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개요
- 접지의 종류에는 건물 기초 하부에 매설접지, 건물내 설비 보호를 위한 매입접지, 그리고 낙뢰를 대비한 피뢰침 및 DAS(정전기 분산형) 등이 있다.
- 접지선 등 인양 운반작업시 낙하 및 협착, 접지선 외부 피복 제거중 창상, 접지선 용접 작업 중 화상 등의 사고가 발생한다.
단위작업 분류 및 순서
- 자재 반입 및 적재 작업
- 접지도선 포설 작업
- 접지도선 자동 용접 작업
- 접지선 입선 작업
- 접지선 단말처리 작업
1. 자재 반입 및 적재 작업
분류 | 유해위험요인 | 감소대책 |
인적 요인 | 해당작업장 파악 미흡에 따른 추락, 낙하 등 사고 | 해당 작업 실시 전 작업장에 대한 현황을 파악하고 충분한 안전대책 수립 후 작업실시 |
작업자 적정보호구 미 준비로 인한 사고 | 작업에 알맞은 보호구 선정 및 착용 | |
하역장소에 타 공종 근로자 통행 중 충돌 | 하역장소에 근로자 통행 및 타 작업과의 간섭이 발생하지 않도록 위치 선정하여 작업 | |
자재 인력 운반 시 요통 | 인력운반 시 크기 및 중량에 따른 인원 배치 (25kg/인 초과금지) | |
지게차 사용 중 충돌 협착 | 지게차 사용시 전담신호수 배치, 작업반경내 출입통제, 후방감시카메라 확인 지게차 이동동선 중에 자재, 공사 등의 확인 점검 |
|
자재를 적재한 후 이동통로 미확보에 의한 근로자 이동 중 사고 | 자재 적재방향 및 보행 통로 확보 | |
기계적 요인 | 지게차에 과적하여 운행 중 낙하, 충돌 | 과적금지, 운전자 시야 확보 |
반입된 자재의 전도 및 도괴 | 자재 적재장소의 바닥상태 정비, 적재높이 및 적재 방법 준수 | |
타워크레인 양중시 로프불량으로 인한 낙하 | 케이블 인양로프 사전 점검 |
2. 접지도선 포설 작업
분류 | 유해위험요인 | 감소대책 |
인적 요인 | 접지선 포설 작업시 전도 | 작업장 상황에 대해 파악 후 서두르지 않도록 함 |
접지도선 절단 작업시 캇터에 손가락 협착 | 캇터 사용시 손의 위치 등 확인 후 절단 | |
접지도선 드럼을 풀리기 쉬운 상태로 대차에 설치 작업 중 낙하 발등 협착 | 작업대에 접지도선 드럼 설치 작업시 인력 작업을 지양하고 장비로 인양 설치 | |
드럼에서 접지선이 푸는 작업을 하던 작업자가 케이블을 절단하던 중 케이블이 튀어 얼굴에 맞음 |
케이블 포설로 당겨져 있는 케이블 절단시 튕기지 않도록 접지선을 붙잡고 절단 | |
크레인으로 운반 작업 중 낙하 및 충돌 | 운반 작업전 줄걸이 점검 및 작업구간 내 출입금지 | |
차량위에 케이블을 푸는 작업대에서 추락 | 작업대는 지상에 설치하여 추락 등의 위험이 없도록 작업 | |
케이블 포설 작업시 작업장 내 단차부위에서 전도 | 작업장내 단차부위 등 사전파악 후 작업 | |
기계적 요인 | E/V PIT 등 굴착부 주변 작업 중 굴착부로 추락 | 굴착 단부에 안전난간 등 추락방지 시설 설치 |
작업특성 요인 | 접지선 포설 작업장내 파일 개구부에 실족 | 파일개구부 등 파악 후 덮개 설치 후 작업 |
3. 접지도선 자동 용접 작업
분류 | 유해위험요인 | 감소대책 |
인적 요인 | 화기 취급 작업 중 화상 및 화재 사고 | 화기 취급 작업에 알맞은 복장 보호구 착용 및 화재예방 시설 배치 등 조치 후 작업 |
분출하는 화염에 의한 사고 | 분출구 방향의 역방향에 위치하여 작업 | |
분출하는 화염의 비산물질이 튀어 눈에 들어가는 사고 | 작업시 보안경 착용 | |
기계적 요인 | 용접 후 식지 않은 도선 및 공구를 손으로 잡는 사고 | 용접 작업시 용접 작업에 알맞은 보호구 착용 및 열기가 충분히 식은 후 손으로 잡는 등 취급절차 준수 |
작업특성 요인 | 용접작업 중 불꽃이 비산하여 화재발생 | 불꽃비산방지 조치실시 방지막설치, 불티감시자 등을 배치하여 화재대비 |
작업환경 요인 | 용접불꽃 등에 의한 안구손상 | 작업부위 직하부에 작업이 이루어지므로 항상 불꽃 등에 안면이 보호될 수 있는 보안경 착용 |
4. 접지선 입선 작업
분류 | 유해위험요인 | 감소대책 |
인적 요인 | 사다리 위에서 당김선 등 삽입 작업 중 추락 | 고소부위 입선을 위한 작업대(B/T비계 등)를 설치하고 작업 |
입선 작업장 주변 개구부로 추락 | 입선 작업장 주변 상황 파악 후 개구부 등에 덮개를 설치하고 작업 | |
입선 중 신호 미숙으로 인한 전도, 추락 | 입선시 정해진 신호를 주고 받으면서 작업 실시 | |
입선 후 절단기로 절단 작업 중 손가락 협착 | 절단기 작업시 손가락 협착 등에 주의하여 작업 | |
기계적 요인 | 케이블 드럼 등 운반 작업 중 낙하 | 케이블 운반작업시 인양로프 등 상태 확인 후 작업 |
크레인 운전자와 작업자의 신호 불일치에 의한 사고 | 작업전 중량물 취급 및 장비 작업계획을 수립하고 신호 방법 등에 대해 신호수와 운전자 교육 후 작업 | |
인양로프 마모로 인한 인양작업 중 낙하 | 인양 작업전 로프 점검 |
5. 접지선 단말 처리 작업
분류 | 유해위험요인 | 감소대책 |
인적 요인 | 전선 피복 탈피시 손 베임 | 전선 탈피시 지정된 공도구 사용 |
절단작업시 외상 | 절단시 주의하여 작업하고 안전장갑 착용 | |
기계적 요인 |
압착 작업시 협착 사고 | 압착 터미널을 사용하여 작업시 손가락 등 협착 사고에 주의하여 작업 |
단말작업시 미지정. 미숙련 근로자의 작업에 의한 장비사고위험 |
단말작업시 지정, 숙련 근로자만의 단말작업 실시, 관리감독자 입회 하에 작업실시 |
|
우마형 사다리작업시 2인1조작업 미준수시 사다리 전도사고위험 | 우마형사다리 작업시 2인1조 작업준수, 작업보조 근로자 작업장 이탈금지 | |
조명 불량에 의한 창상, 전도 사고 | 작업장에 작업 및 주변을 파악할 수 있는 조명 시설 설치 |
|
전기적 요인 | 전동공구 누전에 의한 감전 | 전동공구는 작업전 점검 후 필증 부착 사용 |
이동용 전선 피복 노출 등 불량으로 인한 감전 | 이동용 전선등 사용전 점검 | |
작업환경 요인 | 좁은 공간 작업에 의한 요통 | 휴식 등 작업시간을 정하여 작업 실시 |
접지 작업 재해 사례

- 재해개요
- 아파트 주차장 상부에서 자재를 하역한 후 후진하던 지게차(2.7ton)에 피재자가 충돌하여 사망한 재해
- 재해원인
- 출입금지구역 미설정
- 근로자 출입통제 미흡
- 안전대책
- 지게차 등 차량계 하역운반기계를 사용하여 작업을 하는 때에는 하역 또는 운반중인 화물이나 차량계 하역운반기계에 접촉되어 근로자에게 위험을 미칠 우려가 있을 경우 ‘근로자 출입금지 구역을 설정’
- 유도자를 배치하여 정해진 신호방법에 따라 작업을 진행하여야 함
- 형태
- 충돌

- 재해개요
- 철구조물 접지공사를 위하여 굴착저면에서 접지봉 타봉 및 접지선 연결작업 중 토사가 붕괴되어 매몰사망한 재해
- 재해원인
- 굴착구배 미준수
- 굴착선단부 토사적재
- 흙막이 지보공 미설치
- 안전대책
- 굴착구배기준 준수
- 굴착선단부에 굴착토 적재금지
- 흙막이지보공 설치
- 형태
- 붕괴

- 재해개요
- 카리프트 출입구 단부에 인접한 말비계 위에서 벽면의 컴프레셔 에어배관 설치작업을 진행하는 과정에서, 바닥에 떨어진 고정용 볼트를 집으려다 실족하여 카르프트 출입구를 통해 약 5.6m 아래 지하 1층 바닥으로 추락ㆍ사망한 재해
- 재해원인
- 추락방호조치 미흡
- 안전대책
- 카리프트 출입구 단부 등 개구부에 근접하여 말비계 등을 설치하고 배관작업 등을 진행하는 때에는 안전난간을 작업높이를 고려하여 연장설치 하거나 안전방망을 설치하는 등 추락방호조치를 하여야 함
- 형태
- 추락
반응형
'안전관리자 > 위험성 평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전선 입선 작업 위험성 평가 (0) | 2024.06.24 |
---|---|
전기 일반배관 작업 위험성 평가 (0) | 2024.06.23 |
고압 CABLE 단말 작업 위험성 평가 (0) | 2024.06.21 |
지붕(박공) 작업 위험성 평가 (0) | 2024.06.21 |
CABLE 포설 작업 위험성 평가 (0) | 2024.06.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