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전체 글1167

작업환경측정 보고 의무 및 예외사항 1. 작업환경측정의 법적 근거작업환경측정은 산업안전보건법에 따라 사업장에서 근로자의 건강을 보호하기 위해 반드시 수행해야 하는 절차입니다.이를 위한 관련 법령은 다음과 같습니다. 산업안전보건법 제125조(작업환경측정 결과의 기록·보존 등)사업주는 작업환경측정 결과를 30년간 보존해야 하며, 그 결과는 근로자가 쉽게 열람할 수 있도록 해야 하며, 요청 시 제공해야 합니다. 또한, 측정 결과는 고용노동부령에 따라 고용노동부 장관에게 보고해야 합니다. 산업안전보건법 시행규칙 제202조(작업환경측정 결과의 보고)사업주가 직접 측정한 경우, 시료 채취를 마친 날부터 30일 이내에 작업환경측정 결과보고서와 작업환경측정 결과표를 관할 지방고용노동관서에 제출해야 합니다.작업환경측정기관에 위탁한 경우, 측정기관은 시료 .. 2025. 3. 27.
중대재해발생 알림 - 충돌사고 (25년 3월 24일) 출처 : 고용노동부 2025. 3. 26.
중대재해발생 알림 - 추락사고 (25년 3월 23일) 출처 : 고용노동부 2025. 3. 26.
중대재해발생 알림 - 추락사고 (25년 3월 19일) 출처 : 고용노동부 2025. 3. 26.
중대재해발생 알림 - 낙하사고 (25년 2월 18일) 출처 : 고용노동부 2025. 3. 26.
방폭지역 구분 : Zone과 Class 기준 완벽 정리 방폭지역 구분 상세 설명방폭(防爆, Explosion Proof) 지역 구분은 가연성 가스, 증기, 분진 등 폭발 위험물이 존재하는 산업 현장에서 폭발 사고를 예방하기 위해 적용되는 개념임.이를 통해 적절한 방폭 장비와 설비를 선정하여 안전한 작업 환경을 유지할 수 있음. 1. 방폭지역 구분의 목적산업 현장에서 가연성 물질이 공기와 혼합될 경우, 점화원이 존재하면 폭발이 발생할 수 있음. 따라서 방폭지역을 구분하여 위험도를 평가하고, 이에 맞는 방폭 장비와 전기기기를 설치하여 폭발 위험을 최소화하는 것이 목적임.  2. 방폭지역 구분 기준 (국제 표준 기준)방폭지역은 주로 국제전기기술위원회(IEC, International Electrotechnical Commission)와 미국 국가전기규정(NEC, .. 2025. 3. 25.
중대재해발생 알림 - 추락사고 (25년 3월 21일) 출처 : 고용노동부 2025. 3. 24.
중대재해발생 알림 - 끼임사고 (25년 3월 21일) 출처 : 고용노동부 2025. 3. 24.
제안서 작성 초보자를 위한 RFP, RFI, RFQ 개념 정리 RFP, RFI, RFQ의 의미와 작성법기업이 프로젝트를 수행하거나 외부 업체와 협력할 때, 적절한 공급업체를 찾고 계약을 체결하기 위해 다양한 문서를 활용함. 대표적인 문서로 RFP(Request for Proposal, 제안 요청서), RFI(Request for Information, 정보 요청서), RFQ(Request for Quotation, 견적 요청서)가 있으며, 각 문서는 목적과 작성 방식이 다름. 이 글에서는 RFP, RFI, RFQ의 차이점과 효과적인 작성법을 설명함. 1. RFP (Request for Proposal, 제안 요청서)목적RFP는 특정 프로젝트를 수행하기 위해 외부 업체(벤더)에게 포괄적인 제안을 요청하는 문서임. 단순한 견적 요청이 아니라, 업체가 제공할 수 있는 솔.. 2025. 3. 24.
반응형