 양생작업 점검등 작업 시에는 공기의 상태를 확인하고 확인
작업환경 요인 터널 내부 분진 및 가스에 의한 호흡기 질환 등 사고 터널 내부의 급배기 설비 가동 및 작업환경 측정 실시(작업환경 개선)
양생에 의한 증기 등에 의한 공기 감소로 질식 환풍기 설치 작동하여 공기를 순환토록 관리

 

 

5. 라이닝폼 탈형 작업

 

라이닝폼 탈형 작업

 

분류 유해위험요인 감소대책
인적 요인 거푸집 JACK 조정 작업 시 철골에 머리 부딪힘 거푸집 JACK 작업부위 철골에 쿠션재 설치 및 조명 설치
라이닝탈형을 위해 상부로 이동시 추락 상부로 이동하는 통로를 이용하여 이동
라이닝폼 탈형 작업중 상부 발판에서 추락 상부발판에 안전난간 설치, 안전대 고리를 걸고 작업
작업중 불시에 작업대의 흔들림 및 이동으로 상부작업자 전도, 추락 작업대 바퀴에 쐐기 등을 설치하여 작업중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조치
기계적 요인 조명불량으로 탈형작업 중 부딪힘, 전도 탈형작업전 조명설비 설치
라이닝탈형 및 이동 시 유압류 누출로 인하여 전도 및 충돌 라이닝 폼 이동 전 유압류 및 실린더를 사전에 점검, 정비 조치하며 이동시 근로자 접근금지 조치
라이닝폼 탈형을 조기에 실시하여 콘크리트 균열 타설 후 압축강도에 따른 거푸집 탈형시기 결정
전기적 요인 조명,  전기기계 설비, 양수기 등의 누전에 의한 감전 작업전 전기기계기구, 조명비, 양수기 등의 누전여부를 전기취급 전문가가 확인 후 작업 실시
폼내부 전기사용에 따른 감전사고위험 폼내부 전기 수시 점검 및 이상시 즉시조치
작업특성 요인 좁은공간에 길고 무거운 재자를 운반하여 설치할 때 충돌, 낙하 작업 시 장비 회전반경내 출입금지, 유도로프 사용
강지보 설치시 전도방지 보강조치 미흡으로 지보전도 전도 및 비틀림방지 조치 후 작업
작업환경 요인 터널 내부 분진 및 가스에 의한 호흡기 질환 등 사고 막장 및 터널 내부의 급배기 설비 가동 및 작업환경 측정 실시(작업환경 개선)

 

 

6. 라이닝폼 이동 작업

 

라이닝폼 이동 작업

 

분류 유해위험요인 감소대책
인적 요인 라이닝폼  이동용 차량의 당김로프가 절단되어 주변 근로자가 맞음 이동용 로프, 고정상태 이동전 확인 점검
작업중 불시에 작업대의 흔들림 및 이동으로 상부작업자 전도, 추락 작업대 바퀴에 쐐기 등을 설치하여 작업중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조치
작업대에 탑승하여 이동 작업중 추락, 협착 작업대차 이동시 작업자 탑승금지
대차 이동시 레일깔기/설치 작업중 끼임사고 레일 설치 지반을 균등하게 하고 받침목으로 균등한 높이로 설치
기계적 요인 대차 이동시 충돌 대차 이동시 신호수 배치하여 신호와 주변을 통제
대차를 이동한 후 대차 연결부 및 작업발판의 변형으로 인한 사고 대차 이동설치 후 연결점, 작업발판 등 확인 점검
대차 이동시 상부자재의 낙하 대차 이동작업전 상부의 자재, 공구를 제거
라이닝폼 레일의 연장설치 미흡으로 대차 전도 이동용 레일은 충분히 여장을 확보하여 운용
운반차량의 바퀴의 펑크로 인한 라이닝폼 전도 타이어의 상태를 수시로 점검하고 이동로의 못 등을 사전에 제거
재료적 요인 대차 이동시 보강 미흡으로 구조에 변형 발생 이동중 충격에 의한 구조적 변형예상부위에 받침 등 조치 후 이동
전기적 요인 조명, 전기기계 설비 등의 누전에 의한 감전 작업전 전기기계기구, 조명설비 등의 누전여부를 전기취급 전문가가 확인 후 작업 실시
이동중 라이닝폼에 연결된 전선을 협착 전선이 끊어지며 감전 이동전 주변 전선 정리정돈 실시
작업환경 요인 터널내부 분진 및 가스에 의한 호흡기 질환 등 사고 주기적이 작업환경 측정 및 개선, 작업중 보안경 및 방진마스크 착용, 안전작업방법 준수

 

 

7. 라이닝폼 해체 작업

 

라이닝폼 해체 작업

 

분류 유해위험요인 감소대책
인적 요인 작업완료 후 작업대차 해체 작업중 추락 작업대차 해체 순서 및 방법을 사전에 계획하고 작업자에게 교육 후 실시, 상부 해체 중 안전대 고리 체결
상부 해체 작업부위로 이동하던 중 추락 이동통로는 제일 마지막에 해체할 수 있도록 하고 작업자는 반드시 이동통로를 이용하여 상부로 이동
대차 해제 작업 시 조명불량에 의한 전도, 추락 대차 해체 작업 시 작업에 필요한 조명 설치
해체한 자재의 정리정돈 미흡으로 인한 작업자 이동중 전도 해체한 자재는 반출순서에 맞게 정리정돈 실시
기계적 요인 해체 작업 하부에 근로자 출입에 의한 사고 해체 작업시 접근금지 시설을 설치하고 감시자 배치
작업대차 해체 작업 중 낙하물 사고 대차 해체자재 하부로 투척 금지, 받아내리거나, 로프에 달아 내림
산소절단기 사용하여 해체 작업중 불꽃비산에 의한 화재, 화상 산소절단기 사용하여 작업 시 불티비산방지 조치 및 하부 인화성물질 제거, 소화기비치 후 작업
전기적 요인 전동기계기구 사용중 누전에 의한 감전 전동기게기구 사용전 점검, 사용전원 누전차단기 설치, 접지설치 후 작업 실시
작업특성 요인 해체작업으로 계획없이 고철상등에게 해체토록 하여 작업중 사고발생 해체는 설지한 작업자가 실시할 수 있도록 하고 외부 고철상인 등이 해체하지 않도록 관리감독 철저
작업환경 요인 터널 출구부에서 해체 작업중 터널 출입하는 차량과 충돌 해체작업시 해체작업장 진입 폐쇄후 작업 실시

 

 

터널 라이닝 콘크리트 작업 재해 사례

 

라이닝폼 작업 중 협착

 

  • 재해개요
    • 라이닝폼 유압실린더 상승 후 받쳐진 침목을 제거하기 위해 대기하던 중 작업반장의 컨트롤박스 오조작으로 인해 라이닝폼의 강재받침이 이탈되면서 피재자를 덮쳐 사망한 재해
  • 재해원인
    • 신호수 미배치
    • 적정 근로자 배치 미흡
  • 안전대책
    • 기계기구, 기타 설비(유압식 라이닝 폼 등)의 운전을 시작할 때에는 신호수를 배치하고 일정한 신호 방법으로 신호하도록 전담 신호수 배치 후 작업
    • 기계기구, 기타 설비(유압식 라이닝 폼 등)의 운전을 시작함에 있어서 근로자에게 위험을 미칠 우려가 있을 때에는 적절한 근로자 배치 및 안전교육 등 현장상황에 맞는 필요한 조치후 작업 
  • 형태
    • 협착

 

라이닝 콘크리트 붕괴

 

  • 재해개요
    • 해체된 콘크리트 잔재물을 정리하려고 피재자가 백호우를 운전하여 이동하던중 라이닝콘크리트가 붕락되면서 백호우를 덮쳐 운전원이 사망한 재해
  • 재해원인
    • 라이닝폼 해체 시기 및 방법 미준수
  • 안전대책
    • 해체작업전 라이닝콘크리트에 록볼트 등 대체 지보재의 설치가 요구되고 가급적 상부에서 하부방향으로 순차적으로 해체 실시
  • 형태
    • 붕괴

 

후진하던 레미콘 차량과 펌프카 사이에 협착

 

  • 재해개요
    • 펌프카 보조기사가 경사진 지반을 따라 후진하던 레미콘 차량 후미와 펌프카 호퍼하부 압송배관 사이에 협착되어 사망
  • 재해원인
    • 신호수 및 유도자 미배치
    • 경사면 정차시 안전조치 미흡
  • 안전대책
    • 차량계 하역운반기계 운행시 유도자 배치
    • 레미콘 차량등 차량계 하역운반기계를 사용하여 작업을하는 때에는 운행시 근로자에게 위험이 미치지 않도록 유도자를 배치하고 일정한 신호방법을 정하여 신호
    • 차량계 하역운반기계 운행전 정비 및 경사면 정차시 안전조치
  • 형태
    • 협착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